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속보] 러 외무 "미·아시아 동맹국, 한반도 군사적 히스테리 고조···우려" 뉴시스
- [속보] 러 외무, 내달 방북···"북러 정상회담 후속 논의"뉴시스
- [속보] 라브로프 "젤렌스키 평화공식은 실현 불가능"뉴시스
- 김정은, '9·9절 축하' 시진핑에 답전···"긴밀히 연대 협력"뉴시스
- [한경협 출범①]"말보다 행동" 류진 회장, 대내외 숨가쁜 행보뉴시스
- 광주역사민속박물관 오는 29일∼10월1일 한가위 한마당뉴시스
- 광주서 개헌 관련 시민 공청회 열린다···임지봉 교수 등 발제뉴시스
- 광주 전통시장 주변 주정차 단속 완화뉴시스
- "5·18 당시 군 장비 전시사업 찬성 80%"뉴시스
- "열나는 아이, 체온 체크 주기는?"···'해열제 알기' 캠페인뉴시스
기사내용 요약
8월까지 휘발유 유류세율 25% 인하 연장
美 전략비축유 재구매·中 경기 회복 등 국제유가↑

[세종=뉴시스]손차민 기자 = 전국 평균 휘발유 가격이 이달 들어 본격적인 상승세를 타며 리터(ℓ)당 1700원을 넘어설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정부가 휘발유 가격을 끌어내리기 위해 유류세 인하 조치를 4개월 연장하겠다고 나섰지만, 국제 유가 상승 압력이 거세지며 휘발유 가격이 쉽게 잡히지는 않을 것으로 보인다.
19일 한국석유공사 유가정보시스템 오피넷에 따르면 18일 전국 평균 휘발유 가격은 ℓ당 1661원이다. 지난 4일 휘발유 가격은 약 4개월 만에 리터당 1600원을 돌파했는데, 이후 2주 동안 연일 오르고 있는 상황이다.
휘발유 가격이 급등할 조짐이 나타나자 정부는 유류세 한시적 인하 조치를 오는 8월 말까지 연장한다고 발표했다. 지난 1월 휘발유 유류세 인하율은 25%로 조정됐는데, 앞으로 4개월 더 인하 폭이 유지되는 것이다.
예컨대 하루 40㎞를 연비가 리터당 10㎞인 자동차로 주행할 경우 월 2만5000원 유류비가 줄어든다.
다만 국내 휘발유 가격이 국제유가를 뒤따라가는 만큼 정부의 유류세 인하 연장 조치가 상승세를 탄 휘발유 가격을 끌어내리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국제유가는 이달 초 석유수출국기구(OPEC) 회원국과 주요 산유국으로 이뤄진 OPEC+의 감산 발표 이후 고공행진 중이다.
지난 3일 OPEC+는 다음 달부터 연말까지 하루 116만 배럴의 추가 감산을 예고했다. 앞서 지난해 10월 OPEC+는 올해 말까지 원유 생산량을 하루 200만 배럴 감축한다고 발표한 바 있다.
OPEC+의 감산 소식에 지난달 배럴당 60달러까지 내려갔던 국제유가는 배럴당 80달러를 훌쩍 넘어섰다. 지난 17일 기준 브렌트유는 배럴당 84.76달러, 두바이유는 배럴당 85.93달러, 서부텍사스산원유(WTI) 역시 80.83달러를 기록했다.
여기에 미국 정부가 전략비축유 재구매를 시사하며, 국제유가의 불확실성은 더욱 커지고 있다.

최근 미국 에너지부 장관은 하반기 전략비축유를 채워 넣을 가능성을 언급했다. 미국은 지난해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유가가 상승하자 1년 동안 2억 배럴의 전략비축유를 시장에 풀었다. 이런 상황에서 6~7월까지 계획된 전략비축유 방출을 마무리 짓고, 다시 원유를 시장에서 사들일 수도 있다는 것을 밝힌 것이다.
미국 에너지정보청(EIA)은 유가 전망치를 상향 조정하기도 했다. EIA는 올해 원유 가격에 대해 서부텍사스산원유(WTI)를 기준으로 2.5% 높여 잡은 85.01달러로 예상했다.
아울러 중국 정부의 코로나19 방역 조치 완화(리오프닝)로 인해 원유 수요가 늘어나는 것도 국제유가를 끌어올리는 요인이다. EIA는 중국의 원유 수요가 하루 71만 배럴, 총 1586만 배럴이 증가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국제에너지기구(IEA)는 올해 글로벌 에너지 시장을 좌우할 최대 변수가 중국의 경기회복이라 진단하기도 했다.
국내 에너지연구기관 역시 올해 국제유가가 상승할 것이라 전망하고 있다.
에너지경제연구원의 '2023년 국제 원유 시황과 유가 전망'에 따르면 "국제 유가는 세계 경기침체 우려에도 석유 수요 회복세가 지속되는 가운데 OPEC+ 감산과 EU의 러시아 석유 금수로 하반기에 초과 수요가 발생하면서 2023년에도 강세가 유지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공감언론 뉴시스 charming@newsis.com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유류세 인하 10월까지 연장···ℓ당 휘발유 615원·경유 369원 유지 [서울=뉴시스] 조성봉 기자 = 서울 한 주유소 휘발유, 경유의 판매가격이 표시된 모습. 2023.08.07. suncho21@newsis.com[세종=뉴시스] 박영주 기자 = 정부가 이달 말 종료 예정인 유류세 한시적 인하 조치를 2개월 연장하기로 했다. 유류세 인하폭도 기존과 같은 휘발유 25%, 경유·액화석유가스(LPG) 부탄 37%를 유지한다.기획재정부는 국민의 유류비 부담 완화를 위해 이달 말 종료 예정인 유류세 한시적 인하 조치를 10월31일까지 2개월 연장한다고 17일 밝혔다.앞서 정부는 국제유가에 대응하기 위해 2021년 11월부터 유류세를 20% 인하했다. 이후 지난해 5월 인하폭을 30%로 확대하고 같은 해 7월부터는 탄력세율을 동원해 최대 인하폭인 37%까지 늘렸다. 올해 1월부터 휘발유 유류세 인하율은 25%로 축소했으나 경유와 LPG 부탄은 37%를 적용하고 있다.김태정 기재부 환경에너지세제과장은 "최근 국내외 유류 가격이 상승하고 있어 국민들의 유류비 부담 경감이 필요한 점을 고려했다"고 설명했다.이에 따라 휘발유는 ℓ당 615원으로 유류세 인하전 세율 대비 205원 가격이 내려간다. 경유와 LPG부탄은 각각 ℓ당 369원, 130원으로 유류세 인하 전보다 212원, 73원 가격 인하 효과가 10월까지 유지된다.올해 들어 자산시장 위축과 경기 둔화 등으로 세수 흐름이 빠듯해지자, 일각에서는 유류세 인하폭을 축소할 거라는 전망이 제기됐다. 하지만 국내 유류 가격이 다시 들썩이자 유류세 추가 조정 없이 2개월 더 연장하기로 한 것으로 분석된다.[서울=뉴시스] 정부가 이달 말 종료 예정인 유류세 인하 조치를 10월까지 연장하기로 했다. 최근 국제 유가가 상승한 가운데 인하 조치를 종료하면 국민 부담이 커질 수 있다는 우려가 반영됐다. (그래픽=안지혜 기자) hokma@newsis.com최근 국내 유가 추이를 보면 휘발유 가격은 지난해 ℓ당 1813원에서 올해 2월 1578원까지 내려왔다가 4월 1641원으로 오름 조짐을 보였다. 이후 6월 1581원, 7월 1585원, 지난 16일 1731원으로 다시 상승했다. 경유 가격 역시 지난해 ℓ당 1843원까지 오른 후 6월 1394원까지 내려왔으나 7월 1396원, 지난 16일 1596원 등 다시 오름세로 돌아섰다.추경호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전날 진행된 기자간담회에서 "최근 국제유가가 오르고 있고 이에 따라 국민의 부담도 커지고 있어 유류세 인하를 지속하기로 방침을 세웠다"며 "10월 말 국제유가 동향 등을 살펴보고 그때 추가로 (연장 여부를) 정하겠다"고 했다.정부는 '교통·에너지·환경세법 시행령' 및 '개별소비세법 시행령' 개정안을 각각 입법예고하고 관계부처 협의와 오는 29일 국무회의 등을 거쳐 9월1일부터 시행할 방침이다.◎공감언론 뉴시스 gogogirl@newsis.com
- · [카드뉴스] 국제 유가 상승? 치솟는 기름값
- · "기름 넣기 겁나" 치솟는 유가···광주 값싼 주유소 앞은 대기행렬
- · 추경호 "유류세 인하 10월까지"···ℓ당 휘발유 615원·경유 369원
- · "주유 한번에 10만원도 모자라"···소비자 부담 '가중'
- 1이호연, 오늘 결혼···'이승기♥이다인 부케' 받은 지 5개월만..
- 2'편안함의 끝' 제네시스 G90 타보니···"비행기 일등석 느낌..
- 3예금보호한도 5000만원 유지될 듯···시장 불안 고려..
- 4문상훈, 시구하려다 꽈당···"아킬레스건 끊어져"..
- 5'짠돌이' 정혁 "1500만원 운동화 구매하게 한 前 여친, 환..
- 6"몰카·음주·폭행·날조···LX 국토정보공사 기강해이 심각"..
- 7광주 최고봉에 서다, 무등산 정상 57년만에 시민 품으로..
- 8정준하 "계속하고 싶었는데 잘렸다"···'놀면 뭐하니' 하차 심..
- 9 '53세' 최성국, '늦깎이' 아빠···24세 연하 아내 출산..
- 10"고물가에 조금이라도 싸게" 가성비 높은 추석선물이 대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