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독일 총리, "우크라 EU가입 특혜 안돼"···佛 대통령에 이어 뉴시스
- 프로농구 데이원자산운용, 김승기 감독과 4년 계약 뉴시스
- 원강수 원주갑 '행복한 변화, 원강수 시민캠프' 발족뉴시스
- 지소연 금의환향 "8년 동안 좋은 시간···여러 클럽 제안 있었지만"뉴시스
- [부고]옥성구(뉴시스 경제부 기자)씨 외조모상뉴시스
- '슈돌' 젠 할아버지 "귀 이어 발바닥까지 닮았네"···꿀 뚝뚝뉴시스
- 민주당 장충남 남해군수 후보, 출정식 갖고 선거전 돌입뉴시스
- 국힘 박영일 남해군수 후보, 출정식 갖고 선거운동 돌입뉴시스
- 국힘 장재철 시흥시장 후보 "이번엔 바꿔야 한다"뉴시스
- WFP "푸틴, 제발 우크라 항구 열어라···봉쇄는 세계 식량안보 선전포고"뉴시스
기사내용 요약
올해 1분기 지방 8개도 아파트 전세가율 80% 육박
깡통전세 및 보증금손실 가능성…차라리 내집 장만

[서울=뉴시스] 고가혜 기자 = 전국 아파트 전세가격이 서서히 안정세를 되찾고 있지만 지방 중소도시의 전세시장은 여전히 불안한 것으로 나타났다.
6일 부동산 리서치업체 리얼투데이가 한국부동산원의 아파트 전세가율을 분석한 결과, 전국 전세가율은 지난해 1분기(70.4%)부터 매분기 하향곡선을 그리기 시작해 올해 1분기 68.9%를 기록했다.
수도권은 2019년 1분기에 처음으로 70%대가 붕괴된 이후 매분기 하락해 올해 1분기엔 63.6%까지 떨어졌다. 반면 올해 기타지방(지방 8개도)의 전세가율은 77.1%로 2019년 1분기(77.2%)와 큰 차이가 없다. 현재 기타지방의 전세가율은 수도권보다 무려 13.4%나 높다.
전세가율이 전국에서 가장 높은 지역(시/도)은 전북 79.0%였으며 경북 78.8%, 충남 78.8%, 충북 77.9%, 전남 77.4%, 강원 77.0% 순이었다.
부동산 업계에선 통상적으로 전세가율이 70%를 넘어서면 위험하다고 보고 있다. 주택가격이 떨어지고 경매까지 집행된다면 원금 손실 가능성이 커지기 때문이다. 또한 전세가율이 80%를 넘어서면 깡통주택으로 전락할 가능성이 크므로 계약을 피하는 것이 좋다고 설명한다.
하지만 지방 중소도시에선 전세가율 80%를 넘는 도시들을 어렵지 않게 찾아볼 수 있다. 전국 15곳의 전세가율이 80%를 넘어섰으며 이 중 지방 중소도시가 12곳을 차지했다.
전남 광양이 84.9%로 전세가율이 가장 높았으며 경기 여주 84.2%, 충남 당진 83.4%, 전남 목포 83.3%, 경북 포항 82.6%, 충남 서산 82.6%, 강원 춘천 82.6% 순으로 나타났다.
업계에서는 아파트 전세가율이 올해 70%를 넘어선 지역들은 전세가격과 매매가격의 차이가 크지 않으므로 차라리 내 집을 장만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라고 제언한다. 깡통전세와 전세보증금 손실에 대한 부담을 덜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새 정부의 '부동산규제 완화정책'과 '원자재가격 상승'으로 분양가 인상이 불가피해지면서 오는 5~6월에 신규공급되는 분양 물량이 주목을 받고 있다.
대우건설은 경남 김해시 구산동에 짓는 '김해 구산 푸르지오 파크테르'의 견본주택을 개관하고 본격적인 분양에 돌입했다.
DL건설은 충북 제천시 장락동에 'e편한세상 제천 더프라임'을 이 달 중 공급할 계획이다. 강원 원주시에서는 DL이앤씨가 오는 6월 'e편한세상 원주 프리모원'을 선보인다.
한신공영은 경남 양산시 평산동 일원에서 '양산 한신더휴'를 분양 중이다. 한일건설은 제주 제주시 한경면 낙천리 일원에 들어서는 '한일 베라체 인비디아'를 분양한다.
◎공감언론 뉴시스 gahye_k@newsis.com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광주 아파트가격 소폭 상승···전국은 하락폭 유지 2022년 5월 3주 시도별 아파트 매매가격지수 변동율. 한국부동산원 제공전국 아파트 매매가격이 하락폭을 유지한 가운데 광주의 아파트는 상승세를 유지했다.한국부동산원이 최근 발표한 '전국주택가격동향조사 2022년 5월 3주 주간 전국 아파트가격 동향'에 따르면 광주는 0.03% 상승했다.지난 주 0.03% 오른 광주 아파트 매매가격은 이번에도 같은 수준으로 증가하며 상승폭을 지켜냈다.광주 5구 중에서는 북구가 가장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다. 0.06% 상승한 북구는 직주근접성 양호한 연제·양산동 위주로 가격이 뛰었다.서구는 매수심리가 위축 돼 보합에 그쳤던 지난 주와 달리 농성·쌍촌동 중저가 위주로 상승하며 0.03% 증가했다. 또 광산구는 송정·신창동 구축 위주로 상승하며 0.03% 올랐다.전국 주간 아파트 매매가격은 지난주(-0.01%) 하락폭을 유지했다. 수도권(-0.02%→-0.02%)은 하락폭 유지, 서울(0.00%→0.00%)은 보합세 유지, 지방(-0.01%→0.00%)은 보합 전환됐다.시도별로는 전북(0.17%), 강원(0.08%), 경남(0.05%), 제주(0.05%), 충북(0.04%) 등은 상승, 서울(0.00%)은 보합, 대구(-0.16%), 세종(-0.13%), 충남(-0.08%), 대전(-0.06%), 인천(-0.05%) 등은 하락했다.공표지역 176개 시군구 중 지난주 대비 상승 지역(70→84개)은 증가, 보합 지역(28→22개) 및 하락 지역(78→70개)은 감소했다.한편 전국 주간 아파트 전세가격은 지난주(-0.01%) 하락폭을 유지했다.수도권(-0.01%→-0.02%)은 하락폭 확대, 서울(0.00%→0.00%)은 보합세 유지, 지방(0.00%→0.00%)은 보합세 유지했다.시도별로는 전북(0.11%), 경남(0.10%), 강원(0.06%), 경북(0.06%), 광주(0.03%) 등은 상승, 서울(0.00%), 부산(0.00%)은 보합, 대구(-0.22%), 세종(-0.16%), 인천(-0.08%), 대전(-0.07%) 등은 하락했다.공표지역 176개 시군구 중 지난주 대비 상승 지역(83→84개)은 증가, 보합 지역(27→24개)은 감소, 하락 지역(66→68개)은 증가했다.한경국기자 hkk42@mdilbo.com
- · 임대차3법 손질 시동?···전월세신고제부터 시작
- · "증시 재미없다"...동학 개미들 떠나가나
- · 두산건설, 공사수행·안전보건부문 15개 우수 협력사에 포상
- · 다시 달아오르는 제주 분양 시장···올해 2800가구 7년만 '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