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등일보

2월 광주 아파트 거래량 큰폭 증가···경기 회복 신호탄?

입력 2023.03.13. 16:47 수정 2023.03.13. 16:57 댓글 7개
1월에 비해 46.68%늘어난 974건
지난해 2월 대비 84.9%수준까지
특례보금자리론 영향 가능성 커
“3월까지 지켜봐야 알 수 있을 것”
광주 도심 전경. 무등일보DB.

2월 광주지역 아파트 거래량이 큰 폭으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2022년 2월 매매량의 84.9% 수준까지 거래량이 늘어나면서 일각에서는 부동산 경기 회복에 대한 기대감도 나오고 있지만, 업계에서는 특례보금자리론 영향일 가능성이 크다며 경기 회복 여부로 보기엔 너무 이르다는 반응이다.

13일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에 따르면 2월 광주지역 아파트 매매는 974건으로 전달인 1월(664건)에 비해 46.68% 증가했다.

지난해 12월 502건으로 최저점을 찍은 아파트 거래량이 두 달 만에 94.02% 늘어나는 등 급격한 회복세를 보였다.

거래절벽 이전 시기인 지난해 2월 거래량 1천147건의 84.9%를 기록하면서 '경기 회복'의 기준점인 '평년 수준의 70%'를 훌쩍 넘겼다.

특히 동구 계림동에 위치한 그랜드센트럴의 경우 단일 아파트 단지 중 가장 많은 21건의 매매가 이뤄지면서 시세보다 높은 가격에 매매가 이뤄졌다.

광주·전남 부동산 플랫폼 사랑방에 올라온 그랜드센트럴 시세는 4억1천만원(전용면적 84㎡ 기준)이었지만 2월 거래에서는 최저 4억5천만원에서 최고 5억2천500만원에 매매가 이뤄지는 등 시세보다 4천만원에서 1억1천500만원 가량 높은 가격에 거래됐다.

하지만 업계에서는 2월 거래량을 두고 경기 회복의 신호탄으로 보기에는 너무 이르다는 반응이다.

정부에서 서민 주거 안정을 위해 시행한 '특례보금자리론'의 신청이 2천 건을 넘기면서 그 영향이 시장에 미쳤을 가능성이 크다고 보고 있다.

국민의힘 윤재옥 의원(대구 달서구을)이 한국주택금융공사로부터 제출받은'특례보금자리론 신청현황'을 보면 광주지역 신청 건수는 2천54건(4천300억원)이다.

여기에 3월 거래량이 이날 현재 141건으로 하루 평균 거래량이 10.84건에 그치고 있다. 이를 한 달 기준으로 계산해보면 336.2건으로 지난해 12월보다도 적은 수준이다.

현재 거래량을 기준으로 계산했을 때 지난해 3월 거래량인 1천461건(일 평균 거래량 47.13건)의 70% 수준인 1천22건에 비해 686건이 모자란다.

최현웅 사랑방부동산 팀장은 "2월 거래량의 증가는 특례보금자리론의 영향이 시장으로 이어졌을 가능성이 높다 "며 "2천건이 넘는 대출이 모두 매매로 이어지지 않았겠지만 어느 정도 영향을 미쳤다고 봐야 맞을 것 같다"고 분석했다.

이어 최 팀장은 "2월의 경우 신학기 전 이사수요가 있다는 점도 영향을 미쳤을 수도 있다"면서 "주택시장 자체가 변동성이 크기 때문에 최소한 3월 거래량이 어느 정도인지 봐야만 경기 회복 여부도 판단할 수 있다. 현재로서는 일시적으로 수요가 몰렸을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고 덧붙였다.

도철원기자 repo333@mdilbo.com

# 관련키워드
# 이건어때요?
댓글7
0/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