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내용 요약
부동산원 1월4주 아파트 가격 동향
규제 안 풀린 강남·용산도 낙폭 축소

[서울=뉴시스] 이예슬 기자 = 부동산 시장 경착륙을 방지하기 위한 정부의 규제 완화로 아파트 값 하락 폭이 4주 연속 축소됐다. 관망세는 지속되고 있지만 규제지역에서 해제되지 않은 강남권과 용산구도 내림 폭이 줄었다.
26일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1월 넷째 주(23일 기준) 주간 아파트 가격 동향을 조사한 결과 전국 매매 가격은 일주일 전보다 0.42% 내려 전주(-0.49%) 대비 하락 폭이 축소됐다.
수도권(-0.59%→-0.48%), 서울(-0.35%→-0.31%), 5대 광역시(-0.49%→-0.43%), 8개도(-0.28%→-0.26%), 세종(-1.12%→-1.00%)도 마찬가지였다.
서울에서는 지난달까지만 해도 주간 하락률이 0.1%를 넘던 노·도·강 등 외곽지역도 내림세가 어느 정도 진정되는 모습이다. 노원(-0.39%→-0.31%), 도봉(-0.44%→-0.37%), 강북(-0.37%→-0.28%), 성북(-0.40%→-0.30%) 등의 하락 폭이 줄어들었다.
여전히 규제지역으로 묶여있는 곳도 규제 완화의 혜택을 입었다. 서초(-0.12%→-0.6%)의 하락률이 가장 낮았고, 강남(-0.25%→-0.11%)이 그다음이었다. 용산(-0.29%)도 전주(-0.37%)보다 하락 폭이 축소됐다.
부동산원 관계자는 "가격 하락 폭이 다소 둔화하는 모습"이라면서도 "매수 희망 가격 간 괴리는 여전히 좁혀지지 않아 관망세가 지속되고, 연휴 영향으로 거래 활동이 감소했다"고 설명했다.
인천(-0.66%→-0.44%)과 경기(-0.71%→-0.59%)가 서울보다 더 많이 떨어졌다. 화성시(-1.30%→-1.00%)는 동탄신도시와 병점동, 안산 단원구(-0.90%→-0.92%)는 초지·선부동 구축, 수원 장안구(-1.20%→-0.92%)는 천천·정자동 급매영향 있는 주요단지, 오산시(-1.07%→-0.91%)는 세교·부산·내삼미동 신축 위주로 하락했다.
전세 시장은 고금리 기조가 유지되는 상황에서 지속적으로 하락 거래가 체결되면서 임차인 우위 시장이 유지되고 있다. 전셋값은 양천구(-1.59%→-1.53%)는 목·신정동 주요 단지, 강서구(-1.32%→-1.36%)는 염창·등촌동 구축, 강동구(-1.32%→-1.32%)는 고덕·명일·암사동, 구로구(-1.28%→-1.31%)는 구로·신도림·개봉동 대단지, 서초구(-1.15%→-1.25%)는 서초·방배·우면동 구축 중심으로 내렸다.
◎공감언론 뉴시스 ashley85@newsis.com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저점서 벗어난' 광주 아파트매매 변화조짐 이어질까 광주 도심 전경. 무등일보DB 극도로 침체됐던 광주지역 아파트 거래가 올 들어 변화 조짐이 나타나고 있다.시장 추이를 지켜보던 실수요층의 거래가 이어지면서 경기 침체가 본격화됐던 지난해 하반기보다 거래량이 개선되면서다.31일 광주·전남 부동산 플랫폼 사랑방의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분석에 따르면 이날 현재 기준 3월 광주 아파트 매매 건수는 전달(1천43건) 대비 22% 줄어든 814건이다.계약 체결 후 30일 이내에 실거래가 신고를 해야 한다는 점에서 3월 전체 거래량은 더욱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이는 지난해 하반기 이후 극심한 거래절벽으로 이어져 온 아파트 거래량에 비해선 개선된 수치다.지난해 광주 아파트 매매는 6월 1천 73건 이후 7월 865건, 8월 702건, 9월 677건, 10월 662건, 11월 566건, 12월 481건 등으로 급격히 줄어들었다.1월 들어 639건으로 일부 회복된 거래량은 2월 1천43건으로 네 자릿수를 기록했다가 이달 다시 세자릿수로 줄어들었지만, 지난해 7월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이에 대해 업계에서는 지난해에 비해선 개선의 조짐을 보이는 건 맞다면서도 조심스러운 반응이다.회복 단계로 보려면 예년의 70% 수준까지 거래량이 늘어나야 하는데 현재 거래량의 경우 지난해 같은 달(1천421건)의 57.28% 수준이며 2021년(2천416건 )과 2020년(1천795건)과 비교하면 33.69%, 45.27% 수준에 불과하다. 거래절벽으로 불리던 시기에 비해선 실수요 위주의 거래가 이뤄지면서 거래량이 늘고 있다는 것이다.하지만 2월과 3월의 경우 '성수기'라는 점에서 일시적인 반등일 수도 있다는 이야기도 나오고 있는 데다 변동성이 심한 시기라는 점에서 월별로 거래량 추이가 달라질 가능성도 커 단순히 거래량이 늘었다고 해서 회복세로 보기에는 아직 이르다는 분석도 나온다.여기에 내달 시행될 분양권 전매 제한 완화 역시 긍정적이지 않을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오고 있다.조정대상지역 당시 분양된 아파트의 경우 투자 수요가 들어오기 힘든 구조였다며 실거주 목적의 분양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어 실제 시장에 나올 물량은 그리 많지 않을 수도 있다는 평가다.최현웅 사랑방 부동산팀장은 "여전히 평소보단 거래량이 위축된 모습을 보이지만 지난해 말보다는 개선의 조짐을 보이고 있다"면서도 "단기적으로 비율이 왔다 갔다 할 순 있지만, 활황기로 보기엔 무리가 있다"고 말했다.이어 최 팀장은 "보통 4월부터 여름철까지는 거래량이 떨어지는 추세였는데 정부 정책 등으로 인한 변수에 따라 거래량은 달라져 왔다"며 "마륵공원에 이어 상무 센트럴 자이의 분양성적이 좋을 경우 전망성이 좋은 단지에 대한 관심이 고조될 수 있다. 부동산 시장의 중요 변수가 될 가능성이 크다"고 전망했다. 도철원기자 repo333@mdilbo.com
- · 3월 넷째주, 광주를 달군 부동산 이슈는?
- · ‘15억 1500만원’ 광주에서 가장 비싼 아파트는?
- · 2월 광주 아파트전세거래 2년새 '최고'···실수요 몰렸다
- · "아직도 무섭게 떨어진다" 아파트값 하락폭 1위 인천, 광주는?
- 1"5천원에 양껏 드세요"···광주 동네별 구내식당 10곳..
- 2'저점서 벗어난' 광주 아파트매매 변화조짐 이어질까..
- 3영끌족 살길 보인다…가계대출 금리 ‘하락세’ 뚜렷..
- 4늘 먹는 치킨 말고 닭구이 어때? 광주 닭구이 맛집..
- 5"내 연봉은 7000만, 남친 연봉은 3800만···파혼할까요?..
- 6'지금 영암은 벚꽃 세상'···왕인문화축제장 관광객 북적..
- 7전국에서 가장 긴 벚꽃길 '활짝'···구례300리 벚꽃축제 개최..
- 8"광주시민은 영웅" 전두환 손자, 겉옷 벗어 5·18열사 비석 ..
- 9위메프, 봄 아우터·여행 상품 등 시즌 상품 특가 판매..
- 10엘리베이터 닫힘 버튼에 '압정' 붙인 배달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