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시스

이자만 888억원···삼성 오너일가 '억소리' 나는 대출

입력 2023.02.01. 07:00 댓글 0개

기사내용 요약

CEO스코어 총수일가 주식담보대출 조사

삼성 홍라희 전 리움미술관장 대출액 8500억

이부진 호텔신라 사장·최태원 SK회장 순

[서울=뉴시스] 대기업 총수일가 대출금액 상위 10인. (사진=CEO스코어) 2023.02.01. photo@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뉴시스] 동효정 기자 = 대출 금리가 급등하며 대기업 집단 34곳의 총수 일가가 주식담보대출로 빌린 금액이 올 1월말 기준 5조원을 넘어섰다.

총수 일가 중 대출 규모가 가장 큰 사람은 삼성 홍라희 전 리움미술관장(8500억원)으로 나타났다. 증가액이 가장 높은 사람은 이부진 호텔신라 사장으로 1년새 2200억원이 늘었다.

1일 기업데이터연구소 CEO스코어는 공정거래위원회가 지정한 총수가 있는 대기업 집단 66곳 중 총수 일가의 주식담보대출이 있는 34개 기업집단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를 발표했다.

이 조사에 따르면 총 130명의 그룹 총수 가족들이 상장 계열사 보유 주식을 담보로 총 5조387억원을 대출 받았다. 이는 지난 2021년 말 4조9909억원보다 479억원(1.0%) 늘어난 수치다. 

홍라희 전 관장은 대출 규모 8500억원으로 1위를 차지했다. 이부진 호텔신라 사장이 대출액 6500억원으로 2위를 기록했다. 이서현 삼성복지재단 이사장은 대출액 3711억원으로 네 번째로 많았다.

지난달 27일 공시 기준으로 지난 1년 간의 이자 부담을 추산할 경우 삼성 일가 홍 전 관장의 이자 부담액이 402억원(이하 추산액)으로 가장 많았다. 이부진 사장(324억원), 이서현 이사장(162억원)의 이자까지 합치면 888억원에 달했다.

이재용 회장이 상장계열사 보유 주식을 담보로 받은 대출은 없었다. 

3위는 4065억원을 대출 받은 최태원 SK 회장이 차지했고, 5위는 대출액 3215억원을 기록한 정몽준 아산재단 이사장이다. 

이어 대출 규모 상위는 조현범 한국앤컴퍼니 회장(2500억원), 신동빈 롯데 회장(2132억원), 구광모 LG 회장(1880억원), 김승연 한화 회장(1220억원), 서경배 아모레퍼시픽 회장(983억원) 순으로 집계됐다.

같은 기간 대출액 증가폭은 이부진 사장이 2200억원으로 조사 대상 151명 가운데 가장 컸다. 2위로는 구광모 회장(1500억원), 3위 정유경 신세계 총괄사장(400억원)이 높은 증가 폭을 보였다. 

또 김동관 한화솔루션 부회장(350억원·신규차입), 조현범 회장(250억원), 최태원 회장(200억원), 권혁운 아이에스동서 회장(200억원), 이웅열 코오롱 명예회장(100억원), 이선호 CJ제일제당 경영리더(100억원·신규차입)이 대출 증가 상위권에 이름을 올렸다.

증가율 기준으로는 394.7%로 약 4배 이상 늘어난 구광모 회장이 가장 컸다. 

권혁운 회장과 정유경 총괄사장이 각각 100% 늘어 뒤를 이었으며 이부진 사장(51.2%), 이우현 OCI 부회장(38.4%), 이웅열 회장(17.5%), 조현범 회장(11.1%), 최태원 회장(5.2%) 순으로 나타났다.

지난 1년 간의 이자 부담을 추산할 경우 총수 가족들의 이자 부담은 지난 2021년 말 1455억원에서 올 1월 2246억원으로 약 791억원(54.3%) 늘었다.

올 1월말 기준 삼성 일가의 홍 전 관장의 이자 부담액이 402억원(이하 추산액)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삼성 일가의 이부진 사장(324억원), 최태원 회장(187억원), 이서현 이사장(162억원), 조현범 회장(142억원) 순으로 이자 부담이 컸다.

◎공감언론 뉴시스 vivid@newsis.com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이건어때요?
댓글0
0/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