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속보] 美 국채금리 급등 여파···코스피, 1.19% 하락 출발뉴시스
- [속보] 국방부 "북 '핵무력 정책' 헌법 명시···핵능력 고도화 야욕 노골화"뉴시스
- [속보] 8월 반도체 생산 13.4% 증가···광공업 3년2개월 만에 최대↑뉴시스
- 덱스 "사장님인 에이전트 H, 속마음 얘기 안 해 속상"뉴시스
- '소록도 천사' 마가렛 피사렉 간호사 국민 분향소 마련 [뉴시스Pic]뉴시스
- 윤석열 대통령 '향군 창설 제71주년 기념식' [뉴시스Pic]뉴시스
- 하이브 '드림 아카데미' 참가자, 오늘 팬미팅···유튜브·위버스 생중계뉴시스
- 조직위 "한국 리듬체조 상위권···김주원이 힘 보탤 것"뉴시스
- 플라즈맵, 18억 규모 신규 멸균기 PO 수주뉴시스
- 휴비츠, 광학식 바이오메트리 'HBM-1' 출시뉴시스
예금금리 연 3.7~3.8%대로 올라

[서울=뉴시스]이주혜 기자 = 최근 은행권 수신금리가 오르면서 예적금으로 자금이 몰리고 있다. 5대 은행의 예금으로만 한 달 새 약 12조원이 쏟아졌다. 반년 만에 최대치다. 한때 기준금리 아래로 떨어졌던 예금금리는 채권금리 상승 영향에 3% 후반대로 올랐다.
8일 금융권에 따르면 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은행의 지난달 말 기준 정기예금 잔액은 817조5915억원으로 전월 805조7827억원에서 11조8088억원 증가했다.
이는 지난해 11월(19조710억원) 이후 약 반년 만에 가장 크게 증가한 것이다. 정기예금 잔액은 올해 들어 최대치를 기록했다. 5대 은행의 정기예금 잔액은 지난해 11월 827조2986억원까지 늘어난 뒤 올해 3월 805조3384억원까지 줄었다.
정기적금 잔액도 늘었다. 지난달 말 기준 39조420억원으로 전월(37조9878억원)보다 1조542억원 증가했다.
최근 은행권 수신금리가 오르자 예적금으로 자금이 흘러오는 것으로 풀이된다. 5대 은행의 주요 예금상품 금리는 한때 기준금리(3.5%)를 밑돌았지만 최근에는 연 3.7~3.8%로 뛰었다. 시중은행 관계자는 "4월 중순부터 예금금리가 상승 중"이라고 말했다.
은행연합회에 따르면 전날 기준 농협은행의 'NH올원e예금' 1년 만기 최고금리는 연 3.8%로 5대 은행 중 가장 높다. 이어 우리은행 'WON플러스예금' 연 3.73%, 신한은행 '쏠편한 정기예금' 연 3.72%, 국민은행 'KB Star 정기예금' 연 3.71%, 하나은행 '하나의정기예금' 연 3.70%다.
이들 은행의 전월 취급 평균금리는 연 3.37~3.68%였다. 국민·신한·하나은행은 평균금리가 기준금리를 밑돌았다.
정기예금 금리산정의 지표로 쓰이는 은행채 금리는 최근 오름세다. 은행채 1년물(무보증·AAA) 금리는 5일 기준 3.862%로 한 달 전(5월8일) 3.612%에서 상승했다.
이달 말 이후 유동성커버리지비율(LCR) 규제 완화가 단계적 정상화되면서 은행의 조달 필요성도 커졌다. 다음 달부터는 LCR이 현재 92.5%에서 95%로 상향된다. 은행들은 이에 대응해 유동성을 확보해야 한다.
다만 지난해 하반기와 같은 고금리 예금이 돌아오기는 어려울 전망이다. 은행권에서는 예금금리가 연 4%대까지 오르지는 않을 것으로 보고 있다. 은행권 관계자는 "지난해 하반기 예금금리가 연 4%대를 넘어 연 5%대까지 올랐을 때는 채권으로 조달이 어려워 예적금에 의존해야 했다"며 "지금은 채권 등 조달 방법이 다양하기 때문에 그때만큼 예금금리를 올려야 할 필요성이 크지 않다"고 말했다.
한편 예적금으로 자금이 몰리면서 요구불예금은 감소했다. 5대 은행의 수시입출금식 저축성예금(MMDA)을 포함한 요구불예금 잔액은 지난달 말 기준 602조8237억원으로 전월보다 6조원 이상 줄었다. 요구불예금은 금리가 0%대로 입출금이 자유로우며 주로 단기성 자금이다. 은행권 관계자는 "금리가 높아진 저축성 예금으로의 이동에 요구불예금이 감소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winjh@newsis.com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전세 비율 4년반새 60%→45%···월세화 가속 [서울=뉴시스] [서울=뉴시스] 강세훈 기자 = 임대차 시장에서 2019년 60% 수준이던 전세 비율이 올해 45% 선까지 떨어졌다. 고금리 흐름과 전세사기 여파로 전세 매물에 대한 세입자들의 기피현상이 심화하고 있기 때문이다. 다세대, 다가구 등 빌라를 중심으로 전세의 월세화 현상이 가속화하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4일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박상혁 의원이 국토교통부로부터 제출받은 전월세 현황 자료를 분석한 결과 올해 6월 전국 주택 임대차 계약 21만3265건 중 전세 계약이 9만7964건으로 45.9%를 차지했다.지난 2019년 1월 전체 16만8781건 중 전세 계약이 10만2464건으로 60.7%를 차지했던 것과 비교해 14.8%포인트(p) 낮아진 것이다.서울 전세 비율도 같은 기간 59.7%에서 45.0%로 낮아졌다. 인천(62.1→53.2%)과 경기(63.8→48.2%)도 비슷한 감소 추세를 보였다.반면 월세는 임대차 시장에서 비중이 큰 폭으로 증가했다. 전국 기준 월세 비중은 지난 2019년 1월 5.8%에 불과했으나 올 6월에는 12.6%로 두 배 넘게 증가했다. 서울도 같은 기간 4.8%에서 8.5%로 늘었다.임대차 시장에서 전세 수요는 계속해서 줄고 있는 반면 월세 수요는 늘어나는 현상이 이어지고 있다. 높은 금리로 자금 마련이 어려워진 데다 작년 하반기 잇따라 발생한 전세사기 여파로 세입자들의 전세 기피가 심화한 것으로 풀이된다.전문가들은 전세기피 현상이 앞으로도 이어질 것으로 전망한다. 전세사기에 대한 트라우마가 생기면서 전세제도 자체에 대한 세입자들의 불신이 커진 상황이다. 또 지난달부터 전세보증보험 가입 요건이 까다로워지면서 전세의 월세화 현상이 가속화할 것이란 분석도 나온다.진태인 집토스 아파트중개팀장은 "전세보증 요건 강화와 전세사기 우려로 월세 계약 수요가 늘어나고 있다"며 "보증금을 돌려받지 못한 임차인이 설정한 임차권 등기가 사상 최대치에 달하는 상황에서 보증보험 가입이 까다로운 다가구, 다세대 등 빌라의 전세 매물은 외면 받고 있다"고 설명했다.◎공감언론 뉴시스 kangse@newsis.com
- · 광주신세계 확장안 공동위원회 회의, 공개할 것인가
- · "미 국채 뛰고 은행채 풀려"···대출금리 더 오른다
- · 10월 아파트 4만5824가구 분양 예정···전년比 49% 늘어
- · 플라즈맵, 18억 규모 신규 멸균기 PO 수주
- 1'광주신세계 확장 부지' 이마트 광주점 10일 폐점 연기..
- 2전남지역 한 우체국장이 금고 속 1억원 대 횡령..
- 3광주디자인비엔날레, 추석 연휴 '핫플레이스'로..
- 4농어촌공사 '2023 신입사원' 채용···11일까지 접수..
- 5"콧물·열" 감기인줄 알았는데···독감보다 위험한 '이 질환'..
- 610월 아파트 4만5824가구 분양 예정···전년比 49% 늘어..
- 7송정리 떡갈비와 후식맛집은? 고민말고 여기로..
- 8선선한 가을, 전일빌딩서 즐기는 문화체험..
- 9이마트 '피코크' 10주년···인기 상품 10종 최대 30% 할..
- 10'3년 전 그놈'···전기톱 농협 절도범, 경찰 눈썰미에 덜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