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마약 5종 투약 혐의' 유아인, 내일 검찰로···지인·의사 등 무더기 입건(종합)뉴시스
- "여기서 한다고?" 이효리도 당황한 무대의 정체는?뉴시스
- 한려해상국립공원, 멸종위기 Ⅱ급 백양더부살이 군락지 확인뉴시스
- 유로존 1분기도 -0.1% 역성장, '침체' 들어···지난해 3.5%서뉴시스
- 부산 돌려차기 피의자, 한달전 주거침입으로 벌금형 선고뉴시스
- 카호우카댐 붕괴로 유실된매설지뢰, 강 하류 인구밀집 지역으로뉴시스
- 이재명, 싱하이밍 中대사 만나 "日 핵오염수 공동 대응 강구"뉴시스
- 이재명, 싱하이밍 中대사 만나 "日 핵오염수 공동 대응 강구"뉴시스
- [단독]與 "선관위 국조는 감사원 감사 이후···후쿠시마 청문회는 IAEA검증 이후"뉴시스
- [올댓차이나] 中 금융수장 "시스템 리스크 발생시키지 않겠다"뉴시스
기사내용 요약
고금리→대출 이자 부담→월세 선호 뚜렷
전세금 제때 돌려받지 못한 세입자 '증가'
지난해 '악성 임대인' 사고액 4000억 넘어

[서울=뉴시스] 박성환 기자 = "2년 전에 전셋값이 워낙 올라 계약 만료 이후 보증금을 돌려주려면 최소 3~4억원이 더 필요합니다."
지난달 31일 서울 동작구 흑석동 흑석한강푸르지오 단지 내 공인중개업소 대표는 "역전세난이 심해지면서 세입자에게 보증금을 제때 못 돌려줄 것 같다며 상담을 신청하는 집주인들이 많아졌다"며 이같이 말했다. 이 대표는 "세입자가 집주인에게 재계약 때 하락한 만큼 보증금을 일부 돌려달라거나, 전세 대출 이자를 매달 입금해 달라고 요구를 하고 있다"며 "전세를 끼고 집을 사는 '갭투자'로 집을 산 집주인들이 매달 이자를 내주는 방식으로 계약을 연장하고 있다"고 전했다.
주택임대차 시장에서 '갭투자' 후유증이 거세지고 있다. 전세 시세가 2년 전 계약 당시 보다 큰 폭으로 하락하면서 집주인이 세입자에게 기존 보증금을 제대로 돌려주지 못하는 역전세난이 심화하고 있다.
특히 전세를 끼고 집을 사들인 갭투자 집주인으로부터 전세 보증금을 제때 돌려받지 못하는 세입자들이 늘고 있다. 갭투자로 주택을 매입한 집주인이 기존 세입자에게 전세 보증금을 돌려주기 위해서는 새로운 세입자와 전세 계약을 맺어야 한다.
하지만 금리가 급등하면서 시장이 분위기가 달라졌다. 기준금리 인상으로 전세 대출금리가 크게 오르면서 전세 대신 월세를 선호하는 세입자들이 늘어나면서 전셋값이 하락했다. 여기에 매매 거래가 사실상 중단되면서 집주인들이 매매 대신 전세로 돌리면서 시장에 전세 물건이 증가했다.
부동산 경기 위축으로 서울 아파트 평균 전셋값은 꾸준히 하락하고 있다. 상대적으로 주거 선호가 높은 강남구 아파트트가 가장 큰 폭으로 떨어졌다. 전국 전셋값 1위 자리에서 내려왔다. 전국 아파트 전셋값 1위는 서초구로 3.3㎡당 아파트 전셋값은 3486만5000원으로 집계됐다.
부동산 정보제공업체 '경제만랩'이 KB부동산의 주택가격동향을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지난달 서울 3.3㎡당 아파트 평균 전세가격은 2285만5000원으로, 지난 1월(2398만3000원)과 비교하면 4.7%(11만7000원) 하락했다.
서울 25개 자치구 중 3.3㎡당 아파트 평균 전셋값이 가장 크게 줄어든 곳은 강남구로 나타났다. 지난 1월 3.3㎡당 평균전세가격은 3700만7000원이었지만, 3월에는 3411만3000원으로 289만4000원(7.8%)이나 떨어졌다. 이어 ▲동작구 2501만4000원에서 2318만9000원(7.3%) ▲강북구 1768만6000원에서 1650만8000원(6.7%) ▲송파구 2896만9000원에서 2751만4000원(5.0%) 각각 하락했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지난해 이른바 '악성 임대인'이 전세보증금을 제때 돌려주지 않아 발생한 사고 금액이 4000억원을 넘은 것으로 나타났다. 전세보증금 반환 사고 중 약 40%가 이런 악성 임대인 소유 주택에서 발생했다. 지난해 HUG의 전세보증금 반환 사고액은 1조1726억원으로 집계됐다. 총 5443가구의 임대인이 보증금을 제때 돌려받지 못했다. 이 중 악성 임대인 보유 주택이 37%(2,037가구)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박상혁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주택도시보증공사(HUG)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집중관리 다주택 채무자'의 보증사고 액수는 지난해 4382억원으로, 전년보다 827억원 증가했다. 악성 임대인의 보증 사고액은 ▲2018년 30억원 ▲2019년 504억원 ▲2020년 1871억원 ▲2021년 3555억원으로 매년 급증하고 있다. 사고액은 4년 만에 무려 146배 증가했다.
전문가들은 집주인이 보증금을 제때 돌려주지 못하면서 세입자들의 피해가 앞으로 더 늘어날 수 있다고 경고했다.
권대중 명지대 부동산학과 교수는 "현재 전셋값 하락률이 매매 가격 하락률보다도 가파르고, 서울과 수도권 지역에 올해 입주 물량이 많은 데다, 고금리 기조가 이어지면서 당분간 전세시장의 약세가 불가피하다"며 "집주인이 세입자에게 제때 보증금을 돌려주지 못하는 상황이 이어질 것"이라고 설명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sky0322@newsis.com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광주 주상복합 상가비율 10%로 완화되나? 뉴시스 제공광주 주거복합건물의 상가 비율이 10%까지 완화될지 여부를 두고 부동산 업계의 관심이 커지고 있다.7일 광주시에 따르면 ‘주거복합건물의 상가 등 비주거용시설 면적비율’을 완화하기 위한 의견수렴 절차가 조만간 시작된다. 현재 광주시 조례 주거복합건물의 상가비율은 15%로 대다수 광역자치단체들이 상가비율을 10%로 규정하고 있는 것과 비교해 다소 높다는 지적이 제기돼왔다. 주거복합건물의 경우 ‘상가의 분양 가능성’이 사업성에 큰 영향을 미친다.지난달 24일 강기정 시장은 ‘상가비율 15%에서 10%로 완화’를 요구하는 광주 동구 계림3구역재개발조합원들을 만난 자리에서 “상가 공실률이 치솟는 상황에서 필요성은 인식하고 있다”며 “시장 선거공약이기도 한 만큼 임기 내 상가비율 완화를 추진하겠다”고 약속했다. 하지만 지역에서 찬반 의견이 엇갈리고 있어 실제 조례 개정까지는 다소 시간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광주시는 지난 2019년 3월 ‘도시계획조례’를 개정하면서, 상업지역 내 주거복합건물을 지을 경우 ‘상가 등 비주거용 시설의 면적’을 기존 10%에서 15%로 강화했다. 광주전남주택협회 등 지역 관련업계에서는 이같은 조치가 주거복합건물의 사업성을 악화시켜 민간투자 유치 및 원도심 활성화에 오히려 악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주장한다. 박지현기자 5973sally@srb.co.kr
- · "평당 3천만원" 상무 센트럴자이, 광주서 통했다
- · 청년도약계좌 사전금리 최고 연 5.5~6.5%···기업은행 가장 높아(종합)
- · 청년도약계좌 사전금리 공개···가장 높은 은행은?
- · 우체국서도 대출 업무?…'은행 대리업' 도입 추진
- 1"평당 3천만원" 상무 센트럴자이, 광주서 통했다..
- 2섬진강휴게소 정차중인 고속버스 불···인명피해 없어..
- 3도자기 받침대·약통·안경집에 마약···밀수범 무더기 기소..
- 4은행 예금금리 꿈틀하자···반년 만에 최대 증가..
- 5주월동 아파트 앞에 쓰러진 행인 휴대폰 '쓱'...수천만원 훔친..
- 6상반기 청약시장서 10대 건설사 아파트 '톱5' 싹쓸이..
- 7"현장 또 멈추나"…시멘트값 줄인상 예고 '노심초사'..
- 8"이사비 줄게요" 세입자 유인...중개사·임대인 한패였다..
- 9광주 주상복합 상가비율 10%로 완화되나?..
- 10"여자 안 산다. 그만 와라" 경고문···알고 보니 옆집서 성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