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통령실, 與 저출산 대책 논란에 "여러 방안 모으는 중···출발점"뉴시스
- [구독경제 시대]③ 서비스 중단 사례도 수두룩···"옥석 가려야" 뉴시스
- 푸틴 "벨라루스에 전술핵 배치"···30년 만에 국외 배치 우려(종합2보)뉴시스
- '안우진 5이닝 1실점' 키움 3연패 탈출···삼성 8연승 질주(종합)뉴시스
- "우리음악에 대한 믿음"···투모로우바이투게더, 지금부터가 시작뉴시스
- 양주 도락산 정상 부근 불, 1시간45분 만에 주불 잡았다뉴시스
- 대통령실, 양곡법 거부권 행사 여부에 "농민·농민단체 입장 듣고 판단"뉴시스
- 해태아이스크림 품은 빙그레, 작년 빙과류 1위 이어가뉴시스
- "저작권법 개정해야"···'검정고무신' 대책위, 내일 기자회견뉴시스
- 홍천군 영귀미면 산불, 주불 잡았다···1.2㏊ 피해뉴시스

[난방비 이렇게 절약하자]
인플레이션이 일으킨 '난방비 폭탄'에 난방비용을 아낄 수 있는 방법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 난방없이 버티기에는 영하10도까지 내려가는 한파가 지속되고 있기 때문이다. 난방비를 절약하고 최대 효율로 따뜻한 겨울을 보낼 수 있는 방법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 소개해 본다.
◆가습기 이용 습도 유지
난방비를 절약할 수 있는 가장 좋은 방법은 실내를 적정 온도로 맞추는 것이다. 20도에서 1도씩 올라갈 때마다 난방비가 15%이상 상승하게 된다. 높은 온도로 난방을 하다가 덥다고 느껴 보일러를 껐다가 재가동 시키는 경우에 가스 소비량이 크다. 실내 난방온도를 1도만 낮게 설정해도 에너지 소비량을 7%를 절약할 수 있다.
적정 습도를 유지하는 것도 효과적이다. 보일러 가동과 함께 가습기나 젖은 수건을 활용해주면 좋다. 실내에서 적정 습도 40~60%를 유지하면 열 전달이 빨라져 온도를 빠르게 상승시킬 수 있다.
◆온수 관리·설정하기
가정에서 가스비가 가장 많이 나오는 경우는 온수 조절을 잘못했을 때다. 온수만 잘 관리해도 난방비를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다. 최고온도로 수압을 강하게 해서 틀다가 다시 차가운 반대 방향으로 돌리면 난방 효율을 기대하기 어렵다.
온수 온도를 약이나 중으로 설정 또는 목욕탕 온탕 온도(40도)정도로 조정하고, 수압을 중간 정도에서 사용하면 물을 데우는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다. 또 물 낭비와 아이들 화상의 위험을 줄일 수도 있다.
온수 사용 이후에는 냉수 쪽으로 수도꼭지를 돌리기는 것도 효과적이다. 물 사용 이후 수도꼭지 방향을 온수 쪽으로 돌려놓으면 물을 데우기 위해 불필요한 공회전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보일러 외출모드 활용
보일러를 완전히 끄면 일정온도까지 재가동하는데 더 많은 에너지가 소비된다. 외출 기능을 활용해 적정온도를 유지하면 도시가스를 절약할 수 있다.
10시간 이내로 귀가한다면 외출 모드를 이용하는 것도 방법이다. 한겨울 아침 최저기온이 -12도 이하로 이틀 이상 지속될 것이 예상될 때 발표되는 한파주의보 발령 시에는 예약·외출 기능 대신 15도 ~17도 정도로 실내온도 설정을 유지하면 동파를 막으면서 집안의 온기를 유지할 수 있다.
◆방한·보온용품 활용하기
난방은 보일러나 보조 난방 기기를 사용해 실내 온도를 높이는 것 보다 그 온도를 유지하는 것이 더 중요하다. 외부의 찬 기운이 실내로 들어오지 않도록 이른바 '뽁뽁이'라 불리는 에어캡이나 커튼, 카페트, 난방텐트 등 을 활용하면 실내 온도를 지속시켜주는 효과를 볼 수 있다.
또 내복 등 기능성 발열내의 및 수면바지, 수면양말 등 보온 용품을 착용하면 체감온도는 3도 이상 올려 난방으로 인한 도시가스를 절약 할 수 있다.
해양에너지 관계자는 "난방비를 줄이는 방법은 여러가지가 있다. 연료의 연소로 인한 그을음이나 재와 물 속의 스케일 성분으로 열효율이 나빠지므로 가을철 사용 전에 내부 청소를 하는 것이 좋다"면서 "전년도 사용량보다 7%이상 절약하면 절감량에 따라 현금을 돌려받을 수 있는 '도시가스 절약 캐쉬백 제도'를 이용하는 것도 방법이다"고 소개했다.
한경국기자 hkk42@mdilbo.com
- 1아반떼급 車 살때 160만원 덜 낸다···올해 달라진 車제도..
- 24월 전기에 가스요금까지 동시 인상?···이번주 요금안 발표..
- 3규제완화 정책 쏟아내는 정부···남아있는 카드는..
- 4한국은 호갱?…애플페이 반겼더니 수수료는 최고치..
- 5"자녀 나이에 '0'붙이면 월 학원비"···사교육비 부담 '곡소..
- 6[집값 꿈틀]②주택심리 호전, 낙찰가율 하락···선행지표 '혼조..
- 7'빗장 풀리자 난립' 광주 도심 정당 현수막, 시민 안전 위협..
- 8"홧김에, 술에 취해···" 광주·전남에서 방화 잇따라..
- 9221㎝ 하승진, 현실판 걸리버 여행기···목숨 걸고 베트남 여..
- 10[치솟는 금값②]금ETF 훨훨···은행 '골드뱅킹' 인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