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속보] 생후 6개월 영유아도 내달 코로나 백신 접종···30일 예약 시작뉴시스
- [속보] 상반기 검찰 정기인사···법무부 법무실장에 김석우뉴시스
- [속보] 中 입국자 단기비자 발급 제한 한 달 더···"조기 재개 가능"뉴시스
- [속보] 코로나 위중증 481명, 10일째 400명대···사망 36명뉴시스
- [속보] 신규 확진 3만1711명···이틀째 전주 대비 증가뉴시스
- [속보] 중대본 "코로나 지정병상 감축···14만명 확진되도 대응"뉴시스
- [속보] 중대본 "3만1000명대 확진, 설 연휴 직후 소폭 반등"뉴시스
- [속보] LGD, 지난해 3분기 연속 적자···2조850억 손실뉴시스
- 초당 모임 정치개혁 2050 "양당 벗어나 다원 지향해야···4인 이상 대선거구 고민해야"뉴시스
- 日정부, 기시다 장남 '관용차 관광·쇼핑' 일축···"공무外 부적절 행동 없어"뉴시스
광주, 전달 대비 0.22%p 낮은 -1.64%

전국적으로 주택가격 하락세가 계속되고 있는 가운데 광주지역의 주택매매지수도 최근 계속 마이너스 행진을 이어가고 있다. 하지만 타지역보단 가격 하락세가 상대적으로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
16일 한국부동산원의 전국주택가격동향조사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주택종합 매매가격은 -1.98%로 전달(-1.37%)대비 하락 폭이 확대됐다.
수도권은 -1.77%에서 -2.60%로, 서울은 -1.34%에서 -1.96%, 5대 광역시는 -1.53%에서 -2.05%로, 8개도는 -0.67%에서 -0.96%로, 세종은 -2.33%에서 -.5.00%로 각각 하락폭이 커졌다.
광주의 경우 8개 도를 제외한 5대 광역시, 서울, 수도권과 비교했을때 가격 하락폭이 가장 작았다.
광주는 -1.64%로 전국 평균인 -1.98%와 5대 광역시 평균 -2.05%에 비해 각각 0.34%p, 0.41%p 낮았다.
아파트로 한정했을때도 광주는 지난달 -2.01%로-2.70%를 기록한 5대 광역시 평균보다 하락폭이 작았으며 전국 평균인 -2.91%보다도 0.90%p 가량 하락폭이 작았다.
전세가격 지수도 전달 -1.90%에서 -2.16%로 하락폭이 확대됐지만 전국 평균(-3.65%)과 5대 광역시(-3.19%)와 차이를 보이고 있다.
월세가격지수도 전국 최저 수준의 하락세를 보이고 있는 반면 유일하게 준전세의 경우 0.11%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도철원기자 repo333@mdilbo.com
-
아파트값 4주 연속 낙폭 축소...전국 -0.42% 서울 -0.31% 기사내용 요약부동산원 1월4주 아파트 가격 동향규제 안 풀린 강남·용산도 낙폭 축소[서울=뉴시스] [서울=뉴시스] 이예슬 기자 = 부동산 시장 경착륙을 방지하기 위한 정부의 규제 완화로 아파트 값 하락 폭이 4주 연속 축소됐다. 관망세는 지속되고 있지만 규제지역에서 해제되지 않은 강남권과 용산구도 내림 폭이 줄었다.26일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1월 넷째 주(23일 기준) 주간 아파트 가격 동향을 조사한 결과 전국 매매 가격은 일주일 전보다 0.42% 내려 전주(-0.49%) 대비 하락 폭이 축소됐다.수도권(-0.59%→-0.48%), 서울(-0.35%→-0.31%), 5대 광역시(-0.49%→-0.43%), 8개도(-0.28%→-0.26%), 세종(-1.12%→-1.00%)도 마찬가지였다.서울에서는 지난달까지만 해도 주간 하락률이 0.1%를 넘던 노·도·강 등 외곽지역도 내림세가 어느 정도 진정되는 모습이다. 노원(-0.39%→-0.31%), 도봉(-0.44%→-0.37%), 강북(-0.37%→-0.28%), 성북(-0.40%→-0.30%) 등의 하락 폭이 줄어들었다.여전히 규제지역으로 묶여있는 곳도 규제 완화의 혜택을 입었다. 서초(-0.12%→-0.6%)의 하락률이 가장 낮았고, 강남(-0.25%→-0.11%)이 그다음이었다. 용산(-0.29%)도 전주(-0.37%)보다 하락 폭이 축소됐다.부동산원 관계자는 "가격 하락 폭이 다소 둔화하는 모습"이라면서도 "매수 희망 가격 간 괴리는 여전히 좁혀지지 않아 관망세가 지속되고, 연휴 영향으로 거래 활동이 감소했다"고 설명했다.인천(-0.66%→-0.44%)과 경기(-0.71%→-0.59%)가 서울보다 더 많이 떨어졌다. 화성시(-1.30%→-1.00%)는 동탄신도시와 병점동, 안산 단원구(-0.90%→-0.92%)는 초지·선부동 구축, 수원 장안구(-1.20%→-0.92%)는 천천·정자동 급매영향 있는 주요단지, 오산시(-1.07%→-0.91%)는 세교·부산·내삼미동 신축 위주로 하락했다.전세 시장은 고금리 기조가 유지되는 상황에서 지속적으로 하락 거래가 체결되면서 임차인 우위 시장이 유지되고 있다. 전셋값은 양천구(-1.59%→-1.53%)는 목·신정동 주요 단지, 강서구(-1.32%→-1.36%)는 염창·등촌동 구축, 강동구(-1.32%→-1.32%)는 고덕·명일·암사동, 구로구(-1.28%→-1.31%)는 구로·신도림·개봉동 대단지, 서초구(-1.15%→-1.25%)는 서초·방배·우면동 구축 중심으로 내렸다.◎공감언론 뉴시스 ashley85@newsis.com
- · 지난해 땅값 2.73% 상승···토지거래량은 33% 감소
- · 한은 "집값 하락으로 올해 소비 회복 예상치 밑돌 듯"
- · 주차대수 충분히 확보한 아파트, 분양가 더 받을 수 있다
- · 1월 셋째주, 광주를 달군 부동산 이슈는?
- 1"은행보다 비싸다" 논란에 특례보금자리론 금리 0.5%p↓(종합..
- 2광주 '또간집' 풍자, "맛있어서 환장"···극찬한 식당 어디?..
- 310억 넘던 송도·청라 아파트 '반토막' 거래 속출..
- 4"가습기 틀고 수도꼭지 온수로 잠그지 마세요"..
- 5남편까지 공유하는 일란성 쌍둥이, '동시 임신' 시도 중..
- 6강기정 시장 "어디에도 없는 광주다움 통합돌봄 시작"..
- 7지마켓 "구찌·버버리, 오늘 라방서 최대 40% 저렴하게"..
- 8'푼돈 재테크' 푹 빠진 MZ세대···"빈병·쇼핑백도 팔아요"..
- 9동신대, 2023학년도 학부·대학원 등록금 동결···12년째..
- 10저축액 두 배로 불리는 청년13(일+삶)통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