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뉴시스] 이수지 기자 = 올 상반기 서점가에는 자기계발, J콘텐츠, 챗GPT, 마흔·오십, 팬덤이 돌풍을 일으켰다.
온라인 서점 예스24가 8일 공개한 '올 상반기 판매 동향 분석' 결과에 따르면 자기계발 분야는 올해 상반기 35.6%로 큰 폭의 성장률을 기록했다.
'세이노의 가르침'이 상반기 종합 베스트셀러 1위를 차지했다. '김미경의 마흔 수업' 2위, '원씽 THE ONE THING' 5위, '역행자' 12위 등 자기계발서 4권이 상반기 종합 베스트셀러 20위권을 차지했다.

예스24는 "고금리 및 불안한 경기 상황으로, 투자보다는 나 자신의 가치를 돌아보는 계발서에 관심이 쏠렸다"고 분석했다.
애니메이션 '슬램덩크' 흥행은 원작만화, 소설, 여행서 판매를 끌어올렸다. 예스24 올 상반기 베스트셀러 50위권 내 ‘슬램덩크 신장재편판’이 총 20권 포진했다.
특히 추억을 소장하고 싶은 3040 남성 독자 외에 '농놀(농구 놀이)'' 콘텐츠에 빠진 2030 여성 독자들이 ‘슬램덩크’ 도서를 찾은 것으로 나타났다.
극장판 애니메이션 '스즈메의 문단속'이 J-콘텐츠 열풍을 이어갔다. 동명 소설 '스즈메의 문단속'은 예스24 올 상반기 베스트셀러 10위를 차지했다.
대화형 인공지능 챗봇 '챗GPT'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며 관련 도서 출간과 판매가 급증했다. '챗GPT' 키워드에 대해 월평균 약 24종의 도서가 출간됐으며, 특히 4월에는 신간 55종이 나왔다.
월별 판매량도 상승세다. 챗GPT 주목도가 절정에 이르렀던 2월에는 전월 대비 94.5배 증가했다.
챗GPT 실용서 '진짜 챗GPT 활용법'은 3월 중순 출간 이후 4월 첫째 주부터 5월 넷째 주까지 8주간 IT 모바일 분야 1위를 달성했다.
경제 활동 주역 4050세대 독자를 겨냥한 도서 출간과 판매도 성장세를 보였다. 올 상반기 출간된 '마흔'·'오십' 키워드 도서는 총 36종으로 최근 3년 이래 가장 많았다. 판매량 역시 작년 상반기 대비 312.9% 늘어났다.
'김미경의 마흔 수업'과 '만일 내가 인생을 다시 산다면'은 각각 상반기 베스트셀러 2위와 3위를 차지했다.
팬덤문화는 올 상반기에 더 확대되는 추세다. 지난해 드라마나 영화 대본집 중심으로 소장 흐름이 있었다면, 올해는 특정 아티스트나 게임 등 관련 도서 출간이 증가했다.
가수 임영웅에 대한 국내 최초 음악 평론 서적 '우리는 왜 임영웅을 사랑하는가'는 예약판매 3일 만에 예스24 종합 베스트셀러 20위권에 진입했다. 올 상반기 예술 분야 베스트셀러 1위를 차지했다.
예스24는 "도서 구매자 성연령비 분석 결과 50대 이상 여성 구매 비중이 57.1%"라며 "임영웅의 주요 팬층인 중장년층 여성들의 지지와 팬덤 현상이 도서 구매로 이어진 것"이라고 분석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suejeeq@newsis.com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공연시장 폭풍성장, 지난해 매출 9725억으로 코로나 넘어서 지난 26일 서울 예술의전당에서 열린 뮌헨필하모닉과 피아니스트 임윤찬 협연을 기다리는 관객들. 가장 비싼 R석이 36만원에 이르는 공연이었지만 2500석이 모두 매진됐다. 2023.11.26. 박주연 기자 photo@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서울=뉴시스] 박주연 기자 = 코로나로 한파를 겪었던 공연예술시장이 폭풍 성장하고 있다. 지난해 1조원에 육박하는 매출을 내며 코로나19 이전인 2019년을 넘어섰다.문화체육관광부와 예술경영지원센터가 30일 발표한 '2023 공연예술조사(2022년 기준)'에 따르면 지난해 공연예술 티켓판매액(공연예술통합전산망 기준)과 공연시설·단체 작품판매, 공연장 대관, 기타 수입 등을 포함하는 전체 공연시장 매출은 9725억원이었다. 이는 2021년(4933억)보다 97.2% 증가한 것으로, 코로나 이전인 2019년(약 8530억)과 비교해도 14% 늘었다.공연장 활성화 정도를 확인할 수 있는 2022년 공연장 가동률은 50.2%였다. 2021년(37.2%)보다 13%p 높았지만 2022년 4월17일까지 '사회적 거리두기'가 유지됨에 따라 2019년(59.6%)보다 9.4%p 낮은 수치를 나타냈다.전체 공연예술 시장 매출액 약 9725억원 중 티켓판매액이 57.8%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했다. 뒤를 이어 작품판매액(공연출연료) 12.3%, 공연장 대관 수입 11.5%, 기타공연수입 5.2%, 공연 이외 사업수입·기타수입 13.2% 순이었다.공연예술통합전산망(KOPIS) 2022년 결산통계를 반영한 공연 티켓판매액은 약 5617억원으로 2021년(2197억원)보다 155.7% 증가했다.공연예술 시장 매출액이 2019년을 뛰어넘었지만 티켓판매액(34.3%)과 공연장 대관 수입(7.9%)만 증가했고, 작품판매수입(공연출연료), 기타 공연수입(홍보물 또는 굿즈 판매·협찬·홍보 대행 수입 등)과 공연 외 사업수입(전시·교육 등), 기타수입(주차료· 임대료 등)은 아직 코로나19 이전만큼 회복되지 않았다.이번 조사는 지난 6월9일부터 10월24일까지 전국 공연시설 및 단체 5286곳을 대상으로 온라인으로 실시됐다. 공공공연시설과 단체는 전수조사, 민간 공연시설과 단체는 표본조사를 시행했으며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공연시설 ±2.8%p, 공연단체 ±2.2%p다.'2023 공연예술조사 보고서'는 다음달 중 예술경영지원센터 누리집과 공연예술통합전산망을 통해 배포된다.문체부와 예경이 실시하는 '공연예술조사'는 통계청 승인통계로, 2007년부터 매년 이뤄지고 있다. 올해 조사는 지난해 개정된 공연법을 반영해 연극에 포함됐던 뮤지컬을 독립 장르로 분리해 연극, 뮤지컬, 서양음악, 국악, 무용, 복합으로 나눠 조사했다.◎공감언론 뉴시스 pjy@newsis.com
- · 경주 지진···문화재청 "첨성대, 외관상 피해 없어···주요 유산 점검 중"
- · 신동엽, 前연인 이소라와 재회에 "아내 선혜윤 PD가 대인배"
- · 신동엽, 8년만 'KBS 연예대상' 진행합니다
- · 문화재청, '산림녹화기록물'·'제주 4·3사건기록물' 세계기록유산 등재 신청
- 1무등산 꼬막재 인근서 신원불상 두개골 발견···경찰 수사..
- 2끊임없이 나오는 서비스로 배 채운다? 광주 신상 맛집추천..
- 3'도심 속 또다른 도심' 광주 전방·일신방직 부지 개발사업 탄력..
- 4"7990원 반값 딸기 20t 푼다" 홈플러스, 한 달간 '홈플..
- 5스님이 타는 중고차, '놀라운 시세' 얼마? ..
- 6"냉장고·세탁기 빌트인" LH, 영암 임대주택 입주시작..
- 7"시동 껐는데도 멈추지 않았다"···급발진 의심사고 원인은?..
- 8특례보금자리론 12월 금리 동결···우대형 연 4.50~4.80..
- 9"돈 벌어와" 화정동서 가출 청소년 성매매 알선한 20대들..
- 10"협의이혼 중 男동료와 바람 핀 아내···" 불륜 해당할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