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속보] 김광신 대전 중구청장 상고 기각···벌금 150만원 확정 '당선 무효'뉴시스
- [속보] 헨리 키신저 전 미 국무장관 타계 뉴시스
- [속보] 중국 11월 제조업 PMI 49.4·0.1P↓···서비스업 50.2·0.4P↓뉴시스
- [속보] 윤, 신설 정책실장실 산하 과학기술수석 연내 신설 뉴시스
- [속보] 한은, 내년 물가 전망치 2.4→2.6%로 상향뉴시스
- [속보] 한은, 내년 성장률 2.2%→2.1% 하향 전망뉴시스
- [속보] 한은 금통위, 기준금리 3.5%로 '동결'뉴시스
- [속보] 산업 생산 1.6%↓···42개월 만에 최대 감소뉴시스
- [속보] "휴전 6일차···하마스, 인질 10명-태국인 4명 인계"[이-팔 전쟁]뉴시스

[서울=뉴시스] 박성환 기자 = 이달 전국에서 3만7700여 가구가 분양될 예정이다. 이는 전년 동월 대비 138%가량 증가한 물량이다. 정부의 규제 완화와 기준금리 동결 등의 영향으로 분양시장에 온기가 돌면서 분양 예정 물량이 급증했다는 분석이다.
5일 부동산 플랫폼업체 직방에 따르면 이달 분양 예정 물량은 47개 단지, 총 3만7733가구로 집계됐다. 이는 전년 동월(1만5877가구) 대비 138%가량 많은 물량이다.
권역별로는 수도권이 1만7979가구, 지방은 1만9754가구다. 수도권에선 ▲경기 9139가구 ▲서울 6047가구 ▲인천 2793가구가 공급된다. 지방에선 ▲경남 3504가구 ▲강원 3105가구 ▲광주 2771가구 ▲대전 1974가구 ▲충남 1847가구 ▲충북 1518가구 ▲전북 1368가구 ▲부산 1249가구 ▲제주 1005가구 ▲대구 731가구 ▲울산 682가구 순으로 분양 예정 물량이 많다.
또 지난달 30일 국토교통부가 발표한 ‘4월 주택 통계’에 따르면 4월말 기준 전국 미분양 주택은 7만1365가구로, 전월(7만2104가구)에 비해 1.0% 감소했다. 미분양 주택은 2022년 2월 7만5438가구로, 정점을 찍은 후 3월에 11개월 만에 감소세로 돌아선 뒤 지난달까지 2개월 연속 줄었다.
지난달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가 기준금리를 다시 한 번 동결(3.50%)하며 부동산 시장 회복에 대한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다만 감소폭이 크지 않고 최근 분양시장의 물량이 많지 않았던 영향 등을 고려하면 시장의 본격적인 회복보다는 1·3 부동산대책 등 본격적인 규제완화책이나 연초 소폭 회복된 주택 매수심리 등이 일부 미분양 해소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함영진 직방 빅데이터랩장은 "분양시장의 회복을 기대할만한 요소로 기준금리 동결, 미분양 감소 등 시장의 변화가 있지만, 6월에 그간 연기된 물량이 실제 분양으로 이어질지는 여전히 미지수"라고 설명했다.
한편 지난 4월 말에 조사한 5월 분양 예정 단지는 32개 단지, 3만102가구, 일반분양 1만9769가구였다. 이를 재조사한 결과 실제 분양이 이뤄진 단지는 16개 단지, 총 6765가구(공급실적률 22%), 일반분양 4686가구(공급실적률 24%)가 분양됐다.
◎공감언론 뉴시스 sky0322@newsis.com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한은, 내년 성장률 전망치 2.1%로 낮춰···물가는 2.6%로 상향 [부산=뉴시스] 하경민 기자 = 관세청은 지난 1~20일 수출이 전년동기대비 2.2%(7억2000만달러) 증가한 338억달러, 수입은 6.2%(23억2000만달러) 감소한 352억 달러로 집계됐다고 21일 밝혔다. 이날 부산 남구 신선대부두에서 컨테이너 선적 및 하역작업이 진행되고 있다. 2023.11.21. yulnetphoto@newsis.com[서울=뉴시스]남주현 기자 = 한국은행이 내년 연간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2.1%로 소폭 내려 잡았다. 고금리와 고물가에 따른 소비 위축에 주요국들의 경기 냉각 우려가 겹친 결과로 풀이된다. 반면 소비자물가 전망치는 높여 잡았다. 최근 꺾이지 않는 물가에 따른 물가 목표 시점 지연 가능성이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한국은행은 30일 발표한 '11월 수정 경제전망'에서 내년 우리나라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을 2.1%로 제시했다. 지난 8월 발표한 내년 전망치 2.2%보다 0.1%포인트 낮은 수치다. 다만 올해 성장률 전망치는 1.4%로 유지했다.한은은 지난 2월 우리나라의 내년 성장률 전망치로 2.4%로 제시했다가, 5월에는 2.3%로 0.1%포인트 내렸다. 8월에는 2.2%로 하향 조정한 바 있다.한은의 내년 성장률 전망치(2.1%)는 한국개발연구원(KDI)의 2.2%보다 낮고, 금융연구원과 하나경영연구소가 예상한 2.1%와 같다. 산업연구원이 제시한 내년 경제성장률은 2.0%며, 정부는 지난 7월 내년 성장률 전망치로 2.4%를 제시했다.해외기관인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와 MF(국제통화기금)는 우리나라의 내년 성장률을 각각 2.3%와 2.2%로 내다봤다. JP모건과 노무라는 2.2%, 2.3%로 예상했고, 무디스는 최근 우리나라의 내년 경제성장률로 2.0%를 제시했다.한은이 성장률 전망치를 하향 조정한 것은 최근 반도체 업황 개선에 따른 수출 부진 완화에도 주요 수출국인 중국과 미국의 경기 냉각 조짐에 다이나믹한 반등을 기대하기 어렵다는 점이 반영된 것으로 풀이된다.고금리와 고물가 장기화도 부담이다. 미국이 현재 정책금리(5.25~5.5%)를 늦어도 내년 상반기까지 이어갈 것으로 예상되면서 민간 소비와 설비투자 부진이 우려되기 때문이다.긴축 재정을 표방하는 정부에 투자를 기대하기도 어려운 실정이다. 정부는 경제 악조건 속에서 재정 건전성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내년도 예산을 편성하기로 했다.내년 소비자물가 상승률 전망치는 기존 2.4%에서 2.6%로 올려잡았다. 올해 물가 예상치도 종전 3.5%에서 3.6%로 소폭 높였다.우리나라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지난 7월 2.3%대로 내려왔지만, 8월 3.4%를 기록한 후 9월과 10월에는 각각 3.7%와 3.8%로 한은의 전망을 비켜가며 목표 물가 도달 시점이 지연됐다는 평가가 높다.물가 전망치를 높인 것은 최근 농산물 가격 오름세와 주요 산유국의 원유 감산을 비롯해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무장조직 하마스 간의 분쟁에 따른 고유가에 물가 안정 시기가 다소 늦춰졌다는 점이 거론된다.유가 불확실성도 여전하다. 최근 중동 전쟁 확전 가능성이 낮아지면서 국제유가가 안정세를 보이고 있지만, 전쟁 확대 불씨가 완전히 꺼졌다고 보기는 어렵고, 주요 산유국들의 감산 변수도 남았다. 아울러 공공요금 인상도 물가 상방 압력으로 작용하고 있다.◎공감언론 뉴시스 njh32@newsis.com
- · 한은 금통위, 기준금리 3.5% 동결···물가·성장 딜레마에 '관망'
- · "상폐되는 종목인데 왜 살까"···정리매매 '폭탄 돌리기'
- · 1~10월 전국 14만2117가구 분양···전년비 36.5% 줄어
- · '신생아 특공' 연 7만가구 공급···맞벌이 소득 기준 완화
- 1무등산 꼬막재 인근서 신원불상 두개골 발견···경찰 수사..
- 2'도심 속 또다른 도심' 광주 전방·일신방직 부지 개발사업 탄력..
- 3상무지구 술집 알바생 발에 불 붙여···가해자 "장난이다" 경악..
- 4스님이 타는 중고차, '놀라운 시세' 얼마? ..
- 5"시동 껐는데도 멈추지 않았다"···급발진 의심사고 원인은?..
- 6특례보금자리론 12월 금리 동결···우대형 연 4.50~4.80..
- 7"반값 딸기·대게, 호빵은 500원" 이마트, '창립 30주년 ..
- 8"돈 벌어와" 화정동서 가출 청소년 성매매 알선한 20대들..
- 9"협의이혼 중 男동료와 바람 핀 아내···" 불륜 해당할까?..
- 10"고금리 부담완화" 6대 은행 중도상환수수료 한시 면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