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속보] 위중증 환자 196명, 이틀째 감소···사망 36명뉴시스
- [속보] 신규 확진 1만4398명···토요일 17주만에 1만명대뉴시스
- 한미일 외교장관 "북 미사일 발사 강력 규탄···3자 협력 강화"뉴시스
- 이준석, 계양서 사전투표···"거물 호소인과 싸움에 힘 됐으면"뉴시스
- [해외펀드 무너지나①]300만 서학개미 울상···올 들어 -20% 뉴시스
- 6.1지선·보선 막바지···제주 선거판 고소·고발 난무뉴시스
- 윤종원, 국조실장직 고사···"尹정부에 누 되지 않기 위해 결단"(종합)뉴시스
- '류현진에 완패' 오타니, 허리 긴장 증세로 선발 제외뉴시스
- 손연재, 8월의 신부 된다···예비신랑은 9세 연상 비연예인뉴시스
- 윤종원 "새 정부에 누 되는 것 같아···내려놓겠다"뉴시스
기사내용 요약
서울 아파트 2주째 '팔자' 우위…매도·매수자 눈치싸움에 거래 절벽
수급 불균형 지속·단기 공급 대책 無…"집값 안정권 진입 쉽지 않아"

[서울=뉴시스] 박성환 기자 = "사실상 개점휴업 상태예요."
지난 29일 서울 동작구 흑석동 흑석한강푸르지오 단지 내 한 공인중개업소 대표는 "매물이 조금 늘었는데, 사려는 사람이 없다"며 이같이 말했다. 이 대표는 "기준금리 인상과 대출 규제 강화 등으로 거래절벽이 계속되고 있다"며 "매수자와 매도자 간 가격 격차가 워낙 커서 사실상 거래가 끊겼다"고 전했다.
대출 규제 강화와 기준금리 인상 등 금융 규제에 종합부동산세 부과 등으로 서울 주택시장이 꽁꽁 얼어붙었다. 2주째 아파트를 팔려는 사람이 사려는 사람보다 많아졌으나, 매수자와 매도자 모두 눈치만 살피면서 '거래 절벽' 현상이 뚜렷해지고 있다.
아파트 거래량은 부동산 가격의 선행지표다. 통상적으로 거래량이 증가하면서 집값이 상승하고, 반대로 감소하면 하락 신호로 여겨진다. 하지만 올해 들어 거래량이 급감했으나, 집값이 되레 상승하는 비정상적인 흐름이 이어지고 있다.
일정 호가 이하로 팔지 않겠다는 집주인과 집값이 하락하면 매수에 나서겠다는 매수 대기자간 팽팽한 줄다리기 상황이 이어지면서 일부 지역에서는 시세보다 수억원 떨어진 급매물이 거래되면서 가격 조정이 이뤄지는가 하면, 또 다른 지역에서는 신고가를 경신하는 거래가 성사되는 등 혼조세를 보이고 있다.
서울부동산정보광장에 따르면 이달 서울 아파트 매매 건수는 502건(지난 29일 기준)으로 집계됐다. 아직 등록 신고 기한(30일)이 남아 매매 건수가 더 늘어날 것으로 보이나, 거래가 가장 많았던 지난 1월(5796건)에 비해서는 약 10분의 1 수준으로 감소한 것이다.
올해 들어 매매량이 감소세다. ▲1월 5796건 ▲2월 3876건 ▲3월 3796건 ▲4월 3670건 ▲5월 4895건 ▲6월 3943건 ▲7월 4702건 ▲8월 4191건 ▲9월 2702건 ▲10월 2292건으로 집계됐다.
서울 아파트 가격 상승세가 5주 연속 둔화됐다.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이달 넷째 주(22일 기준) 서울 아파트값은 전주(0.13%) 대비 0.02%p(포인트) 하락한 0.11%를 기록했다. 강남4구(강남·서초·송파·강동구) 아파트값은 0.18%에서 0.17%로 오름 폭이 줄면서 3주 연속 상승세가 주춤했다.
상대적으로 대출 규제 영향을 많이 받은 강북(0.02%)과 도봉구(0.05%)는 전주와 같거나 낮은 수준을 기록했고, 재건축 추진 단지가 있는 노원구도 0.12%에서 0.09%로 상승 폭으로 축소했다.

아파트 매수심리가 한풀 꺾였다. 2주 연속 매도세가 매수세를 앞질렀다.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이번 주 서울 아파트 매매수급지수는 98.6을 기록하며 전주(99.6)에 이어 2주 연속 기준선인 100을 밑돌았다. 서울 아파트 매매수급지수 98.6은 지난 4월 첫 주(96.1) 이후 7개월 만이다.
이 지수가 기준치인 100이면 수요와 공급이 같은 수준이고, 200에 가까우면 공급보다 수요가 많다는 것을 의미한다.
서울의 5개 권역에서 매매수급지수는 모두 전주보다 하락했다. 용산·종로·중구가 포함된 도심권(매매수급지수 100.7)을 제외하면 나머지 지역 모두 2주 연속 기준선 아래에 머물렀다.
강남4구가 있는 동남권(강남·서초·송파·강동구)은 99.5에서 98.2로, 서남권(양천·강서·구로·영등포·동작·관악구)은 99.7에서 98.2로 하락했다. 또 성동·광진·노원·도봉·강북 등 8개 구가 포함된 동북권은 지난주 99.4에서 이번 주 99.3으로 소폭 하락했고, 서북권(은평·서대문·마포구)은 서울에서 가장 낮은 97.4를 기록하며 4주 연속 기준선을 밑돌았다.
거래절벽 현상이 뚜렷해지면서 매물이 쌓이고 있다. 부동산 빅데이터 업체 아실에 따르면 29일 기준 서울시 아파트 매매 매물은 4만4151건으로, 3개월 전보다 11.6%(4609건) 증가했다.
단기간에 집값 급등에 따른 피로감이 누적된 상황에서 대출 규제 강화와 추가 금리 인상, 종부세 등 세금 부담 강화 등이 맞물리면서 집값 상승세 둔화하고, 거래량도 급감했다는 분석이다.
전문가들은 당분간 매수심리가 위축되면서 극심한 거래 절벽 현상이 이어질 것으로 내다봤다.
권대중 명지대 부동산학과 교수는 "정부의 대출 규제와 기준금리 인상, 종부세 등 세금 부담 강화 등으로 아파트 매수심리가 꺾였다"며 "매도·매도자 모두의 관망세가 내년 대선까지 이어지며 지금과 같은 거래 절벽 현상이 이어질 것"이라고 진단했다.
권 교수는 "여전히 수급 불균형이 지속되고, 단기간 내 공급을 늘릴 만한 대책도 없다 보니 집값이 안정 국면으로 들어서기가 쉽지 않을 것"이라며 "정부가 뒤늦게 3기 신도시 등 주택 공급에 나섰지만, 실제 공급까지 시차를 감안하면 단기간 내 시장 안정을 기대하기 어렵다"고 덧붙였다.
◎공감언론 뉴시스 sky0322@newsis.com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집피지기]국토연 연구원도 "보증금 떼일까 걱정" 호소한 이유는? 기사내용 요약국토연구원 소속 윤씨 "전세보증보험 거절돼 불안""주거정책 연구하는 사람인데 하소연할 데도 없고"지방 전세가율 80% 넘는 곳 많아 '깡통전세' 속출원희룡 장관 "심각하게 고민...보증금액 확대 검토"[서울=뉴시스][서울=뉴시스] 강세훈 기자 = 지난 24일 경기 성남시 판교에서 열린 '청년 주거정책 간담회'에서 국토연구원의 연구원이라고 밝힌 윤성진씨의 질문이 화제를 모았습니다.윤 씨는 "사실 제가 주거정책을 연구하고 있는 사람인데 어디 하소연할 데도 없고"라며 말문을 열었습니다. 이어 "세종에서 전세를 얻어 살고 있는데 전세보증보험이 거절돼 보증 사각지대에 놓이게 됐다"며 "집값이 오를 때는 청년들이 내집 마련을 못해서 좌절을 겪지만, 반대로 집값이 떨어질 때는 당장 내 보증금이 떼이지 않을까 불안에 놓이게 된다"고 집값으로 고통받는 청년들의 마음을 대변했습니다.그러면서 "깡통전세나 전세보증보험과 관련해 제도 개선에 대해 생각하신 게 있는지 궁금하다"고 질문해 원희룡 국토교통부 장관을 당황하게 만들었습니다.재치있는 입담으로 유명한 원 장관은 "국토연구원에서 연구해주시기 바란다"는 답변으로 현장을 웃음바다로 만들었지만 이내 분위기는 심각해 졌습니다.올 들어 4월까지 전세보증금반환보증 사고 금액이 2018억원으로 역대 최대를 기록할 정도로 심각한 상황이기 때문입니다. 전국적으로 깡통전세가 늘고 있어 집주인에게 전세 보증금을 제때 돌려받지 못할까 불안에 떨고 있는 세입자가 많은 상황입니다.특히 윤 씨 사례처럼 전세 보증금을 떼이지 않기 때문에 전세금반환보증보험에 가입하려 해도 경우에 따라 거절을 당하는 사례도 많습니다.전세보증보험은 전세보증금과 선순위채권을 더한 금액이 주택가격에 비해 높은 경우에는 가입을 할 수 없게 돼 있습니다.주택가격 산정은 주택 유형에 따라 세부적인 기준의 내용과 적용순서에 차이가 있습니다.아파트와 주거용오피스텔의 경우 KB시세와 한국부동산원 부동산테크 시세 중 선택 적용하도록 돼 있는데 통상적으로 KB시세가 주로 활용되고 있습니다.예컨대 선순위채권이 2억원이 걸려 있는 집인데 시세가 7억원일 때 전세보증금이 5억원이 넘으면 전세보증보험을 가입할 수 없는 것입니다.이에 따라 선순위채권 금액이 큰 경우 보증보험 가입이 쉽지 않을 수 있기 때문에 세입자 입장에서는 주의할 필요가 있습니다.기본적으로는 주택도시보증공사보증(HUG) 상품 기준으로 보증금이 수도권은 7억원 이하만 가능하고, 그 외 지역은 5억원 이하만 가입이 가능합니다.특히 전셋값 상승세가 가팔랐던 지방 중소도시나 최근 집값 하락세가 장기화 조짐을 보이고 있는 세종과 대구 등은 역전세난과 깡통전세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부동산 업계에선 통상적으로 전세가율이 70%을 넘어서면 위험하다고 보고 있는데 지방 중소도시 중에는 전세가율이 80% 넘는 도시들도 적지 않습니다.올해 3월 기준 전남 광양이 84.9%로 전세가율이 가장 높으며 경기 여주 84.2%, 충남 당진 83.4%, 전남 목포 83.3%, 경북 포항 82.6% 등도 80%를 훌쩍 넘습니다.보증보험에 가입하지 않은 상황에서 집값이 하락해 전세가 아래로 떨어지면 세입자는 보증금을 돌려받지 못할 위험에 고스란히 노출되는 것입니다.최근 몇 년 사이 집값 상승기 때 전세를 끼고 집을 사는 갭투자가 성행했는데 부동산 경기 상황이 갑자기 나빠지고 대출 규제가 강화되면서 자금여력이 달리는 집주인들이 속출할 가능성이 높아졌습니다.집주인이 전세금을 제 때 돌려주지 않는다면 세입자 입장에선 소송을 벌여 회수하는 수밖에 없습니다. 소송에서 이기면 변호사 보수와 대출 이자까지 돌려받을 수 있지만 소송을 벌이는 데 대한 심적, 시간적 부담도 적지 않습니다.정부도 최근 부동산 시장 상황을 감안할 때 깡통전세 우려가 커질 수 있다고 판단해 대책 마련을 검토중이라고 합니다.원 장관은 지난 24일 "서울에서도 소액 보증금이 몰린 곳이나 주택가격 등락이 심한 곳에서 사각지대가 나타나고 있어 심각하게 고민하고 있고 대책을 세우려 하고 있다"며 "전세금을 떼일 수 있는데 국가가 도움을 주지 못한다면 국민에 대한 기초적인 안전망이 없는 것인 만큼 국가의 재정부담이 더 들어간다 해도 금융기법으로 보증금액을 키우는 등 사각지대를 해소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습니다.※'집피지기' = '집을 알고 나를 알면 집 걱정을 덜 수 있다'는 뜻으로, 부동산 관련 내용을 누구나 쉽게 이해할 수 있게 설명하기 위한 연재물입니다. 어떤 궁금증이든 속 시원하게 풀어드리도록 노력하겠습니다.◎공감언론 뉴시스 kangse@newsis.com
- · 기준금리 인상에 두배로 뛰는 대출금리...왜
- · [고금리 시대①]은행으로 '역머니 무브' 뭉칫돈
- · [분양캘린더]6월 첫째 주 9163가구 분양···견본주택, 한 곳 개관
- · [해외펀드 무너지나①]300만 서학개미 울상···올 들어 -20%
- 1운암동서 음주차량과 2차 충돌, 오토바이 운전자 중상..
- 2광주만 또 올라···아파트값 98주 연속 상승..
- 35월 넷째주, 광주를 달군 부동산 이슈는?..
- 4학교 담장 넘던 중학생 7m 깊이 맨홀에 추락..
- 5주금공, 6월 보금자리론 금리 0.2~0.25%p 인상..
- 6[분양캘린더]6월 첫째 주 9163가구 분양···견본주택, 한 ..
- 7'신입 女공무원'만 골라 갑질한 공무직이 받은 징계는?..
- 8광주교육감 후보 당선시킬 목적 식사 제공한 지역민 4명 고발(종..
- 9카카오뱅크, 중·저신용 5조원 무보증 신용대출..
- 10광주 광산구 소촌동 922가구 정전···긴급 복구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