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뉴시스] 강진아 기자 = 무대 양옆에 서있는 거대한 석상과 돌계단이 시선부터 잡아끈다. 막이 오르면 콜로세움 외벽이 펼쳐지고, 공연장은 1세기 초반 로마로 옮겨간다.
뮤지컬 '벤허'가 세 번째 시즌으로 4년 만에 돌아왔다. 주인공 벤허의 굴곡진 삶 속에 시시각각 변하는 무대 세트와 남성미를 뽐내는 군무 등으로 볼거리가 풍성한 작품이다.
유대의 귀족 벤허가 로마의 장교가 되어 돌아온 친구 메셀라와 오랜만에 재회하며 극이 시작된다. 메셀라는 유대의 폭도 소탕을 도와달라고 하지만, 벤허는 이를 거절한다.

이후 메셀라는 실수로 인한 사고를 문제 삼아 벤허 가문에 반역죄를 씌우고, 벤허는 로마 군함의 노예가 된다. 벤허는 우여곡절 끝에 로마 해군 사령관의 목숨을 구해주고 그의 양자로 로마의 귀족이 되고, 메셀라에게 복수를 결심한다.
귀족에서 노예로 전락했다가 기사회생한 벤허의 여정을 따라 이야기가 전개된다. 로마 군함을 구현한 배의 단면은 물론 로마 왕궁, 노예시장, 지하 묘지(카타콤) 등 무대 배경이 다채롭게 펼쳐지며 눈길을 끈다. 해적에게 공격 당해 바다에 빠진 로마 사령관을 벤허가 구해내는 수중 탈출 장면은 영상을 활용해 바다 속으로 들어간 듯한 생생함을 전한다.

숙적인 벤허와 메셀라가 다시 마주하는 전차 경주 장면은 작품의 하이라이트로 꼽힌다. 뼈대가 드러나는 여덟 마리의 말 인형이 끄는 두 대의 전차가 회전 무대를 이용해 역동적인 경주 장면을 선사한다. 그 뒤로 색감을 달리하는 콜로세움의 홀로그램 영상이 넓게 펼쳐지며 분위기를 고조시킨다.
또 하나 빼놓을 수 없는 매력은 앙상블이다. 전원 남성으로 구성된 앙상블들은 파워풀한 에너지와 빈틈없는 안무를 선보인다. 로마 병사들의 화려한 깃발 군무를 비롯해 전투 장면 등 곳곳에 배치된 군무가 극에 힘을 싣는다.

초연부터 내리 출연해온 박은태와 박민성은 캐릭터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안정적인 연기로 극을 끌어간다. 각 인물의 감정과 상황을 고스란히 담아낸 노래 가사들이 드라마의 몰입도를 높인다. 이번 시즌엔 벤허의 솔로곡 '살아있으니까'가 새롭게 추가됐다.
박은태는 복수와 슬픔, 연민 등이 교차하는 벤허의 여러 감정을 오가며 섬세한 호소력을 발휘한다. 박민성은 무게감 있는 목소리로 비뚤어진 권력욕을 가진 메셀라의 존재감과 카리스마를 보여준다. 벤허 역은 박은태와 함께 신성록, 규현이 새롭게 합류했고, 메셀라 역은 박민성과 이지훈, 서경수가 맡았다.
1880년 발표한 미국 작가 루 월러스의 소설을 원작으로 한 창작 뮤지컬이다. 왕용범 연출과 이성준 작곡가가 함께한 작품이다. 공연은 오는 11월19일까지 LG아트센터 서울.
◎공감언론 뉴시스 akang@newsis.com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김미영 감독의 '절해고도', 부산영화평론가협회상 대상 광주 출신 김미영 감독의 '절해고도'가 제24회 부산영화평론가협회상 대상을 수상했다.부산영화평론가협회상은 국내 유일의 지역비평가그룹인 부산영화평론가협회가 수여하는 상으로, 지난 1년간 국내에서 제작된 우수한 영화에 대한 객관적인 평가를 목적으로 2000년부터 개최돼 올해 24회를 맞았다.영화 절해고도는 영화진흥위원회 독립예술장편 부문 제작지원작으로, 2021년 제26회 부산국제영화제에서 한국영화감독조합상(메가박스상)을 수상하는 등 이미 그 작품성과 연출력을 인정받았다.배우 박종환과 이연이 주연을 맡아 인간 본연의 고독함을 딛고 나아가는 사람들의 이야기를 고즈넉한 풍경과 함께 담아냈다.지난 9월 27일 개봉 후 관객과 평단의 호평을 받았다.김미영 감독은 '일어서는 인간'(2016), '너는 결코 서둘지 말라'(2018) 등으로 인간이 살아가며 느끼는 외로움과 불안함 등 보편적인 감정을 주제로 활발히 작품 활동을 펼쳤으며, 지난 11월 12일 폐막한 14회 광주여성영화제의 단편경선 본선 심사위원을 맡는 등 광주영화계와도 꾸준히 인연을 맺어왔다.김 감독과 함께 절해고도에 참여한 광주영화인들은 이세진(프로듀서), 백종록(제작부장·배우), 윤가현(배우)으로, 광주독립영화협회를 중심으로 왕성한 창·제작 활동을 펼치고 있는 광주영화 씬의 핵심 인물들이다.또한 2020년부터 광주영화영상인연대가 진행하고 있는 광주영화학교의 강사 및 운영위원으로 광주 영화 창·제작 생태계의 선순환 구조가 정착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영화 절해고도는 2020 광주 지역영화제작 현물지원 사업(광주정보문화산업진흥원) 선정작이기도 하다.이상훈 광주영화영상인연대 이사장은 광주영화인들이 참여한 작품이 국내외 유수의 영화제에서 좋은 성과를 거두는 것을 축하했다.그는 "내년 지역영화 예산이 불투명한 상황에 민관의 창의적 거버넌스 구축을 위한 지혜를 모으면 광주영화가 혁신적인 영화도시의 모델이 될 것이다"고 말했다.이관우기자 redkcow@mdilbo.com
- · 한국·레바논·시리아 거장 그림 한 자리에
- · '최고 심박수 찍었다'···서울의 봄 챌린지 인기
- · 전현무, 父 병환으로 간호 중···"최근 추억담 없어"
- · 안효섭, 첫 아시아 투어 성료···9개 도시 5만명 운집
- 1전일방 사전협상 타결 임박···더현대 광주 입점 속도붙나..
- 2밀어내기 분양 예고 속 광주도 '민간공원' 4..
- 311월 금통위 '동결' 전망···한은 '매파 메시지'에 쏠린 눈..
- 4끊임없이 나오는 서비스로 배 채운다? 광주 신상 맛집추천..
- 5"땅 보상 불만" 송하동 사찰 골목서 차 8대 들이받은 스님..
- 6"7990원 반값 딸기 20t 푼다" 홈플러스, 한 달간 '홈플..
- 7"냉장고·세탁기 빌트인" LH, 영암 임대주택 입주시작..
- 8"같은 건물인데 4층부터만 전세사기 피해 지원된다니···"..
- 9"돈 벌어와" 화정동서 가출 청소년 성매매 알선한 20대들..
- 10광주 군공항 이전 논의 급물살···광주시장·전남지사 "만나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