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녹유 오늘의 운세] 61년생 역경 지나가고 꽃길 펼쳐집니다뉴시스
- 이창용 "한국성인 16%, 가상자산 계좌 있어···나의 골칫거리"(종합)뉴시스
- 시진핑, '체포영장 발부' 푸틴 초청···"연내 방문 기대"(종합)뉴시스
- [속보]푸틴 "아시아·중남미 무역서 위안화 사용 지지"뉴시스
- [속보]푸틴 "러시아 떠난 기업 대체 위해 中 기업 지원"뉴시스
- [속보]푸틴 "中과 에너지 협력···식품 수출 확대도 기대"뉴시스
- [속보]푸틴 "시진핑과 매우 실질적이고 솔직한 의견 교환"뉴시스
- [속보]푸틴, 시진핑과 회담 뒤 "바이든 만날 계획 없어"뉴시스
- 이창용 "한국 성인 16%, 가상자산 계좌 있어···골칫거리"뉴시스
- 대만 차이잉원 미국 방문에...中 "엄정한 교섭 제기"뉴시스
기사내용 요약
한은 기준금리 인상에도 예적금 금리 인상 고민
금융당국 조달 경쟁 자제 권고에 분위기 달라져
대출금리는 상승세 계속…예대금리차 커질 수도

[서울=뉴시스]이주혜 기자 =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0.25%포인트 올렸지만 시중은행의 수신금리 인상 소식이 잠잠하다. 금융당국의 예적금 금리 인상 자제 당부에 눈치를 보고 있어서다. 대출금리가 오르는 가운데 예금금리만 제자리에 머물면 예대금리차는 더 벌어질 것으로 보인다.
25일 금융권에 따르면 한은 금통위가 전날 기준금리를 인상했으나 시중은행들은 예적금 금리 인상 여부를 두고 고민 중이다. 반면 대출금리는 오름세를 지속하면서 현재 7%대에서 8%대까지 오를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전날 한은 금융통화위원회는 통화정책방향 회의를 열고 기준금리를 3.25%로 기존 3.00%에서 0.25%포인트 올렸다. 금통위는 4·5·7·8·10월에 이어 이번 회의에서도 인상에 나서면서 사상 처음으로 여섯 차례 연속 기준금리를 인상했다. 기준금리는 2012년 7월 이후 10년 4개월 만에 가장 높은 수준으로 올랐다.
시중은행 관계자는 "이전까지는 기준금리 인상 후 빠르게 수신금리에 반영했지만 이번에는 예금금리를 바로 인상하지 않을 것 같다"며 "아무래도 은행들이 당국의 눈치를 보게 되는 것 같다"고 말했다. 다른 관계자도 "타행이 예금금리를 인상하면 따라가지 않을 수 없겠지만 먼저 올리기는 꺼려지는 상황"이라고 덧붙였다.
대출금리는 상승세가 이어질 전망이다. 은행권 관계자는 "속도는 조절되더라도 금리인상 기조가 계속되면서 대출금리는 내년 초까지도 오를 것"이라며 "금리 상단은 8%, 9%를 넘어설 가능성도 없지 않다"고 말했다.
대출금리가 계속 오르는 상황에서 은행들이 예금금리를 올리지 않을 경우 예대금리차는 더 벌어질 수밖에 없다. 예금금리가 가파르게 뛰었던 지난달 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 등 5대 시중은행의 예대금리차는 소폭 줄었으나 여전히 1~1.5%포인트 수준을 유지했다.
앞서 시중은행들은 기준금리가 인상되면 이를 반영해 수신금리를 올렸다. 지난달 한은이 기준금리를 한 번에 0.5%포인트 인상하는 '빅스텝'을 단행하자 은행들은 인상 당일부터 수신금리를 인상했다. 이후 일주일 사이 5대 은행이 모두 예적금 금리를 올렸다. 최대 인상폭은 기준금리 인상폭의 두 배인 1%포인트에 달했다.
한 은행 관계자는 "이번에는 수신금리를 인상하더라도 이전처럼 큰 폭으로 올리기보다는 기준금리 인상폭 정도에 그치지 않을까 싶다"고 언급했다.
금융당국은 은행권의 금리 경쟁으로 인해 자금 쏠림 현상이 나타나자 수신금리 인상을 자제하라고 당부하고 있다. 은행이 시중자금을 빨아들이면 제2금융권의 유동성 부족을 야기할 수 있어서다. 예금금리 상승은 대출금리 상승으로도 이어진다.
금통위를 하루 앞둔 23일에도 금융당국은 "과도한 자금 확보 경쟁은 대출금리 상승 등으로 이어져 경제에 부담이 될 수 있는 만큼 업권 간·업권 내 과당경쟁을 자제할 필요가 있어 시장 내 불안감을 조성하는 시장교란 행위는 엄정 조치하겠다"고 강조했다.
은행권 예금금리는 연 5%대로 올라선 상태다. 은행연합회에 따르면 이날 4대 은행의 정기예금(12개월) 최고금리는 하나은행 연 5.00%, 우리은행 연 4.98%, 신한은행 연 4.95%, KB국민은행 4.82% 등이다.
고금리에 더해 주식과 부동산 등 자산시장이 침체하면서 시중 자금은 은행으로 몰리는 추세다. 지난달 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 등 5대 시중은행의 정기예금 잔액은 47조원 넘게 늘었다. 은행권 정기예금 잔액은 800조원을 넘어섰다.
은행권에서 고금리 예금이 쏟아지자 저축은행도 금리 경쟁에 가세했다. 저축은행권의 정기예금(12개월) 최고금리는 연 6%대다. 79개 저축은행의 12개월 정기예금 평균 금리는 이날 기준 연 5.53%로 올해 초 2.37%에서 2배 이상 뛰었다.
◎공감언론 뉴시스 winjh@newsis.com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한경연 "기준금리 상반기 3.75%, 하반기 4.0% 전망" [서울=뉴시스] 사진공동취재단 =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13일 서울 중구 한국은행에서 금융통화위원회 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2023.01.13. photo@newsis.com[서울=뉴시스]이현주 기자 = 현재 3.5% 수준인 기준금리가 올 상반기 3.75%, 하반기에는 4.0% 수준으로 더 높아질 것이라는 예측이 나왔다.한국경제연구원(한경연)은 23일 '2023년 기준금리 예측과 정책 시사점' 분석을 통해 이같이 밝혔다. 한경연이 2001년 1분기에서 2022년 4분기까지의 분기별 자료를 이용해 10개 모형을 통해 올해 기준금리를 예측한 결과 반기별 국내 기준금리 평균은 올 상반기 말 3.75%, 연말 4.0%로 나타났다.한경연은 "석유류 등 국제원자재 가격과 글로벌 인플레이션이 안정돼 주요국들의 추가적인 금리인상이 없을 경우 국내 기준금리는 상반기 3.75%로 인상돼 하반기에도 유지되겠지만, 그렇지 못할 경우 하반기에도 한 차례(0.25%) 더 인상될 것"이라고 밝혔다.◆美연준 추가 금리 인상 가능성…기준금리 인상 압력↑한경연은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Fed)의 추가적인 기준금리 인상 가능성과 국내 물가불안으로 국내 기준금리 인상 압력이 높다고 봤다.둔화세를 보이던 미국의 소비자물가와 생산자물가는 올해 1월 들어 재차 상승하는 등 인플레이션 압력이 여전히 높아 연준이 기준금리를 추가 인상할 가능성이 제기된다.국내물가 불안도 기준금리 인상을 압박하는 요인이다. 지난해 7월 6.3% 이후 둔화되던 소비자물가는 올 1월 5.2%로 전달 5.0% 대비 재차 상승했고, 기조적 물가흐름을 나타내는 근원물가도 지난해 8월 4.4% 이후 5개월 연속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근원물가란 농산물·석유류 등 계절적 요인에 의한 가격변동요인을 제거한 소비자물가를 말한다.올 1월 근원물가 상승률(5.0%)은 글로벌 금융위기 당시인 2009년 2월(5.2%) 이후 13년 11개월만에 최대치다.근원물가가 안정되지 못할 경우 향후 국제원자재 가격이 안정되더라도 소비자물가는 높은 수준을 유지할 가능성이 있다. 한경연은 추가적인 국내 기준금리 인상이 예상되지만, 침체된 실물경제에 대한 악영향을 고려했을 때 인상폭은 제한적일 것으로 봤다.한국의 기준금리와 가장 밀접한 상관관계를 갖는 변수는 미국보다는 EU의 기준금리로 파악됐다. 다음으로 영국 기준금리, 미국 기준금리, 소비자물가상승률, 경제성장률 순으로 나타났다.◎공감언론 뉴시스 lovelypsyche@newsis.com
- · 美 연준 이사 "금리 더 올려야···물가 안정 아직 멀어"
- · 호주, 기준금리 3.35%로 25bp↑..."추가인상 필요"
- · 한은 "미 연준-시장 인식 차 커···금융시장 변동성 확대 우려"
- · 미 연준 속도조절...대출금리 영향은
- 1"전액 지원하니 여행오세요"···현금 뿌리는 지역, 어디?..
- 2"기존 집 안팔려" 불 꺼진 새 아파트, 서울은 줄고 광주는 늘..
- 3영산강환경청 "전남 주요 댐, 6월까지 버틸 수 있을 듯"..
- 44억대 '이곳' 아파트, 2000만원 주고 샀다…다시 고개 든 ..
- 5남광주시장에 가면? 꼭 가봐야할 맛집 3곳..
- 6최대 100만원 '소액생계비대출' 27일 출시···최저 연 9...
- 7광주은행, 'KIA타이거즈 우승기원 예·적금'..
- 8부동산 시장 불황에 새마을금고 대출 연체율도 ‘쑥’..
- 9특례보금자리론 신청 '폭주'···신규주택 구입 40.8% 달해..
- 10광주 중외공원 놀이기구 32년 만 철거, '예술정원' 탈바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