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알콜지옥' 금주 서바이벌에서 만취?···지송, 돌연 얼굴 공개뉴시스
- 조규성, 유럽 진출 후 첫 멀티골···미트윌란 5연승뉴시스
- "수단의 콜레라 환자 70% 급증 160명 사망"- 유엔뉴시스
- 삼성전자·SK하이닉스, 4분기 실적 더 높아진다뉴시스
- [인터뷰]박은빈 "우영우 부담감, 짓눌리고 싶지 않았죠"뉴시스
- 백악관 "휴전 중단, 하마스의 여성 인질 추가 석방 거부 때문"뉴시스
- 롯데쇼핑, 첫 최첨단 자동화 물류센터 부산에 짓는다뉴시스
- 성주군 '희망 2024 나눔 캠페인' 출범···"기부로 나를 가치있게"뉴시스
- 구자근 국회의원, 행안부 특교세 22억 추가 확보뉴시스
- 한경협, 글로벌 경제 현안대응 임원협의회 출범뉴시스

[서울=뉴시스]이재준 기자 = 중국인민은행은 8일 최근 내외 정세 동향, 미국 금리조정 관측, 경기회복과 금리차 등을 반영해 달러에 대한 위안화 기준치를 3거래일째 절하 고시했다.
인민은행은 이날 위안화 기준치를 1달러=7.1280위안으로 전일 1달러=7.1196위안 대비 0.0084위안, 0.12% 내렸다.
엔화에 대한 위안화 기준치는 100엔=5.0910위안으로 전일 5.1004위안보다 0.0094위안, 0.18% 올랐다. 3거래일 만에 절상했다.
인민은행은 다른 주요통화에 대한 위안화 기준치를 1유로=7.6269위안, 1홍콩달러=0.90906위안, 1영국 파운드=8.8668위안, 1스위스 프랑=7.8344위안, 1호주달러=4.7442위안, 1싱가포르 달러=5.2847위안, 1위안=183.18원으로 각각 고시했다.
상하이 외환시장에서 위안화는 오전 9시39분(한국시간 10시39분) 시점에 1달러=7.1366~7.1380위안, 엔화에 대해선 100엔=5.0990~5.0998위안으로 거래됐다.
앞서 8일 새벽 위안화는 달러에 대해 1달러=7.1340위안, 엔화에는 100엔=5.1071위안으로 각각 폐장했다.
한편 중국인민은행은 8일 역레포(역환매조건부 채권) 거래를 통한 공개시장 조작을 실시해 7일물 20억 위안(약 3656억원 이율 2.00%)의 유동성을 시중에 공급했다.
이날 기한이 돌아온 역레포가 20억 위안이기에 유동성 순주입액은 제로인 셈이다.
◎공감언론 뉴시스 yjjs@newsis.com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어떤 금이 더 오를까"···비트코인·금 동시 초강세 [서울=뉴시스]이지영 기자 = 디지털 금으로 불리는 '비트코인'과 '금'이 동시에 초강세를 보이고 있다. 안전자산 선호 현상이 퍼진 가운데 금리 인하에 대한 기대감까지 짙어지면서다. 전문가들은 두 자산 모두 더 오를 것이라고 내다봤다.5일 업계에 따르면 대장주 비트코인은 전날 오전 5300만원을 돌파한지 반나절도 안 돼 5500만원을 넘겼다. 12월 들어 11% 넘게 뛰며 널뛰는 변동성의 상징인 '코인'다운 면모를 보인 것이다.전날 오후 6시 빗썸 기준 비트코인은 전일 대비 5.17% 오른 5584만원에 거래되고 있다. 5500만원대는 지난해 4월 이후 20개월 만이다.금값도 고공행진 중이다. 국제 금값이 지난 3일(현지시간) 온스당 2100달러를 넘어서며 역대 최고치를 또 경신한 것이다. 이는 전거래일인 지난 1일(장중 2075.09달러)에 이어 이틀 연속 최고가를 갈아치운 모습이다.종전 최고치는 코로나19 팬데믹이 한창이던 지난 2020년 8월 7일 기록한 2072.5달러다. 이후 40개월 만에 사상 최고가를 기록했다.두 자산 모두 '안전자산'이라는 정체성을 기반으로 상승 기류를 탔다. 지정학적 불안과 경제 불황 등 각종 리스크를 헤지하며 가치를 보존(저장)하는 수단이란 점에서 투심이 쏠린 것이다. 비트코인은 총발행량이 2100만개로 고정돼 있어 금, 은과 같이 주요 가치 저장 수단 중 하나로 꼽힌다.세계적 베스트셀러 '부자 아빠 가난한 아빠'의 저자 로버트 기요사키 역시 이 점에 주목하며 두 자산의 매수를 권했다.기요사키는 3일(현지시간) 자신의 X(구 트위터)를 통해 "미국 경제가 대공황과 전쟁 리스크를 직면하면서 앞으로 수백만 명이 정말 힘든 시기를 겪을 것"이라며 "금과 은, 비트코인 매수를 통해 헤지수단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금·비트코인 '결정적' 호재는 금리 인하여기에 금리 인하 기대감이 강세를 더욱 부추길 전망이다. 전문가들을 이르면 내년 상반기부터 기준 금리를 낮출 것이란 시장 전망이 현실화하면 두 자산이 더욱 큰 랠리를 이어갈 것이라고 보고 있다.우선 비트코인은 연내 7000만원 돌파를 노리고 있다. 특히 산타 랠리에 대한 기대감까지 더해지면서 12월 이후 상승 속도에 불이 붙은 상태다.마이클 노보그라츠 갤럭시 디지털 최고경영자(CEO)는 최근 블룸버그와 인터뷰에서 "비트코인 현물 상장지수펀드(ETF) 출시로 수십억 달러가 유입되면서 비트코인은 내년에 최고점을 찍을 것"이라며 "이때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금리를 인하하면서 이를 뒷받침할 것"이라고 예상했다.마르쿠스 틸렌 메이트릭스포트(가상자산 서비스 제공업체) 수석연구원 역시 지난 2일(현지시간) 보고서에서 "비트코인이 이맘때까지 100% 넘게 올랐다면 연내 65% 이상 추가 상승할 확률은 71%가 넘는다"며 "연말 산타 랠리로 65% 추가 상승할 경우 5만6000달러(7214만원)에 도달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날 기준 비트코인 연간 상승률은 144.60%다.나아가 내년에는 비트코인이 1억원을 넘길 것이란 전망에도 힘이 실린다. 제프 켄드릭 스탠다드차타드(SC) 디지털자산 연구 책임자는 지난 4월 '비트코인-10만달러로 가는 길'이라는 보고서에서 "비트코인은 탈중앙화하고 희소성 있는 디지털 자산이라는 전제를 입증하고 있다"며 "2024년 12만달러(1억5186만원)까지 치솟을 것"이라고 전망했다.금값은 2200달러 돌파가 점쳐진다. 특히 금리 인하에 따른 달러화 약세가 금의 수요를 직접적으로 자극한다는 점에서 상승 가능성을 높인다.헝쿤 하우 싱가포르 대화은행(UOB) 글로벌조사 책임자는 "내년 달러화 가치와 금리 하락에 대한 전망은 금값 상승에 긍정적인 주요 동인"이라며 "내년 말 온스당 최고 2200달러까지 오를 수 있다"고 전망했다.바트 멜렉 TD증권 상품전략 책임자 역시 "(세계 각국) 중앙은행의 강력한 매수세가 가격 상승의 주요 촉매제 역할을 할 것"이라며 "내년 2분기 금값 평균은 2100달러가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공감언론 뉴시스 jee0@newsis.com
- · "공시담당자 찾아갑니다"···금감원, 서울·판교 설명회
- · 분상제 적용 파주·검단 등 2기신도시 연말 막차 분양 잇따라
- · 달러 강세 주춤···외환보유액, 넉달 만에 증가
- · 10년 만에 국토부 출신 장관···건설업계 "애로 청취·해결 기대"
- 1"아파트 사줬는데 시댁 안 와?" 광주서 며느리 살해하려던 70..
- 2광주역 창업밸리 조성 속도···코레일 부지 매입 완료..
- 3중흥그룹 중흥토건, 올해 도시정비사업 1조 수주 '청신..
- 4"크리스마스 객실 80% 할인" 광주 연말 이벤트 '풍성'..
- 59900원으로 '남도한바퀴'···겨울철 진미탐방·일몰일출 코스 ..
- 6국토부 "집값 흐름 꺾여···대출 축소·고금리 등에 하방 요인 ..
- 7속을 뜨끈하게 데우고 싶다면? 얼큰한 곱창전골 먹자!..
- 8"복합쇼핑몰 도대체 언제?"···광주시민 70% '원정 쇼핑'..
- 9올해 청약 접수, 3건 중 1건은 서울 아파트...광주는 얼마나..
- 10돈가스 5인분 주문 후 "5장 서비스" 요청···사장 울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