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中 선거개입 수사' 캐나다 특별보고관 돌연 사임뉴시스
- '브레이킹 배드' 마이크 바타예, 잠자다 심장마비로 사망···향년 52세뉴시스
- 이병헌, 화제의 '건치 댄스' 연습···"여전히 현란한 몸놀림"뉴시스
- <고침> 양양 설악해변서 낙뢰로 6명 부상···1명 심정지·1명 중상 (종합)뉴시스
- 소말리아 불발탄 폭발 80명 사상···수도에선 테러로 16명 사망(종합)뉴시스
- '음주 파문' 김광현, 11일 NC전서 복귀···22일 만에 등판뉴시스
- 퇴짜 맞은 주민규, 클린스만 앞 환상골···울산, 제주 대파뉴시스
- 박민지-박주영 정면 대결···대회 3연패 VS 최다 출전 우승뉴시스
- '안우진 7이닝 9K 1실점+김혜성 만루포' 키움, KT 7연승 저지뉴시스
- 트뤼도 캐나다 총리, ''대반격' 와중 우크라 깜짝 방문뉴시스

올해 두 차례의 화물연대 파업이 한국경제에 약 10조원 이상의 직·간접 손실을 미쳤으며, 안전운임제 일몰 연장 시 향후 연간 2조7천억원의 경제적 비용이 발생할 것이라는 주장이 제기됐다.
한국경제연구원(이하 한경연)은 '화물연대 파업과 안전운임제 연장 및 확대의 경제적 비용' 보고서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한경연이 지난 6월과 최근 있었던 화물연대 파업으로 인한 자동차, 철강, 석유화학, 시멘트, 타이어 등 부문별 직접 피해규모(5조8천억원)를 산출했다. 이로 인한 간접적 경제손실 규모까지 추정한 결과 파업으로 인해 10조4천억원(GDP의 0.52%)의 직·간접 경제적 손실이 발생했다.
화물연대 파업으로 인해 투자는 0.32%, 수출은 0.25%, 고용은 0.17%씩 각각 감소하는 효과가 나타났다고 추정했다.
한경연이 안전운임제 일몰 기한 연장(3년간)이 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는 2022년의 운임인상률이 3년 간 지속될 경우 매년 2조7천억원(GDP의 0.13%)씩 3년 간 8조1천억원의 경제적 비용이 발생하는 것으로 추정됐다. 안전운임제 일몰 연장 시, 고용은 연 0.04%, 수출은 연 0.1% 감소할 것으로 전망됐다.
한편, 지난 3년 간(2020∼2022년) 안전운임제 시행에 따른 누적 경제적 비용 규모는 21조2천억원으로 추산된다. 특히 안전운임제 도입 첫 해인 2020년에는 운임이 12%이상 크게 인상되면서, 경제적 손실규모가 GDP의 0.69%에 달하는 12조7천억원으로 나타났다.한경국기자 hkk42@mdilbo.com
- 1"보증금 깎아달라면 집 팔 수밖에"···급매 쏟아지나[하반기 역..
- 2왜 이렇게 오를까···코스피 또 연중 최고..
- 3나주시장 "한전공대 호남 특혜 아니다···국가에너지 미래 좌우"..
- 4이번 주말, 동석이형? 차정숙?···영화·OTT 최대 할인 받는..
- 5전기요금 올랐는데···냉방비 폭탄 해법은?..
- 6"마스크 벗어도 되는 줄"···병원, 마스크 혼란 여전..
- 7父서세원 떠나보낸 서동주, 긴머리 싹둑···"새로운 시작"..
- 8이효리♥이상순, 동반출국···스위스에서도 힙한 미모..
- 9김구라, 전처 17억 빚 언급 "이혼 사유? 표면적으로는 금전적..
- 10박남정 둘째 딸, '대입 5관왕' 어떻게?···언니 따라 연예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