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원강수 원주갑 '행복한 변화, 원강수 시민캠프' 발족뉴시스
- 지소연 금의환향 "8년 동안 좋은 시간···여러 클럽 제안 있었지만"뉴시스
- [부고]옥성구(뉴시스 경제부 기자)씨 외조모상뉴시스
- '슈돌' 젠 할아버지 "귀 이어 발바닥까지 닮았네"···꿀 뚝뚝뉴시스
- 민주당 장충남 남해군수 후보, 출정식 갖고 선거전 돌입뉴시스
- 국힘 박영일 남해군수 후보, 출정식 갖고 선거운동 돌입뉴시스
- 국힘 장재철 시흥시장 후보 "이번엔 바꿔야 한다"뉴시스
- WFP "푸틴, 제발 우크라 항구 열어라···봉쇄는 세계 식량안보 선전포고"뉴시스
- 한화그룹, 국내 최초 태양광으로 꿀벌 지킨다(종합)뉴시스
- 동서발전, 울산 전역에 '시민가상발전소' 구축한다뉴시스
기사내용 요약
삼성SDI, LG엔솔, SK온, CATL 등 '글로벌 빅4' 배터리 제조사 참가
배터리와 전기차(EV) 전시회 통합 개최

[서울=뉴시스] 최희정 기자 = 배터리 전문 전시회 ‘인터배터리(InterBattery) 2022’이 오는 3월17일부터 19일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사흘간 열린다.
19일 한국전지산업협회에 따르면 '인터배터리 2022'는 산업통상자원부가 주최하고, 한국전지산업협회와 코엑스가 주관한다. 특히 전 세계 전기차 배터리 시장점유율 1위인 중국 CATL을 비롯해 국내 배터리 '빅3'인 LG에너지솔루션·삼성SDI·SK온이 참가해 세계 최고 수준의 배터리 기술을 선보일 예정이다.
또 고려아연, 포스코케미칼, 에코프로비엠, 엘앤에프, SK넥실리스, 원준, 칼자이스, 베이커휴즈, 성일하이텍 등 배터리 원료부터 핵심 소재·부품·장비기업들도 참가한다.
이번 행사와 동시에 열리는 'xEV 트렌드 코리아 2022'(3월17~19일, B홀)에서는 올해 출시될 전기차(EV) 모델들을 관람할 수 있다. 제조사들이 직접 운영하는 EV 시승 행사를 통해 일반인 관람객에게도 다양한 볼거리를 제공할 예정이다.
또 인터배터리 기간 중 열리는 '제11회 더배터리컨퍼런스'에서는 '새로운 배터리 시대의 서막'이라는 주제로 10개국 20여명의 글로벌 전문가들이 연사로 참여해 배터리 산업의 새로운 비전과 미래에 대해 발표할 예정이다.

이밖에 부대행사로는 코트라(KOTRA)와 전지협회가 주관하는 ‘배터리 해외 시장동향 세미나’와 ‘우수 초청 바이어 1대1 수출상담회’, ‘배터리 산업 잡페어(Battery Job Fair)’가 예정돼 있다.
인터배터리 2022은 홈페이지에서 사전 등록 시 전시 관람이 무료다. 자세한 내용은 ‘인터배터리 2022’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공감언론 뉴시스 dazzling@newsis.com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엔데믹 기대감에 광주 대형백화점 2사 매출 '껑충' 롯데백화점 광주점 냉방 가전 매장 모습. 롯데쇼핑 제공 코로나19 사태로 침체됐던 소비 심리가 회복되면서 광주지역 대형 백화점 2사 모두 1분기(1~3월) 호실적을 거둔 것으로 조사됐다.지역유통가에 따르면 올해 1분기 매출액이 전년동기대비 광주신세계는 6.5%, 롯백화점 광주점은 5% 상승했다.전년동기대비 점포 수는 광주 신세계가 6.9%, 롯데백화점 광주점이 5% 증가한 가운데 야외 활동에 관련된 상품들이 대폭 신장됐다.광주신세계 선글라스 매장 모습. 광주신세계 제공 백화점 마다 세부품목 신장률은 달랐으나 전반적으로 야외활동 관련 상품이 증가한 것은 비슷했다.가장 두드러진 것은 스포츠 관련 상품이다. 특히 전국적으로 골프 붐이 불고 있는 영향을 받아 골프용품이 가장 높은 신장률을 보였다. 골프웨어를 중심으로 골프 관련 장비들이 포함된 골프용품은 광주신세계에서 40%나 신장하며 매출 상승을 이끄는데 앞 장 섰다.롯데백화점 광주점 역시 골프를 비롯한 헬스 등 다양한 스포츠용품이 22% 증가하며 소비 트렌드가 리오프닝 관련 상품으로 쏠리고 있음을 나타냈다.야외 활동 기대감에 외출복 관련 상품의 신장도 눈길을 끌었다. 광주신세계는 패션을 겸비한 등산복, 활동복 등 아웃도어 상품이 21% 증가했다.또 롯데백화점 광주점에서는 코로나 시기 동안 움츠렸던 결혼 심리가 다시 풀릴 것을 예상해 마련한 침대, 가구 등 리빙 용품이 15% 늘었다.마스크를 벗게 될 것을 예측해 화장품 신장률도 크게 올랐다. 그동안 부진한 성적표를 썼던 화장품은 이번 분기에 광주신세계 9%, 롯데백화점 광주점 10% 증가했다.명품도 소폭 늘어나며 꾸준한 증가세를 기록했다. 지난해 명품비중이 높았던 광주신세계는 올해 6% 늘었고, 롯데백화점 광주점은 9% 증가하며 본격적인 명품 관련 상품에 무게를 실은 모양새를 보였다.남성용품에서도 변화는 있었다. 광주신세계는 8%, 롯데백화점 광주점은 3% 신장률을 세웠다.이밖에 광주신세계는 여성과 영패션에서도 15%, 10% 높은 신장률을 기록했다.지역 유통관계자는 "그동안 움츠렸던 소비 심리가 코로나 규제 완화로 인해 풀리면서 소비자들이 리오프닝 관련 상품들을 많이 찾고 있다"며 "사회적 거리두기와 실외 마스크 의무 해제 효과가 본격 반영되는 2분기에도 기대와 분위기에 맞춰 상품들을 준비할 계획이다"고 밝혔다.한경국기자 hkk42@mdilbo.com
- · 광주경진원, 하남산업단지 외국인노동자 돕는다
- · "KTX승차권 사면 호텔·렌터카 무료"
- · 현대차·기아 2022 '발명의 날' 행사 성료
- · 기아, 메타버스 취업 상담회 '어쩌다, 취준생' 개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