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결혼 안혜경, 남편 누구길래···사회 송중기뉴시스
- HD현대 건설기계 3사, 추석 전 자재대금 1327억 조기 지급뉴시스
- 이스라엘군 또 가자지구에서 하마스부대에 드론공격 뉴시스
- 현대차·기아, 아이디어 페스티벌···'세상을 바꾸는 따뜻한 기술'뉴시스
- "문 열어주지 않아서" 60대 홧김에 전 부인 집에 불뉴시스
- 송파 일가족 5명 사망···이웃들 "화목해보였는데" 당혹뉴시스
- 美언론 "류현진 5실점보다 슈나이더 용병술 더 문제"뉴시스
- 김기현 "민주, 방탄하는 악순환 고리 끊고 민생 경쟁하자"뉴시스
- 교육부, 내년부터 영어유치원 등 유아 사교육 실태조사뉴시스
- 국내 최대 '전남 캠핑관광 박람회' 해남서 열린다뉴시스
기사내용 요약
어촌 규모·특성 따라 체계적 지원

[서울=뉴시스] 박성환 기자 = 정부가 300개 어촌을 대상으로 총 3조원을 투자하는 '어촌신활력증진사업'을 추진한다. 어촌생활권 유형별로 일자리·생활복지·안전인프라 등을 개선하기 위해서다.
정부가 5일 내놓은 '2023년부터 이렇게 달라집니다'에 따르면 해양수산부는 소멸위기에 놓인 어촌지역을 경제거점으로 집중 육성하는 어촌신활력증진사업을 본격 추진한다.
어촌신활력증진 사업은 2027년까지 5년 간 어촌지역 300곳에 총 3조원을 투자해 어촌지역을 경제거점으로 육성하고, 어촌지역에 꼭 필요한 보건·복지, 문화, 돌봄 등 생활서비스를 맞춤형으로 지원하는 사업이다.
이 사업은 어촌의 규모와 특성에 따라 체계적으로 지원하기 위해 ▲어촌경제플랫폼 조성(유형1) ▲어촌생활플랫폼 조성(유형2) ▲어촌안전인프라 개선(유형3) 등 총 3개 유형으로 추진된다. 올해 60곳(유형1 5곳·유형2 35곳·유형3 20곳)을 대상으로 사업이 시작된다.
국가어항과 같은 중심어촌은 경제·생활서비스의 거점(25곳·1곳당 300억원)으로, 주변 지역은 정주·경제 환경개선을 통해 도시에 가지 않아도 충분히 생활이 가능한 자립형 어촌생활권(175곳·1곳당 100억원)으로 바뀐다. 또 낙후돼 어촌 주민의 안전을 위협하는 생활 시설과 안전시설도 개선(100곳·1곳당 50억원)한다.
◎공감언론 뉴시스 sky0322@newsis.com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1"풍영정천 초등생 익사, 안전 소홀 광주시 손배 책임"..
- 2이호연, 오늘 결혼···'이승기♥이다인 부케' 받은 지 5개월만..
- 3문상훈, 시구하려다 꽈당···"아킬레스건 끊어져"..
- 4예금보호한도 5000만원 유지될 듯···시장 불안 고려..
- 5'짠돌이' 정혁 "1500만원 운동화 구매하게 한 前 여친, 환..
- 6'돌싱글즈4' 제롬, '최종선택 고민' 베니타에게 '직진'..
- 7광주 최고봉에 서다, 무등산 정상 57년만에 시민 품으로..
- 8정준하 "계속하고 싶었는데 잘렸다"···'놀면 뭐하니' 하차 심..
- 9'53세' 최성국, '늦깎이' 아빠···24세 연하 아내 출산 ..
- 10비트코인 2100만개···누가 가장 많이 보유했나 살펴보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