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내용 요약
24~26일 75만7473명 봐 누적 296만명
3주차 주말 올해 주말 최다 관객수 기록
박성광 '웅남이' 첫 주 20만명도 못 넘겨

[서울=뉴시스] 손정빈 기자 = 일본 애니메이션 영화 '스즈메의 문단속'이 개봉 3주차에 올해 주말 최다 관객수 기록을 다시 한 번 갈아치우며 300만 관객 고지를 눈앞에 뒀다. 코미디언 박성광의 장편영화 데뷔작인 '웅남이'는 개봉 첫 주말에 20만명도 채우지 못하며 사실상 흥행에 실패했다.
'스즈메의 문단속'은 24~26일 75만7473명(영화진흥위원회 기준)이 봐 3주 연속 주말 박스오피스 1위를 달렸다. 이 기록은 올해 국내 개봉 영화 주말 관객수 최고 기록이다. 2위(71만2403명)와 3위(69만4239명) 기록 역시 '스즈메의 문단속'이 갖고 있다. 누적 관객수는 296만4848명이다. 현재 흥행세를 볼 때 300만 관객은 무난히 돌파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주에도 이 흐름을 저지할 새 영화가 나오지 않기 때문에 '스즈메의 문단속'은 400만 관객에 도전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개봉 4주차에 접어들었는데도 '스즈메의 문단속' 흥행 전망을 밝게 보는 건 입소문을 타고 있어서다. 이 영화 주말 관객수는 주를 거듭할수록 늘고 있다. 개봉 첫 주말엔 69만4239명이 봤다가 다음 주말엔 71만2403명을 끌어모았고, 3주차 주말엔 75만명을 넘겼다. 일반적으로는 개봉 이후 주말 관객이 서서히 감소하는 추세를 보이지만, '스즈메의 문단속'은 정반대 흐름을 보이고 있다. 관람객 호평이 온라인으로 타고 퍼지면서 관객이 점차 증가했다고 해석할 수 있는 대목이다.
'스즈메의 문단속'은 '너의 이름은.'(2016) '날씨의 아이'(2019) 등으로 국내에도 많은 팬을 가진 신카이 마코토 감독의 새 작품이다. 앞선 두 영화와 함께 '재난 3부작'으로 불리는 이 작품은 재난을 불러오는 문을 닫으려는 소녀 스즈메와 청년 소타의 이야기를 그렸다. 일본에선 지난해 개봉해 1000만명이 넘는 관객이 봤으며, 지난달 열린 베를린국제영화제 경쟁 부문에 초청되기도 했다.
코미디언 박성광이 연출을 맡아 주목받은 영화 '웅남이'는 개봉 첫 주말에 11만7592명이 봤다. 누적 관객수는 17만2372명. 개봉 첫 주에 20만명을 넘기지 못하면서 흥행 실패 수순을 밟고 있다. '웅남이' 손익분기점은 약 100만명으로 알려졌다.
박성광은 앞서 두 편의 단편영화를 연출한 경험이 있다. 박성광 감독의 첫 번째 장편영화에는 박성웅·이이경·염혜란·최민수 등이 출연했다. 이 작품은 인간을 초월한 신체 능력을 가진 '웅남이'(박성광)가 국제 범죄 조직에 맞서게 되면서 벌어지는 이야기를 담은 코미디물이다.
이밖에 박스오피스 순위는 3위 '더 퍼스트 슬램덩크'(8만9560명·누적 427만명), 4위 '소울메이트'(3만9519명·누적 18만명), 5위 '파벨만스'(2만2469명·누적 3만명)
◎공감언론 뉴시스 jb@newsis.com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60일간 펼쳐지는 '소극장 공유 페스티벌'···9인9색 연극 [서울=뉴시스]제3회 소극장 공유 페스티벌 포스터. (사진=소극장 공유 페스티벌 운영위원회 제공) 2023.06.09. photo@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서울=뉴시스] 강진아 기자 = '제3회 소극장 공유 페스티벌'이 오는 8월6일까지 63일간 서울 종로구 소극장 공유에서 열린다.'9인 9색 연극, 생각을 잇-다'를 주제로 한 올해 축제는 이전과 달리 공모 형식으로 참가 단체를 선정했다. 총 32개팀이 지원했으며 서울 3팀, 경기 2팀, 인천 1팀, 세종 1팀, 충북 1팀, 광주 1팀 등 총 9팀이 선정됐다.창작집단 결 김로완 연출의 '햄릿 재판', 프로젝트SOL 김명섭 연출의 '청년말컴은 이렇게 말했다', 창작집단 꼴 손현규 연출의 '형장의 이슬', 테아터라움 철학하는 몸 임형진 연출의 '소시민의 칠거지악', 극단 오픈런씨어터 주승민 연출의 'Trigger-방아쇠', 극단 광대 김남우 연출의 '사계:피어나는 시간', 극단 종이달 이효식 연출의 '진저브레드맨', 극단 청예 김진영 연출의 'LIBRA(양팔저울)', 극단 시민 문유경·장원 연출의 '나비'가 무대에 오른다.축제는 지난해 코로나19 속에서도 객석 점유율이 약 80%에 달했다. 참가 단체 전원에게 극장 대관료를 지원하며 올해는 지역 네트워킹을 위해 우수작을 선정해 지역 연극제에도 참가할 예정이다. 주최 측은 서울특별시장상을 비롯해 한국연극협회이사장상, 서울연극협회이사장상 등 수상을 지원한다.소극장 공유 페스티벌 운영위원회는 "공연예술의 공유를 통해 청년 연극의 영토 확장을 꾀하려 전국 극단들에게 문호를 개방했다"며 "이 안에서 배우들이 뛰놀고 마음껏 닦은 기량을 발휘해 가치를 공유하는 페스티벌로 함께 성장해 나아갈 것"이라고 전했다.◎공감언론 뉴시스 akang@newsis.com
- · [주말의 OTT]사채업자 맨손으로 때려잡기
- · '배식 지각 위기' 발생···"이러다가는 100% 급식 사고"
- · '크리에이터 전성시대'···유튜브·TV 경계 희미해져
- · 아우구스틴 히델리히 "베토벤협주곡, 저를 바이올린으로 이끌었죠"[문화人터뷰]
- 1고기 한 점에 풍경 한 모금! 광주 근교 야외식당 4곳..
- 2광주시, 풍암호수 원형보존 뒤집고 부분매립 가닥···주민 반발..
- 3부동산 시장 '꿈틀'···5월 가계대출 19개월만에 최고치..
- 4담양에서 이색 칼국수 도장깨기! 안 먹으면 후회할걸~?..
- 5풍암저수지 원형보존? "'혈세 낭비'..
- 68500원짜리 GS25 `점보 도시락` 중고거래 몸값 폭등.....
- 75월 전국 아파트 청약 경쟁률 11.1대1...4월부터 회복세 ..
- 8문짝 뜯긴 아시아나 비상문, 수리비 6억4000만원 든다..
- 9오염수 방류 임박에 상인들 '한숨만'…남광주시장 가보니..
- 10광주 응급차량 교통사고 (영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