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내용 요약
국립광주박물관서 도자·회화·불교 공예품 271점 전시

[광주=뉴시스]김혜인 기자 = 고(故) 이건희 삼성그룹 회장이 생전에 수집한 미술품이 지역 중 첫 번째로 광주에서 선보인다.
국립광주박물관은 고 이건희 회장 기증 특별전 '어느 수집가의 초대'를 5일부터 2023년 1월 29일까지 광주박물관 1층 기획전시실에서 연다고 4일 밝혔다.
앞서 국립중앙박물관과 현대미술관은 지난 2021년 삼성그룹이 기증한 고 이 회장의 미술 소장품을 바탕으로 기증 1주년 기념 특별전 '어느 수집가의 초대'를 열었다.
현대미술관은 많은 지역민에게 관람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지역 미술관 순회전 개최 계획'을 내놓았다.
이 계획에 따라 지역 중 광주에서 처음 특별전이 열린다. 특별전은 도자·회화·불교 공예품 271점으로 구성됐다. 주제는 수집가의 안목과 취향으로 나뉜다.
'수집가의 취향'에선 특정 시대나 사조에 치우치지 않는 다채로운 미술품을 선보인다. 백자·분청사기 등 다양한 도자를 비롯해 조선 전기부터 근대를 대표하는 서화 전시품도 공개된다.
'수집가의 안목'에선 당시 수집가가 모은 미술품 중 훗날 그 가치를 인정받아 국가지정문화재로 지정된 작품들을 소개한다. 정선의 '인왕제색도'와 김홍도의 마지막 기념작인 '추성부도'는 4주 동안만 전시된다.
특별전을 기획한 권혜은 학예연구사는 "이번 전시는 국립중앙박물관에서 선보인 여러 작품 중 '예향의 고장'인 광주의 특성에 맞게 도자와 회화 중심으로 작품을 선별했다"고 밝혔다.

◎공감언론 뉴시스 hyein0342@newsis.com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바닷속 '물메기' 습성을 한눈에"···여수서 특별전시 기사내용 요약전남해양수산과학관 2월 한 달 꼼치·꼼치알 전시[여수=뉴시스] 전남 여수시 돌산읍 해양수산과학관 아쿠아리움에서 특별전시 중인 겨울철 남해안 대표 특산종 '꼼치'(물메기). (사진=전남해양수산과학관 제공) 2023.02.03. photo@newsis.com[여수=뉴시스] 이창우 기자 = 전남해양수산과학원은 여수 돌산읍 해양수산과학관에서 2월 한 달 겨울철 남해안 대표 특산종인 꼼치(물메기)와 꼼치알을 특별 전시한다고 3일 밝혔다.이번 전시는 평소에 보기 어려운 꼼치의 바닷속 습성을 관찰하고 수산자원의 보존 가치를 함께 생각해 보는 소중한 기회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꼼치는 45㎝까지 성장하는 대형 어종임에도 불구하고 1년만 살다가 생을 마감하는 단년생 종이다.꼼치의 뼈와 근육은 칼슘, 철분 등을 많이 함유해 숙취 해소를 위한 해장국 재료로 많이 쓰이며, 지방이 적고 단백질 함량이 높아 인기가 많은 어종이다.[여수=뉴시스] 전남 여수시 돌산읍 해양수산과학관 아쿠아리움에서 특별전시 중인 겨울철 남해안 대표 특산종 '꼼치(물메기)알'. (사진=전남해양수산과학관 제공) 2023.02.03. photo@newsis.com하지만 최근 남해안에서의 꼼치 자원량이 계속 감소하고 있어 해양수산과학원은 2020년부터 자원량 회복과 어업인 소득 증대를 위해 매년 꼼치 수정란을 자체 부화해 치어를 대량 방류하고 있다.2020년 2606만마리를 시작으로 2021년 2302만마리, 2022년엔 2590만마리를 방류했다.해양수산과학관은 꼼치를 비롯해 우리나라에서 사라져가는 명태, 소리 내는 물고기로 알려진 쥐치류·복어류·성대를 비롯해 하와이·홍해 바다의 다채로운 열대어 등 100여 종 5000여 마리의 생물을 전시하고 있다.김충남 전남도해양수산과학원장은 "과학관은 다른 아쿠아리움에 비해 입장료가 저렴하고 볼거리와 체험 프로그램이 많아 인기가 높다"며 "타 전시관과 차별화된 우수한 전시를 통해 관람객에게 사랑받는 전남 대표 전시관으로 만들겠다"고 말했다.◎공감언론 뉴시스 lcw@newsis.com
- · 정월대보름 신명나는 국악으로 즐긴다
- · 김병모 회고전 '그날 까지다'
- · "모두에 기적의 순간을 선물합니다"
- · 카자흐 재즈음악 개척한 고려인 작곡가 조명한다
- 1"3분만에 치킨 값 번다"···한 푼이라도 아낄 이색 짠테크..
- 2아파트값 5주째 낙폭 축소···"이제 집 사도 될까요" 매수문의..
- 3K8, '그랜저' 신기록에도 꿋꿋한 판매량···비결은?..
- 4광주은행"지역 청년에게 연 20만원 문화복지비 드려요"..
- 5타 지자체 BRT '훨훨'···광주는?..
- 6제한급수 시 광주천·용지 물로 불 끈다..
- 7지방 청약시장 매서운 한파...할인분양·계약 축하금 등 건설사들..
- 8특례보금자리론 사흘 만에 7조 신청...조기 마감 가능성은..
- 9광산구 시설관리공단 본부장에 구청장 측근 채용 논란..
- 10광주시교육청, '사립유치원 부조리' 공익제보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