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카호우카댐 붕괴로 유실된매설지뢰, 강 하류 인구밀집 지역으로뉴시스
- 이재명, 싱하이밍 中대사 만나 "日 핵오염수 공동 대응 강구"뉴시스
- 이재명, 싱하이밍 中대사 만나 "日 핵오염수 공동 대응 강구"뉴시스
- [단독]與 "선관위 국조는 감사원 감사 이후···후쿠시마 청문회는 IAEA검증 이후"뉴시스
- [올댓차이나] 中 금융수장 "시스템 리스크 발생시키지 않겠다"뉴시스
- '마약 5종 투약 혐의' 유아인, 내일 검찰로···불구속 송치뉴시스
- 의정, 의사인력 확충 합의···필수의료 유입 방안 마련(종합)뉴시스
- 블링컨, IS에서 해방 시리아·이라크에 1955억원 원조 제공 약속뉴시스
- '김학의 출금 의혹' 공익신고 검사, 검찰 떠난다···사의 표명뉴시스
- IS테러 위험 알린 이주노동자 '체류연장 불허 정당 판결' 왜?뉴시스

[서울=뉴시스]이현주 기자 = 현재 3.5% 수준인 기준금리가 올 상반기 3.75%, 하반기에는 4.0% 수준으로 더 높아질 것이라는 예측이 나왔다.
한국경제연구원(한경연)은 23일 '2023년 기준금리 예측과 정책 시사점' 분석을 통해 이같이 밝혔다. 한경연이 2001년 1분기에서 2022년 4분기까지의 분기별 자료를 이용해 10개 모형을 통해 올해 기준금리를 예측한 결과 반기별 국내 기준금리 평균은 올 상반기 말 3.75%, 연말 4.0%로 나타났다.
한경연은 "석유류 등 국제원자재 가격과 글로벌 인플레이션이 안정돼 주요국들의 추가적인 금리인상이 없을 경우 국내 기준금리는 상반기 3.75%로 인상돼 하반기에도 유지되겠지만, 그렇지 못할 경우 하반기에도 한 차례(0.25%) 더 인상될 것"이라고 밝혔다.
◆美연준 추가 금리 인상 가능성…기준금리 인상 압력↑
한경연은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Fed)의 추가적인 기준금리 인상 가능성과 국내 물가불안으로 국내 기준금리 인상 압력이 높다고 봤다.
둔화세를 보이던 미국의 소비자물가와 생산자물가는 올해 1월 들어 재차 상승하는 등 인플레이션 압력이 여전히 높아 연준이 기준금리를 추가 인상할 가능성이 제기된다.
국내물가 불안도 기준금리 인상을 압박하는 요인이다. 지난해 7월 6.3% 이후 둔화되던 소비자물가는 올 1월 5.2%로 전달 5.0% 대비 재차 상승했고, 기조적 물가흐름을 나타내는 근원물가도 지난해 8월 4.4% 이후 5개월 연속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근원물가란 농산물·석유류 등 계절적 요인에 의한 가격변동요인을 제거한 소비자물가를 말한다.
올 1월 근원물가 상승률(5.0%)은 글로벌 금융위기 당시인 2009년 2월(5.2%) 이후 13년 11개월만에 최대치다.
근원물가가 안정되지 못할 경우 향후 국제원자재 가격이 안정되더라도 소비자물가는 높은 수준을 유지할 가능성이 있다. 한경연은 추가적인 국내 기준금리 인상이 예상되지만, 침체된 실물경제에 대한 악영향을 고려했을 때 인상폭은 제한적일 것으로 봤다.
한국의 기준금리와 가장 밀접한 상관관계를 갖는 변수는 미국보다는 EU의 기준금리로 파악됐다. 다음으로 영국 기준금리, 미국 기준금리, 소비자물가상승률, 경제성장률 순으로 나타났다.
◎공감언론 뉴시스 lovelypsyche@newsis.com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1"평당 3천만원" 상무 센트럴자이, 광주서 통했다..
- 2섬진강휴게소 정차중인 고속버스 불···인명피해 없어..
- 3도자기 받침대·약통·안경집에 마약···밀수범 무더기 기소..
- 4은행 예금금리 꿈틀하자···반년 만에 최대 증가..
- 5주월동 아파트 앞에 쓰러진 행인 휴대폰 '쓱'...수천만원 훔친..
- 6상반기 청약시장서 10대 건설사 아파트 '톱5' 싹쓸이..
- 7"현장 또 멈추나"…시멘트값 줄인상 예고 '노심초사'..
- 8"이사비 줄게요" 세입자 유인...중개사·임대인 한패였다..
- 9광주 주상복합 상가비율 10%로 완화되나?..
- 10"여자 안 산다. 그만 와라" 경고문···알고 보니 옆집서 성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