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속보] 윤경림 KT 차기 대표 내정자 공식 사퇴뉴시스
- [속보] 尹 "법률·예산안 수반않는 정책도 당정간 긴밀 협의" 지시뉴시스
- [속보] 주말 코로나 신규확진 1만3565명···전주 比 828명 늘어뉴시스
- [속보] <고침> '마약 의혹' 유아인, 피의자 조사 위해 경찰 출석뉴시스
- [속보] '뱅크데믹' 확산에도···코스피, 0.37% 상승 출발뉴시스
- [속보] 日 "北, 탄도미사일 가능성 물체 발사"···오늘 2차례 발표뉴시스
- [속보] "日방위성, 북한, 탄도미사일 가능성 있는 것 발사" NHK뉴시스
- [속보] <고침> 합참 "북한, 동해상으로 미상 탄도미사일 발사"뉴시스
- 檢, 서울경찰청 압수수색···이태원 참사 신고 허위입력 관련뉴시스
- 이진혁, 빌엔터테인먼트와 새 출발···가수+배우 활약 예고뉴시스
기사내용 요약
유럽 보험사들이 ESG경각심 가장 高
"국내 보험사, ESG 전략 네거티브 치중"

[서울=뉴시스] 한재혁 기자 = 기업의 ESG(환경·사회·지배구조) 투자가 재무적 성과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높아질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전문가들은 국내 보험사들의 ESG 투자나 위탁운용사 선정에서 통합적인 체계 도입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18일 보험연구원에 따르면 글로벌 보험회사들은 2050년까지 탄소중립을 목표로 하는 탄소중립산업법(NZIA) 등의 이니셔티브에 가입하며 ESG 투자를 고려한 자산운용체계를 도입하고 있다.
ESG 투자는 기업이 투자와 관련된 의사결정을 내릴 때 기업의 재무정보뿐만 아니라 ESG적 요소를 고려하는 투자 방식으로 장기적으로 안정적인 재무적 수익을 추구하는 것에 목적을 두고 있다. 자선이나 기부 등을 통해 사회적 문제를 해결하고 사회적 수익에 집중하던 전통적 자선과 달리 위험관리와 성장기회를 미리 식별해 수익성 또한 염두에 둔 것이 특징이다.
이같은 투자 양식은 기후 리스크 확대로 자산가치가 변동하는 등 ESG적 요소가 기업의 재무적 성과에도 영향을 직접적으로 미칠 수 있다는 가능성이 높아지면서 각광받고 있다. 최근에는 환경과 관련한 글로벌 공조도 기존의 권고 차원의 수준에서 실질적인 법적 구속을 갖는 규제로 변화하고 있어 환경이나 사회적 가치를 고려하지 않는다면 재무성과에도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이유에서다.
현재 ESG투자는 유럽에서 가장 선도적으로 이뤄지는 반면 미국은 아시아권 보험사에 비해서도 확산 속도가 느린 것으로 나타났다. 유럽 내 국가들이 ESG 관련 정책 제정을 이어가면서 권역 내 환경 친화 경영에 대한 경각심이 높아진 반면, 미국은 트럼프 행정부가 파리협정을 탈퇴하는 등 ESG 정책에 반하는 정책을 추진한 것이 분기점이 됐다.
골드만삭스 자산운용(GSAM)이 지난해 보험사들을 대상으로 진행한 설문조사 결과를 보면, '(ESG 투자를) 최우선 순위로 중요하게 생각한다'고 응답한 비율은 유럽이 37%로 가장 높았다. 아시아 보험사들은 16%, 미국계 보험사들은 8%다. 특히 '중요하지 않다'고 답변한 비율은 미국이 16%로, 2%를 기록한 유럽에 비해 8배 높은 비율을 차지했다.
이 가운데 국내 보험회사는 운용자산의 2% 규모로 ESG 투자를 운용하고 있으며 그 방식은 채권과 대체투자가 각각 41%, 58%로 구성됐다. 이들 기업은 주로 '네거티브 스크리닝'(특정 ESG 기준에 못 미치는 기업의 주식이나 채권에는 투자하지 않는 전략)에 집중한 ESG투자를 진행 중이다.
보험연구원은 이와 관련 "통합 전력의 도입과 ESG요소를 고려한 위탁운용사 선정 체계가 부족하다"고 지적했다. '알리안츠'나 '취리히' 등 글로벌 보험회사와 비교했을 때 투자 전략이 네기티브 스크리닝에만 집중되거나 위탁운용사를 선정하는 과정에 있어 통합된 체계가 부족하다는 것이다.
세계 최대 보험사 중 하나인 독일계 보험회사 알리안츠는 전사(全赦)적인 측면에서 ESG요소를 통합 관리하는 전담 부서와 체계를 갖춰 자산운용 포트폴리오를 구성했다. 특히 알리안츠는 국채나 회사채 등 상장 자산에 대한 ESG 투자를 진행할 시 자체 평가방식을 갖추고 있다.
스위스계 보험사 취리히 역시 선택·임명·평가 총 3단계로 이뤄진 위탁운용사 선정 프로세스를 채택하고 있다. 이를 통해 투자 실적, 철학이나 위험관리 등의 능력을 평가한다. 알리안츠와 취리히는 이같은 체계를 운영해 '다우존스 지속가능경영지수'나 'S&P 지속가능 연감' 등 ESG 관련 평가에서 긍정적인 결과를 낼 수 있었다.
박희우 보험연구원 연구위원은 "네거티브 스크리닝 전략은 포트폴리오 선택의 폭을 좁히고 장기적으로는 재무적 성과를 하락시킬 수 있다"며 "투자 전략 측면에서 통합적인 전략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이어 "국내 보험회사가 ESG 투자 체계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국제 보험사들의 자산운용사 평가단계를 참조해 자체 평가 모델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공감언론 뉴시스 saebyeok@newsis.com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작년 주담대·신용대출 연체율 급증···부실 '비상' 기사내용 요약저축은행·보험 등 제2금융권서 연체 급증[서울=뉴시스] 정옥주 기자 = 지난해 주택담보대출(주담대)과 신용대출 연체율이 급증해 금융권 부실이 현실화 되는 것 아니냐는 우려의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27일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양정숙 의원이 금융감독원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주담대 연체금액이 전년 대비 54.7%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같은 기간 신용대출 연체액도 34.4%에 달했다. 주요 금융기관별 주담대와 신용대출 잔액, 연체액을 종합적으로 발표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국내 주담대 잔액은 2018년 458조4285억원에서 매년 증가해 지난해 말에는 569조8333억원으로 최고치를 기록했다. 대출 연체액도 2019년 1조2411억원으로 최고를 기록한 이후 2020년과 2021년 1조원 이하로 떨어져 안정되는 듯 보였으나 지난해 다시 1조원을 넘어섰다 .2018년말 458조4285억원이었던 금융권 주담대 잔액은 2020년 526조4477억원으로 500조원을 넘어선데 이어, 2021년 560조4494억원, 2022년 569조8333억원으로 크게 늘었다.대출에 따른 연체금액과 연체율은 ▲2018년말 1조892억원(0.24%) ▲2019년 1조2411억원(0.25%)으로 1조원을 넘었지만 ▲2020년에는 9171억원(0.17%) ▲2021년 6477억원(0.12%)으로 1조원 아래로 떨어졌다. 지난해 다시 1조20억원(0.18%) 을 기록했다.지난해 말 기준 전년 대비 주담대 연체액 증가율이 가장 높은 업권은 저축은행으로 87.8%에 달했고, 보험사가 67.9% 로 뒤를 이었다. 특히 신한·국민·우리·하나·농협 등 5대 시중은행의 증가율이 56.4%를 기록했으며, 연체액도 7740억원으로 가장 많았다 .신용대출 잔액은 1조6944억원으로 2018년 1조3035억원보다 소폭 증가했지만, 대출잔액이 1조8785억원으로 가장 많았던 지난해에 비해서는 줄어들었다. 이에 비해 대출 연체액은 2조5730억원으로 사상 최고를 기록했다 .신용대출 잔액은 2018~2021년 3년 연속 증가세를 보이다 지난해 169조4479억원으로 크게 줄어들었다. 지난해 신용대출 잔액이 크게 감소한 것은 5대 시중은행들이 위험도가 높은 신용대출을 크게 줄였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하지만 저축은행과 여전사들은 신용대출을 계속 늘리고 있고, 보험사 잔액도 2020년 이후 꾸준히 증가한 실정이다.특히 2018년을 제외하면 신용대출 연체액이 크게 증가하고 있는 점도 문제로 지적된다. 2021년 연체액 증가율이 전년대비 24.7%를 넘어섰고 지난해엔 34.4%를 증가해 사상 최초로 2조원을 넘어 2조5730억원에 달해 금융권 부실의 불씨가 되는 것이 아니냐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연체액과 연체율을 보면 2018년 1조7322억원(1.33%) ▲1조5299억원 (1.07%) ▲2020년 1조5344억원(0.89%) 으로 연체율 1% 이하 떨어졌지만 ▲2021년에는 1조9143억원(1.02%) 으로 다시 1% 대를 넘어 지난해 2조5730억원(1.52%)으로 2조원대를 넘어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 .양 의원은 "주담대와 신용대출 연체액이 지난해 크게 늘어 금융권 부실의 불씨가 되지 않을지 걱정된다"며 "신용대출 연체액은 담보도 없이 발생하는 손실을 금융권이 그대로 떠안아야 해 미칠 충격이 큰 만큼 금융당국의 특별 관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연체율이 4~5% 가 넘는 여전사와 저축은행들에 대한 관리감독과 건전성 강화를 위한 관리 대책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공감언론 뉴시스 channa224@newsis.com
- · [금알못]보험료 낼 돈이 없다구요?
- · 부동산학박사회 이철규 회장 연임···11·12대 활동
- · 엔화 환율, 지분조정에 1달러=130엔대 후반 하락 출발
- · 서울 인구 15년간 7.6% 줄어 942만명···송파·은평·강서는 늘어
- 1아반떼급 車 살때 160만원 덜 낸다···올해 달라진 車제도..
- 2[위클리]전기·가스요금 동시 오를듯···정부 “건전성VS물가” ..
- 3외국인 한국 관광, 서울 지고 '여기' 뜬다..
- 4메마른 담양호 상류 '물 부족 심각' [뉴시스Pic]..
- 5'KKKKKKKKKK' KIA 앤더슨, 시범경..
- 6논에 가루쌀·밀·콩 심으면 직불금···내달 20일까지 신청기간 ..
- 7광주 아파트 경비 노동자 고충 1위는 고용불안·저임금..
- 8박군, 특전사 리즈시절 몸매 소환···한영 "섹시해" 감탄..
- 92천억 규모 문화다양성 사업 82개 발굴..
- 10화정동서 신호대기 중 택시 추돌·도주한 운전자···경찰 추적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