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등일보

더 나은 세상을 위해 저도 미투(me too) 운동에 동참 합니다

입력 2018.02.06. 14:44 수정 2018.02.06. 14:49 댓글 0개
조선희 법조칼럼 이광원 법률사무소 변호사

한 현직 검사의 용기 있는 고백을 계기로 미투(me too)운동에 대한 동참자가잇따르고 있다. 서지현 검사는 지난 29일 JTBC ‘뉴스 룸’에 출연해 2010년 10월 서울 북부지검에 근무할 당시 “법무부장관을 비롯한 선후배 검사들이 동석했던 장례식장에서 장관을 수행하던 법무부 정책기획단장 안 모 검사에게 장시간 성추행을 당했다”고 폭로 했다.

그녀의 용기 있는 행동으로 사회 정의를 지키는데 앞장서야 할 검찰 조직의 성문화 민낯이 백일하에 드러났다. 8년 동안 벙어리 냉가슴 앓듯 살았던 한 여성의 과거가 온 천하에 모습을 드러내는 순간이었다. 서 검사는 “내가 성폭력 피해를 입었음에도 8년이라는 시간 동안 ‘내가 뭘 잘못해서 이런 일을 당한 건 아닌가’하는 자책감에 시달렸다”며 “수 많은 성폭력 피해자들께 결코 당신의 잘못이 아니라고 이야기해주고 싶었다. 그걸 깨닫는데 8년이 걸렸다 ”고 말했다.

그녀의 용기 있는 행동에 힘을 보태고 더 나은 세상을 위해서 필자도 나와 내후배 이야기를 통해 미투 운동에 동참 하려고 한다.

내 나이 18세 때 나를 후원하던 성직자로부터 강제 추행을 당했고 매일 밤 그사람이 나타나는 악몽을 꾸다가 그 사실을 형제들에게 털어 놨다. 당시 내 큰오빠가 나대신 그 사람에게 항의를 하자, 그 사람은 내가 거짓말을 지어냈다고 했다가 나중에는 자기가 지급했던 후원금도 있으니 그 일을 자신이 목회하는 지역사람들에게는 함구해 달라고 했었다. 내 큰 오빠는 나에게 “네 잘못이 아니고 그 사람이 나쁜 행동을 한 것이다”고 따뜻이 위로해 주었다.

나는 당시 너무 어렸고 그 사람 인생이 무너질까 두려워 고소를 하지 않았지만, 나는 그 사람이 내게 한 행동이 떠올라 대인기피증, 불면증을 겪으면서 갓 들어간 대학에 휴학계를 낼 정도로 괴로운 나날을 보냈었다. 나도 서 검사처럼 ‘내가 행동을 잘못해서 그런 일이 일어난 것은 아닐까’하는 자책에 괴로워했던 것이다.

또한 후배 변호사도 나와 같은 정신적 후유증을 앓고 있었다. 후배 변호사는 자신의 고용주인 선배 변호사와 저녁식사를 하게 되었는데, 선배 변호사가 “남자 친구 없지, 그럼 아직 처녀겠네? 내가 요즘 아내와 각방을 써서 너무 외롭다”고 하더니 갑자기 후배 변호사의 어깨를 껴안았다고 한다. 후배 변호사는 몇 번을 뿌리치다 결국 선배 변호사의 뺨을 때리고 도망쳐 나왔다고 했다. 후배 변호사는 무슨 용기로 선배 변호사의 뺨을 때릴 수 있었는지 모르지만 결국 그 직장을 그만둘 수 밖에 없었고 한동안 맘 고생이 심했다고 한다. 그녀는 변호사이면서도 고소를 하지는 못했다고 한다.

변호사가 이 정도인데 일반사회에서는 어떨지 거의 절망적 기분마저 든다. 솔직히 서 검사 사건은 검찰내 야만적 성문화의 빙산의 일각일지 모른다. 얼마나 많은 야만적 행위가 조직이라는 이름하에 묻혀졌을지를 생각하면 억장이 무너져 내린다.

실제도 그랬다. 서 검사는 성추행 사실을 문제 삼는 여검사에게 잘 나가는 검사의 발목을 잡는 꽃뱀이라는 비난이 쏟아지는 것을 자주 봤기에 자신의 피해를 공론화 시키지 못했다고 했다. 서 검사는 이 사건 전·후로 법무부장관 표창을 두 차례나 받았음에도 오히려 이 사건 이후 사무감사, 검찰총장 경고를 받고 결국 통영지청으로 좌천되는 인사상 불이익을 당했다고 했다.

이것이 우리 현실이다. 사법기관인 검찰조차 성범죄사건의 처리가 이정도 인데 우리 사회의 일반 성문화를 더 말해 무엇 하겠는가. 비정규직 근로자 등 수많은 여성들의 열악한 처지를 생각하면 가만 있어서는 안되겠다는 생각이 절로 든다.

그렇다면 이 같은 후진적 성문화는 어디서 온 것일까. 한국사회의 가부장적인 직장문화나 음주문화가 성범죄에 대한 관대한 시선을 만들어 냈고, 그동안 일부 남성들은 아무런 죄의식 없이 술자리에서 여성에게 성희롱적 발언을 마치 위트나 유머로 포장해 저지르지 않았는지 반성해 볼일이다. 무슨 놀이 문화처럼 포장해 여성에게 수치심으로 몸을 떨게 하는 성추행을 용기로 받아들이지는 않았는지 가슴에 손을 얹고 반성해 보라는 것이다.

필자가 용기를 내 과거를 고백하는 것은 결혼한 여성로서 앞으로 태어날 내 딸에게 더 나은 사회를 물려 주기 위해서다. 후배 변호사가 수치심에 몸을 떨지 않아도 되는 세상, 우리네 딸, 조카, 배우자가 성범죄의 피해를 당하고도 평생을 침묵한 채 자책 하지 않아도 되는 세상을 꿈꾸기에 감히 용기를 낸다.

이제 일반인들도 ‘미투 운동’으로 서 검사의 용기에 화답하고 있다,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등 SNS에서는 이용자들이 ‘피해자가 더 당당해지는 사회가 되기를 바랍니다’라는 ‘릴레이 미투운동’을 벌이고 있다. 그들의 용기에 박수를 보낸다.

‘과거의 잘못을 단죄하지 않는 것은 미래의 범죄에 용기를 주는 것이다’라는 알베르 까뮈의 말은 지금도 유효하다. 독자여러분도 마음속 깊이 묻어 두었던 아픈 기억이 있다면 미투 운동에 동참하시길 바란다. 더 나은 사회는 거저 얻어지는 것이 아니다. 수많은 이름 없는 사람들의 용기가 더해져 세상은 조금씩 바뀌어 갈 것이라고 믿는다. 끝없이 이어질 것 같은 겨울도 이제 끝자락이다. 우리에게 봄이 멀지 않았다. 변호사 조선희 (조선희 법률 사무소)

# 이건어때요?
댓글0
0/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