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속보] 코로나 위중증 359명, 이틀째 300명대···사망 42명뉴시스
- [속보] 1월 적자폭 전월比 2.7배 확대···반도체 수출 44.5%↓뉴시스
- [속보] 중대본 "WHO 비상사태 '유지', 위험 사라진 것 아냐"뉴시스
- [속보] 1월 무역수지 15.6조원 적자···4개월 연속 수출 감소뉴시스
- [속보] 코로나 주간 치명률 0.08%···재감염 비율 22.8% 추정뉴시스
- [속보] SK하이닉스, 작년 4분기 영업손실 1.7조···적자 전환뉴시스
- [속보] 뉴욕 증시, 인플레 둔화 기대에 다우 1.09%↑ 나스닥 1.67%↑뉴시스
- 뇌물수수 혐의 엄태항 전 봉화군수, 2심서 징역 6년6개월···법정구속뉴시스
- 지난달 서울 아파트 경매 낙찰률 2배 '껑충'···감정가 '반값'에 몰렸다뉴시스
- SK디앤디 에피소드, '글로벌 코리빙 트렌드 리포트' 첫 발간뉴시스
기사내용 요약
부동산자산 6대 금융자산 4로 분배, 주식과 펀드에서 손실
부동산으로 수익 올려, 중장기 투자처 '거주용 외 주택' 꼽아

[서울=뉴시스] 이정필 기자 = 우리나라 자산가들은 지난 1년간 주식과 펀드 투자에서 손실을 보고 부동산 투자로 수익을 낸 것으로 조사됐다. 현재는 고금리 시기를 맞아 예적금을 쌓아두는 데 주력하고 있다.
4일 KB금융그룹이 발간한 '2022 한국 富者(부자) 보고서'에 따르면 금융자산 10억원 이상을 보유한 개인인 한국 부자의 총자산 포트폴리오는 부동산자산 56.5%, 금융자산 38.5%로 구성됐다. 한국 부자의 부동산자산 비중은 지난해 대비 소폭 감소했고, 금융자산 비중은 증가했다.
일반 가구의 총자산이 부동산자산 79.5%와 금융자산 16.1%로 구성된 것과 비교하면, 부자의 금융자산 비중은 일반 가구의 2.4배 수준이다. 금융자산이 많을수록 부동산자산보다 금융자산 비중이 높았다. 금융자산 30억원 이상 부자는 금융자산 49.8%, 부동산자산 44.9%로 분배했다.
올해 한국 부자는 지난해에 비해 유동성 금융자산과 예적금의 비중을 늘렸다. 지난해 하반기 이후 금리 인상과 주택경기 냉각, 주식시장 침체 등의 영향으로 전년 대비 유동성 금융자산(+1.6%p)과 예적금(+1.4%p) 비중을 높였다. 거주용 부동산(-1.6%p)과 주식·리츠·ETF(-0.9%p), 보험(-0.5%p) 비중은 줄였다.
한국 부자는 지난 1년간 채권과 보험에서는 수익을, 주식과 펀드에서는 손실을 경험했다. 금융투자에서 전반적으로 손실을 겪었다. 수익을 경험한 부자 17.0%, 손실을 경험한 부자 18.8%로 손실 경험이 1.8%포인트(p) 높았다.
채권과 만기환급형 보험에서는 수익을 경험한 경우가 각각 3.2%p, 8.0%p 많았다. 주식과 펀드에서는 손실을 경험한 경우가 각각 14.7%p, 6.7%p 높았다.
부동산의 경우 모든 유형의 투자처에서 수익을 경험했다. 거주용 부동산에서 수익을 경험한 경우가 42.5%, 손실을 경험한 경우가 1.5%로 차이를 보였다. 또 거주용 외 부동산에서 수익을 경험한 경우가 34.0%, 손실을 경험한 경우가 1.5%로 나타났다.
거주용 외 부동산 중 아파트에서 수익이 발생한 경우가 23.8%로 가장 많았다. 다음으로 토지·임야(14.3%), 상가(10.8%) 순이었다. 아파트를 제외한 재건축아파트, 오피스텔, 단독·다가구 등 주거용 부동산에 투자하지 않았다는 응답이 늘면서 투자처로 관심은 감소한 것으로 분석됐다.
기타자산 중에서는 금·보석, 회원권, 예술품에서 수익을 경험했다. 비트코인, 이더리움 등 디지털자산 투자에서는 손실을 경험했다.
한국 부자가 꼽은 자산운용 과정에서 향후 가장 큰 위험요인은 금리 인상(47.0%)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인플레이션(39.8%), 부동산 규제(35.8%),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35.0%), 세금 인상(32.5%) 등 순이었다.
향후 1년간 단기 투자로 예적금을 늘리겠다는 응답은 29.0%를 차지했다. 이는 금리 인상과 주식시장 침체에 따른 대응 전략이란 분석이다.
향후 3년간 중장기 투자처로는 거주용 외 주택(43.0%)을 가장 많이 꼽았다. 다음으로 거주용 부동산(39.5%), 빌딩·상가(38.0%), 토지·임야(35.8%), 주식(31.0%) 순이었다. 중장기 투자처로 각광받은 부동산 중에서는 토지·임야의 선호도가 전년 대비 크게 증가했다.
이번에 발행된 2022 한국 부자 보고서는 지난 6월1일부터 7주간 10억원 이상의 금융자산을 보유한 한국 부자 4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와, 별도 패널을 대상으로 한 1대 1 심층 인터뷰 결과를 토대로 작성됐다. KB금융지주 경영연구소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공감언론 뉴시스 roman@newsis.com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아파트 1순위 청약 경쟁률 0.3대 1 '뚝'...80가구 모집에 1명 신청도 기사내용 요약직방, 1월 청약 분석...청약 미달률 73.8%뉴시스 자료사진.[서울=뉴시스] 홍세희 기자 = 새해 첫 달 아파트 1순위 청약이 진행된 단지에서 미달이 속출하면서 평균 경쟁률도 크게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1일 부동산 플랫폼 업체 직방에 따르면 지난 1월 전국 아파트 1순위 청약 평균 경쟁률은 0.3대 1로 집계됐다. 전년 동월(12.6대 1)과 비교해 큰 폭으로 하락했다.청약 미달률도 상승세다. 전국 아파트 1순위 청약 미달률은 지난해 11월 28.6%에서 12월 54.7%로 상승한 뒤 지난달 73.8%까지 치솟았다.충남 서산 해미면에 조성되는 '서산 해미 이아에듀타운'은 총 80가구 모집에 1순위 청약에 단 한 명만 신청한 것으로 나타났다. 2순위 청약에도 2명만 신청하면서 청약 미달률이 96.3%에 달했다.전북 익산 부송동에 지어지는 '익산부송데시앙' 역시 727가구 모집에 1순위 청약에서 120명만 신청하면서 0.2대 1의 경쟁률을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수도권에서도 청약 미달이 이어졌다. 경기 양주 덕계동 '양주회천지구 대광로제비앙2차'는 총 266가구 모집에 213명이 신청해 순위 내 마감에 실패했다. 청약 경쟁률은 0.8대 1에 그쳤고 청약 미달률은 19.9%를 기록했다.인천 연수구 옥련동에 공급되는 '송도역 경남아너스빌' 역시 총 94가구 모집에 62명만 접수하면서 청약 미달률이 34%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공감언론 뉴시스 hong1987@newsis.com
- · '6만전자'도 간당간당···삼성전자, 반등은 언제
- · 지난달 서울 아파트 경매 낙찰률 2배 '껑충'···감정가 '반값'에 몰렸다
- · SK디앤디 에피소드, '글로벌 코리빙 트렌드 리포트' 첫 발간
- · DB금투, 신용·주식담보대출 금리 '7일간 무료' 제공
- 1'로또 1등' 한 명이 동시에 3번 당첨···70억 대박..
- 2부양가족 있으면 구직촉진수당 최대 540만원 지원..
- 3가뭄 속 한숨 돌린 광주시···제한급수 늦춰져..
- 4'인분 아파트' 사라지나···건설현장 화장실 추가 설치된다..
- 5농성역~챔피언스필드 구간, 트램 대신 BRT '급부상'..
- 6미분양 '위험수위' 6만 가구 넘었다···두 달 연속 1만 넘게..
- 7광주시, 청원경찰 5명 공채···2월 21∼23일 접수..
- 8광주 출신 이지현씨 미시즈유니비스 그랜마 세계대회 1위..
- 9지난해 주택 매매 '반토막'...월세거래 비중 전세보다 많아..
- 10흑산공항 행정절차 마침표···하반기 착공 '관광 비상'(종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