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속보] 위중증 환자 196명, 이틀째 감소···사망 36명뉴시스
- [속보] 신규 확진 1만4398명···토요일 17주만에 1만명대뉴시스
- 대전, 27일 열흘 연속 1000명 이하 확진···누적 50만8869명뉴시스
- 법원 "공수처 '윤석열 무혐의' 정당"···임은정 재정신청 기각뉴시스
- 맑은 날씨에 고속도로 평소 주말과 비슷···하행, 오전 11시 가장 혼잡뉴시스
- 경북 지방선거 사전투표 둘째 날 오전 10시 누적 15.15%뉴시스
- 억대 연봉 기업 속출···중소기업선 "그림의 떡"뉴시스
- 옥천 '정지용청소년문학상' 2095편 응모···50명 입상 뉴시스
- 러 "전쟁에 154조 경기부양 필요···올해 석유·가스 19조 초과 수입" 뉴시스
- 美재무부, 北미사일 관련 개인 1명·단체 3곳 제재(종합2보)뉴시스
기사내용 요약
"첫 비행 시험으로서 주요 발사 단계 모두 이행"
"단 마지막 과업 위성모사체 지구 저궤도에 진입 못해 아쉬움 남겨"
"발사체 핵심 기술 확보했음을 확인하는 의의 남겨"

[서울=뉴시스] 이진영 기자 = 임혜숙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은 21일 "누리호의 성공까지 한 걸음 남았다"며 "2차 발사가 예정된 내년 5월에는 반드시 성공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임 장관은 이날 오후 7시께 전남 고흥군 나로우주센터에서 누리호 발사 관련 브리핑을 통해 이같이 발표했다.
임 장관은 누리호 발사 결과에 대해서는 "오늘 오후 5시 발사된 누리호가 전 비행 과정을 정상적으로 수행했다. 다만 3단 엔진이 조기 연소 종료돼 위성모사체가 고도 700km의 목표에는 도달했으나 7.5km/s의 속도에는 미치지 못해 지구 저궤도에 안착하지 못했다"고 전했다.
한국항공우주연구원에 따르면 누리호는 이륙 후 1단 분리, 페어링 분리, 2단 분리 등이 정상적으로 진행됐으나 3단에 장착된 7t급 액체엔진이 목표된 521초 동안 연소되지 못하고 475초에 조기 종료돼 위성모사체가 지구 저궤도에 진입하지 못한 것으로 추정됐다.
임 장관은 "오늘 발사는 아쉬움을 남겼으나 1단 엔진 점화→이륙→1단 엔진 연소 및 1단 분리→페어링 분리→2단 엔진 점화 및 연소→2단 분리→3단 엔진 점화 및 연소→위성모사체 분리 등 국내 독자개발 발사체의 첫 비행시험으로서 주요 발사 단계를 모두 이행했다"며 "발사체 핵심 기술을 확보했음을 확인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고 설명했다.
우선 기술적으로 가장 어려운 것으로 꼽히는 누리호 1단부는 75t급 엔진 4기가 클러스터링돼(묶여) 300t급의 추력을 내는 핵심 기술이 적용됐으며, 이날 발사를 통해 1단부 비행이 정상적으로 진행됐다.

또한 1단과 2단, 페어링, 2단과 3단의 성공적 분리와 점화를 통해 단분리 기술을 확보한 점도 소기의 성과라 할 수 있다.
과기부는 항우연 연구진과 외부전문가들이 참여하는 '발사조사위원회’를 즉시 구성하여 3단 엔진 조기 종료의 원인을 정확히 규명하고, 문제점을 보완하여 2차 발사를 추진할 예정이다.
임 장관은 "오늘의 결과를 겸허히 받아들이고 부족한 부분들을 보완해 나가면서 더욱 분발해 국민 여러분과 함께 우주를 향한 우리의 도전을 멈추지 않고 우주 강국의 꿈을 이루어내는 날까지 계속 나아가겠다"고 다짐했다.
아울러 소관 부처를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아니라 독립적인 우주청을 정부 조직에 신설해야 한다는 필요성에 대한 질의에 대해서는 "우주 전담기구 필요성에 많은 분이 많이 공감할 것 같다"면서 "전문성, 연속성을 가진 조직 필요성에 공감이 있을 것이고 이를 언제 할지에 대해서는 제가 지금 말씀 드리기는 어렵다"고 답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mint@newsis.com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두번 실패 없다···한화에어로, 누리호 2차 발사 앞두고 "성공에 최선 다할 것" 기사내용 요약6월 15일 누리호 2차 발사 예정발사 성공 시 우주사업 선점 전망[고흥=뉴시스] 전진환 기자 = 문재인 대통령이 참석한 가운데 21일 오후 전남 고흥 나로우주센터 연구동에서 한국형 발사체 '누리호(KSLV-2)'가 발사되고 있다. 2021.10.21. amin2@newsis.com[서울=뉴시스] 옥승욱 기자 = 누리호 2차 발사가 20일 앞으로 다가왔다. 누리호 엔진을 생산·공급한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1차 절반의 성공에 만족하지 않고 이번에는 완벽하게 마무리해 앞으로 우주사업을 선점한다는 방침이다.과학기술정보통신부(과기부)는 지난 25일 '누리호 발사관리위원회'를 개최해 누리호 2차 발사를 오는 6월15일로 확정했다. 기술적 준비 상황과 최적의 발사 여건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한 결과다.과기부는 2차 발사를 위한 준비현황과 향후 발사까지 최종 준비 작업, 발사 조건(기상, 우주환경, 우주물체 충돌가능성) 등에 대해 면밀히 검토해 발사 예정일을 정했다. 기상 등에 의한 일정 변경 가능성을 고려해 발사 예비일을 6월16~23로 설정했다.누리호는 독자적인 우주 수송 능력 확보를 위해 1.5톤(t)급 실용위성을 지구 상공 600~800㎞ 저궤도에 추진할 수 있는 3단형 한국형 발사체다. 발사체 엔진은 1단에 75t급 액체엔진 4기, 2단에 75t급 1기, 3단에 7t급 1기가 탑재된다.누리호는 지난해 10월21일 1차 발사를 진행했다. 당시 발사체가 잘 올라갔지만, 3단 엔진이 계획보다 일찍 꺼지면서 목표로 했던 궤도에 위성 모사체를 올려놓는데는 실패했다. 헬륨탱크 고정장치에 가해지는 압력을 1G로 고려해 설계됐으나 실제 발사 때 4.3G 압력이 가해진 결과다. 당시 위성 모사체를 안착시키지 위해 절반의 성공이라는 평가가 나왔다.2차 발사를 앞두고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은 당시 실패 원인이었던 3단 산화제탱크의 헬륨탱크 하부 지지부와 맨홀덮개의 구조를 변경·보강했다. 따라서 그 어느 때보다 성공에 대한 기대감이 높아진 상황이다.[서울=뉴시스] 출하 중인 누리호 엔진. (사진=한화에어로스페이스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누리호의 심장 역할을 하는 엔진 생산을 맡은 한화에어로스페이스 또한 발사 성공을 간절히 바라는 분위기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누리호에 장착되는 엔진 전량을 생산하고 있다.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지난 2일 경남 창원사업장에서 누리호에 사용되는 75톤(t)급 엔진 출하식을 진행했다. 누리호 75t급 엔진은 우리나라가 독자 기술로 개발, 비행시험을 통해 성능 검증까지 마친 최초의 우주발사체 제품이다. 영하 180도에 달하는 극저온의 액체 산소와 연소 시 발생하는 3300도의 초고온을 모두 견딜 수 있도록 제작됐다.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2016년 3월 누리호 75t급 엔진 초도 납품을 시작으로 현재까지 75t급 엔진 34기, 7t급 엔진 12기까지 총 46기의 엔진을 제작했다. 이번에 마지막으로 출하된 75t급 엔진은 추후 누리호 3차 발사에 사용될 예정이다.누리호 발사가 성공하면 한화에어로스페이는 우주 산업을 선점하게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최근 새로운 성장동력을 찾기 위한 투자 업계에서 우주 산업은 크게 주목받고 있다.미국 투자은행 모건 스탠리에 따르면 글로벌 우주 산업의 규모는 2018년 3500억 달러(420조원)에서 민간기업 주도하에 2040년까지 1조1000억 달러(1320조원)로 커질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이는 연평균 성장율(CAGR) 5.3%에 달하는 수치다.한화에어로스페이스 관계자는 "1차 발사 실패의 원인이 산화제탱크 부분이라 우리가 개선한 부분은 크게 없다"면서도 "실패 요인을 보강한 만큼 2차 발사는 성공할 수 있을 것이라 믿고 있다"고 말했다.◎공감언론 뉴시스 okdol99@newsis.com
- · 누리호 2차 발사일 내달 15일로 확정
- · 누리호 2차 발사, 한달 앞으로···尹 우주강국 구상 구체화될까
- 1운암동서 음주차량과 2차 충돌, 오토바이 운전자 중상..
- 2광주만 또 올라···아파트값 98주 연속 상승..
- 3광주서 차타고 1시간···시원한 '오션뷰' 맛집..
- 4학교 담장 넘던 중학생 7m 깊이 맨홀에 추락..
- 55월 넷째주, 광주를 달군 부동산 이슈는?..
- 6휘발유·경유 2000원 돌파···"당분간 인하 요인 없다는 게 ..
- 7주금공, 6월 보금자리론 금리 0.2~0.25%p 인상..
- 8광주교육감 후보 당선시킬 목적 식사 제공한 지역민 4명 고발(종..
- 9[분양캘린더]6월 첫째 주 9163가구 분양···견본주택, 한 ..
- 10광주 광산구 소촌동 922가구 정전···긴급 복구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