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시스

방탄소년단, 오늘 '아메리칸 뮤직 어워즈' 5년 연속 수상 도전

입력 2022.11.21. 00:10 댓글 0개

기사내용 요약

작년 BTS가 대상 받은 시상식…올해는 대상 제외 2개 부문 후보

주요 부문 '페이보릿 팝 듀오/그룹', 4년 연속 수상 도전

올해 K팝 부문 신설…견제·인정 등 다양한 해석 분분

[서울=뉴시스] 방탄소년단. 2022.09.14. (사진 = 빅히트 뮤직 제공) photo@newsis.com*재판매 및 DB 금지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뉴시스]이재훈 기자 = 글로벌 슈퍼 그룹 '방탄소년단'(BTS)이 미국 3대 대중음악 시상식으로 통하는 '2022 아메리칸 뮤직 어워즈'(AMAs)에서 5년 연속 수상에 도전한다.

방탄소년단은 21일 오전 10시(한국시간) 미국 로스앤젤레스(LA) 마이크로소프트 극장에서 펼쳐지는 이번 'AMAs'에서 '페이버릿 팝 듀오/그룹(Favorite Pop Duo or Group)'과 '페이버릿 K팝 아티스트(Favorite K-Pop Artist)' 2개 부문 후보로 선정됐다.

방탄소년단이 'AMAs'와 처음 인연을 맺은 것은 지난 2017년이다. 이 시상식에서 한국 가수 최초로 퍼포먼스를 펼친 이들은 이듬해인 2018년 '페이보릿 소셜 아티스트(Favorite Social Artist)' 수상을 시작으로 매년 상을 받았다.

2019년에는 '페이보릿 소셜 아티스트'·'페이보릿 팝 듀오/그룹'·'투어 오브 더 이어' 등 3개 부문에서 트로피를, 2020년에는 '페이보릿 팝 듀오/그룹'과 '페이보릿 소셜 아티스트' 부문을 받았다.

특히 지난해엔 대상 격인 '아티스트 오브 더 이어(Artist of the Year)'를 비롯 '페이보릿 팝 듀오/그룹'과 글로벌 히트곡 '버터'로 '페이보릿 팝송' 부문까지 총 3관왕을 안으며 해당 시상식에서 '커리어 하이'를 기록했다.

올해 역시 후보로 지명된 '페이버릿 팝 듀오/그룹'은 4년 연속 수상을 겨눈다. 해당 부문을 놓고 콜드플레이, 이매진 드래곤스, 모네스킨, 원리퍼블릭과 경합한다.

'AMAs'는 수상자를 팬 투표로 결정해 미국 3대 대중음악상 중에선 가장 대중적이라는 평을 듣는다. 이에 따라 강력한 팬덤 '아미'를 보유한 방탄소년단 수상이 유력하다.

'페이버릿 K팝 아티스트'는 'AMAs'가 올해 추가한 부문이다. 방탄소년단이 대상을 받는 등 전 세계적으로 위상이 높아진 K팝의 영향력을 인정한 것으로 보인다.

방탄소년단 외에 올해 미국 빌보드 메인 앨범차트 '빌보드 200'에서 정상을 찍은 '블랙핑크'를 비롯 '세븐틴'(SVT), '투모로우바이투게더'(TXT·투바투), 트와이스 등 K팝 간판 그룹들이 후보다. 모두 팬덤을 보유한 팀들이지만 북미 지역에서 특히 팬덤 분포가 큰 방탄소년단과 블랙핑크가 유리하다.

'AMAs'는 자신들과 그래미 어워즈, 빌보드 뮤직 어워즈를 포함한 미국 3대 대중음악상 처음으로 중 K팝 시상 부문을 따로 만들었다. 3대 대중음악상을 제외하고 주목할 만한 시상식 중에선 미국 'MTV 비디오 뮤직 어워즈'(VMA)와 이 시상식의 유럽 버전인 'MTV EMA'가 '베스트 K팝' 부문을 가지고 있다.

[서울=뉴시스] 블랙핑크. 2022.09.26. (사진= YG엔터테인먼트 제공) photo@newsis.com*재판매 및 DB 금지 *재판매 및 DB 금지

다만 한편에서는 작년 방탄소년단에게 팬 투표가 쏠릴 것에서 보듯 K팝을 견제하려는 시도가 아니냐는 해석이 나온다. K팝을 오히려 테두리 안에 가둬 주요상에 들어올 수 있는 담장을 높게 만들었다는 것이다.

실제 이번 'AMAs'에서 주요 부문에 오른 K팝 팀은 방탄소년단밖에 없다. 블랙핑크가 빌보드 차트뿐만 아니라 세계 최대 음원 플랫폼 스포티파이에서 주간 차트 1위 등을 차지하며 기록을 썼지만 K팝 부문 후보에만 오른 것이 예다. 하지만 올해 후보들이 워낙 쟁쟁했고 방탄소년단과 블랙핑크 외 팀들은 북미 시장에서 다른 팀을 위협할 만한 성과는 내지 못한 것도 사실이다.

특히 톺아봐야할 부분은 AMAs는 대중의 흐름을 적극 반영하는, 시장 친화적인 시상식이라는 점이다. 1974년 출발한 AMAs는 1998년까지 라틴 카테고리 시상 부문이 하나도 없었다. 당시 훌리오 이글레시아스, 리키 마틴 등 라틴 팝스타들이 크게 인기를 끌자 '페이버릿 아티스트 - 라틴(favorite artist—Latin)' 카데고리를 추가했고 이글레시아스를 첫 수상자로 선정했다. 현재는 '페이버릿 라틴 /듀오 그룹', '페이버릿 라틴 앨범' 등 라틴 관련 카테고리만 5개다. 이후에도 디스코, 오리지널 사운드 트랙 등 시대에 인기를 끈 장르들을 적극 카테고리에 추가했다.

몇년 전부터 나이지리아 출신 위즈키드(WizKid) 등 아프로비트(afrobeats·1970년대 나이지리아에서 유행한 음악으로 재즈, 펑크 등을 섞은 장르) 계열의 뮤지션들이 인기를 끌자 '페이버릿 아프로비츠 아티스트(Favorite Afrobeats Artist)' 등을 추가하기도 했다.

한편 이번 AMAs 최다 부문에 노미네이트된 주인공은 '운 베라노 신 티'로 미국 빌보드 메인 앨범차트 '빌보드200' 정상을 휩쓴 라틴 팝 가수 배드 버니다. 그는 올해의 아티스트를 포함 총 8개 부문에 후보로 지명됐다. 비욘세, 드레이크, 테일러 스위프트가 각각 6개 부문 후보다. 올해의 아티스트를 두고는 버니, 스위프트, 비욘세, 드레이크를 비롯 아델, 해리 스타일스, 더 위켄드 등이 경합한다. 강력한 팬덤을 보유한 스위프트와 스타일스가 수상 가능성이 크다.

AMAs 후보 지명은 음원 스트리밍, 앨범 판매, 싱글 판매, 라디오 방송, 그리고 투어 수익을 포함하는 팬덤 규모 등을 반영한다. 후보 대상은 작년 9월24일부터 올해 9월22일까지 노래를 발표한 가수와 발표곡이다.

◎공감언론 뉴시스 realpaper7@newsis.com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이건어때요?
댓글0
0/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