- 'HMM 인수전' 동원 김남정 부회장 수세 몰렸나···'법적대응 예고' 강수까지뉴시스
- '최정원 딸' 유하, '복면가왕'서 주목···"판도 바뀔 듯"뉴시스
- '시간당 30만원' 기준 무력화···판치는 고액 입시컨설팅뉴시스
- 전북도-쿠팡, 전북 기업 활성화 상생업무협약 체결뉴시스
- KBO리그 평정한 페디, 황금장갑도 품었다···득표율 91.8%뉴시스
- 민주 최고위, 강원도당 떠나는 김우영에 "부적절" 봇물뉴시스
- [올댓차이나] 홍콩 증시, 中 경기선행 불안에 속락 마감···H주 1.17%↓뉴시스
- 12월 강원도에 최대 65.9㎜ 비···겨울비 최고 기록 경신뉴시스
- 부산서 치매 노인 실종···경찰, GPS 활용 6분만에 발견뉴시스
- 이제훈, '제3회 대한민국 착한 기부자상' 수상뉴시스
우리 아파트 관리비 수준, k-apt서 조회 가능
수도꼭지 냉수로…생활 속 습관서 절약
전기·가스 아끼면 서울시가 포인트 준다
아파트 관리비 할인하는 신용카드도

[서울=뉴시스] 이예슬 기자 = 훌쩍 오른 난방비에 관리비 고지서를 받아들기 두려운 계절이 됐다. 전기세와 수도세 등 공공요금의 인상에 따른 관리비 상승은 어쩔 수 없는 측면이 있지만 부지런히 발품을 팔면 관리비를 조금이라도 절감할 수 있는 방법이 있다.
우선 내가 내는 관리비 수준이 어느 정도인지를 알아볼 필요가 있다. 관리비의 세부 항목을 알고 싶거나 다른 단지와 비교하고 싶다면 k-apt 공동주택관리정보시스템에서 비교 가능하다.
◆월 관리비 ㎡당 2971원…전년 比 13.7% 증가
이 시스템에 따르면 지난 8월 기준 전국 관리비 평균을 보면 1㎡당 2971원 수준이다. 전년 동기(2612원)보다 13.7% 이상 증가한 수치다. 지역별로 보면 서울(3363원), 세종(3273원), 경기(3167원), 인천(3151원) 등 순으로 관리비가 비쌌다.
사용료 및 장기수선비를 뺀 공용관리비를 공동주택 유형별로 보면 연립다세대(1965원), 주상복합(1749원), 아파트(1217원)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대체로 소규모 단지보다는 대단지 아파트일수록 규모의 경제 실현이 가능해 관리비 부담이 덜한 편이다.
세대 수 구간별로는 ▲150~299세대가 1421원 ▲300~499세대 1272원 ▲500~999세대 1208원 ▲1000세대 이상 1183원으로 세대수가 많아질수록 관리비도 낮아졌다. 복도 유형별로는 계단식(1170원)이 복도식(1557원)보다 저렴했고, 혼합식(1302원)은 그 중간이었다.
◆외출할 땐 외출모드…수도꼭지는 냉수쪽
일정 수준으로 고정돼 있는 관리비를 크게 줄이기는 어렵지만 겨울철 난방비의 경우 일상 속에서 사소한 생활습관을 바꾼다면 고지서 속 수치를 낮출 수 있다.
난방을 덜 할수록 난방비가 들지 않는건 당연지사다. 하지만 기온이 영하로 뚝 떨어지는 한겨울 외출을 한다고 보일러를 아예 꺼버리는 것은 오히려 난방 사용량을 더 늘릴 수 있다. 동파의 위험도 있지만 온도가 일정 수준 아래로 떨어져버리면 다시 집을 따뜻하게 하는데 큰 에너지가 소비되기 때문에 손해다. 외출 시 외출모드로 전환하거나, 낮은 온도로 유지시키는 게 난방비 절감에 유리하다.
수도꼭지를 냉수 쪽으로 돌리면 가스 사용을 아낄 수 있다? 반은 맞고 반은 틀리다. 물을 쓰지 않을때는 수도꼭지가 어느 방향으로 향해 있든 상관이 없다. 다만 물을 틀 때 온수로 향해 있는 수도꼭지를 그대로 틀면 그 즉시 물을 데우기 위해 보일러가 가동된다. 물이 채 데워지기도 전에 수도꼭지를 잠굴 만큼 물을 잠깐 사용하는 것이라면 굳이 보일러를 틀어 가스를 쓸 필요가 없는 만큼, 평소 온수를 사용한 뒤 수도꼭지를 냉수 쪽으로 돌려 놓으면 불필요한 낭비를 막을 수 있다.
난방 효과를 높이려면 보일러와 가습기를 동시에 사용하는 것도 방법이다. 가습기를 틀면 공기 중 습도가 올라가 방이 빨리 따뜻해지고 온기도 오래 간다.
◆에너지 아껴 마일리지…관리비 할인 카드도
전기·가스 등 에너지를 아끼고 돈을 받을 수 있는 제도도 있다. 서울시민이라면 '에코 마일리지 제도'를 활용할 만 하다. 이번 겨울에는 특별 포인트도 제공한다. 오는 12월부터 내년 3월까지 4개월간 직전 2년 동기간 평균 에너지 사용량 대비 20% 이상 에너지를 절감하면 결과에 따라 1인당 최대 2만원의 마일리지를 지급한다.
아파트관리비를 할인해 주는 신용카드도 있다. 롯데카드의 로카365카드는 아파트관리비와 공과금, 이동통신, 대중교통 등 매달 정기결제가 발생하는 업종에서 월 최대 3만6500원을 할인해 준다. 전월 실적이 50만원 이상이면 관리비와 공과금 등 이용금액의 10%를 각 5000원까지 깎아주는 카드다. 하나카드의 '에너지 더블 카드', 신한카드의 '미스터 라이프' 등도 관리비 절약 혜택에 주력한 카드다.
◎공감언론 뉴시스 ashley85@newsis.com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국민 70% "관리비 너무 비싸"···깜깜이 관리비에 허리 휜다 [서울=뉴시스] 권창회 기자 = 서울 송파구 롯데월드타워 서울스카이에서 바라본 아파트단지 모습. 2023.04.11. kch0523@newsis.com[서울=뉴시스] 박성환 기자 = 아파트 관리비 운영을 둘러싼 잡음이 끊이지 않고 있다. 관리비가 꾸준히 오르면서 아파트 단지 곳곳에서 파열음이 나고 있다. 아파트 관리업체가 아파트 시설 유지보수를 위해 쓰이는 돈을 불투명한 방식으로 운영해 입주민들과 갈등을 빚거나, 일부 집주인들이 관리비를 지나치게 높게 책정해 이른바 '제2의 월세'로 활용하는 꼼수가 논란이 되기도 했다.아파트 관리비는 입주자대표회의에서 정한다. 공동주택관리법 시행령 제14조 제2항에 따르면 공용시설물 이용료 부과기준 등은 입주자대표회에서 구성원 과반수의 찬성으로 의결할 수 있다.최근에는 아파트 커뮤니티 시설의 대형·고급화로 관리비 부담이 커지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커뮤니티 시설에 필요한 전기와 수도, 관리 직원 인건비, 시설 유지보수비 등을 아파트 입주민들이 부담하다 보니 시설 규모가 커질수록 관리비 부담이 증가한다는 것이다.주택 거주자 10명 중 7명이 현재 납부하는 관리비가 비싸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또 거주자 10명 중 4명 이상은 월 관리비로 20만원 이상을 부담한 것으로 나타났다.부동산 정보업체 직방이 자사의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이용자 816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월평균 관리비로 10만∼20만원을 낸다고 한 응답자가 35.9%로 가장 많았다. 이어 ▲20만∼30만원 미만(31.0%) ▲10만원 미만(18.3%) ▲30만∼40만원 미만(11.2%) ▲50만원 이상(2.0%) ▲40만∼50만원 미만(1.7%) 순이다.거주 유형별 가장 많은 월평균 관리비를 보면 아파트는 20만∼30만원 미만이 전체 아파트 거주자의 43.3%로 가장 많았고, 오피스텔은 10만∼20만원 미만이 52.7%, 연립(빌라)·다세대는 10만원 미만이 62.7%, 단독·다가구는 10만원 미만이 60.5%로 각각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방 개수별 월평균 관리비는 원룸 거주자는 10만원 미만이 46.2%, 투룸 거주자는 10만∼20만원이 45.1%, 방 3개 이상 거주자는 20만∼30만원 미만이 43.0%로 각각 가장 많았다.관리비 수준에 대한 질문에 응답자의 74.9%가 ‘비싸다’고 답해 대부분의 응답자가 관리비에 부담을 느끼는 것으로 조사됐다. ‘적정하다’는 23.4%, ‘저렴하다’는 의견은 1.7%로 나타났다. 특히 오피스텔 거주자들 사이에서 관리비가 비싸다는 응답(88.4%)이 다른 유형에 비해 더 높게 나타났다.관리비는 거주 형태나 방 개수에 따라서도 체감하는 수준이 다른 것으로 조사됐다. 상대적으로 월세 임차인(81.7%)이 자가(71.1%)나 전세임차인(73.4%)보다 관리비가 비싸다고 경우가 많았다. 또 원룸 거주자(83.0%)의 관리비 부담이 더 컸다.관리비와 관련해 개선돼야 할 사항으로 ‘확인·비교할 수 있는 투명한 정보 공개’가 42.2%로 가장 많았다. 이어 ▲명확한 금액 산정 기준(31.3%) ▲개별 세대 계량기 설치로 정확한 수치 측정(11.2%) ▲정액제가 아닌 세부 내역 표시(7.6%) ▲임대료에 관리비 전가 문제 해결(6.1%) 등이다.앞으로 공인중개사가 원룸·오피스텔·다세대주택(빌라) 등의 전·월세 매물을 온라인 중개 플랫폼에 게재할 때 관리비 세부 내역을 공개해야 한다. 전기료와 수도료, 인터넷 사용료 등 세부 내역을 공개해 전·월세 상한제를 피해 월세 대신 관리비를 인상하는 임대인들의 '꼼수'를 막기 위한 조치다.국토교통부는 지난 8월 관리비 세부 내역 공개 의무화를 골자로 하는 '중개대상물의 표시·광고 명시사항 세부기준' 개정안을 행정 예고했다. 개정안에 따라 공인중개사는 관리비가 정액으로 월 10만원 이상 부과되는 주택 매물을 인터넷으로 표시·광고하는 경우 관리비 항목별 금액을 기재해야 한다.직방 관계자는 "아파트 외에 주택이나 월세임차인, 원룸 거주자군에서 상대적으로 부담을 더 느끼고 있다"며 "무엇보다 관리비를 확인, 비교할 수 있는 투명한 정보 공개가 필요하다는 의견이 가장 많았다"고 설명했다.이어 "전세사기 이슈와 맞물려 주거취약계층에게 관리비가 큰 부담과 영향을 차지하는 만큼 투명하고 정확한 관리비 산정과 정보 공개가 필요하다"고 덧붙였다.◎공감언론 뉴시스 sky0322@newsis.com
- · 관리비 고지서에 화들짝···주상복합 왜 40% 더 비싸나
- · 아파트 관리비시스템 시장 사실상 '독점'···한 업체가 72.5% 담당
- 1'수도관 세척' 광주 우산·두암·중흥동 흐린물 주의를..
- 2아파트 하락세···'30% 더 하락' vs '일시적 현상'..
- 3이상민 "故 어머니 45년간 혼자 사셔···시집가라고 할 걸 '..
- 4'두암→문흥' 제2순환路 각화IC 진출램프 전면통제..
- 5늦게 가면 품절! 큼직한 소고기 가득한 몸보신 국밥..
- 6올해 최고 인기 유튜브 영상은 '차쥐뿔' 카리나편..
- 7층간소음 못 잡으면 준공 불허···곧 대책 발표..
- 8티아라 아름 이혼·재혼 발표 "소송 끝내고 혼인 신고"..
- 9"백일 아기 성교육 시키라는 친구···손절하고 싶어요"..
- 10운동부 소속 중학생 성폭행 코치 구속 송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