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등일보

<칼럼> ˝아저씨 아니어도 ´갤럭시´ 써˝

입력 2023.11.20. 10:18 수정 2023.11.20. 19:07 댓글 0개
김종찬의 무등칼럼 무등일보 취재1본부

요즘 인터넷에 보면 '갤럭시=아저씨'라는 용어가 안착된 것 같다.

누가, 언제 처음 사용한 말인지는 모르겠지만 '갤럭시=아저씨와 아줌마, 아이폰=10~20대'라는 벽이 생긴 것 같다.

필자의 대학생 시절을 생각해보면 2007년인 것 같은데 애플에서 '스마트폰'이라는 명칭으로 휴대폰을 내놨다. 당시에는 화면을 터치할 수는 있었지만 인터넷에 들어가면 통화료가 급증했었던 시기로, 스마트폰은 가히 혁명적인 일이었다.

지금도 마찬가지지만 스마트폰은 가격이 일반적인 터치폰에 비해 2~4배는 훨씬 더 비쌌다. 그런 틈새시장을 노린 스마트폰이 삼성전자의 '갤럭시'와 엘지전자의 '옵티머스' 였던 것으로 기억하고 있다.

필자는 'LG전자'의 튼튼함과 가성비, '4:3비율 화면·배터리 교체' 등 독창성에 반해 대학시절 'LG 스마트폰'만 들고 다녔다. 비주류 스마트폰이었지만 또 다른 나만의 개성으로 받아들여졌다.

갤럭시를 첫 구매한 계기는 '노트 시리즈'였다. 손쉽게 펜을 뽑아서 화면에 글을 쓰면 노트처럼 작성할 수 있었던 '노트 시리즈'는 메모를 많이 사용해야 하는 직업의 특성상 매력적인 요소로 다가왔다.

또 '삼성페이'와 '통화 중 녹음'도 당시 아이폰에서는 사용할 수 없었던 기능이었고, 현재 사용 중인 '폴드 시리즈' 역시 태블릿PC가 없어도 되는 강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필자는 2016년 이후 지금까지 갤럭시를 쓰고 있다.

얼마 전 가수 성시경은 본인의 유튜브에서 갤럭시 스마트폰을 사용하다 겪은 일화를 전했다. 성시경은 "얼마 전 어린 여자애를 만났는데 '갤레기 써요?'라고 하더라"며 "어린애들은 당연히 아이폰이어야 하는 그런 인식이 있는 것 같다"고 말했다.

또 충주시 공식 유튜브 채널에 출연한 대학생이 "상대방이 갤럭시를 쓰는 것은 상관없지만 저를 찍지는 않았으면 좋겠다"고 발언하기도 했다.

한 인터넷 블로그에서 '어차피 스마트폰은 '갤럭시' 아니면 '아이폰'인데 연령대를 이유로 서로 사용하는 스마트폰을 정하는 것은 옳지 않다. 세대 간 벽을 만드는 일"이라는 글을 봤다. 같은 생각에 울림이 컸다. 더불어 갤럭시를 쓰는 필자에게도 '아저씨'라는 말은 안써줬으면 좋겠다는 바람도 더해 본다.

김종찬 취재1본부 차장대우 jck41511@mdilbo.com

# 이건어때요?
댓글0
0/300
키워드뉴스
재밌수다 이번 크리스마스 연휴 집콕VS여행
4시간전 saintiron7 외식비 부담에 밖에 나가기 두려워. 그냥 집에서 피자 치킨 시켜서, 따숩게 보낼겨
3시간전 사람미어터져 밖에 나가면 사람 미어터져, 집에 있을겨
1시간전 메리크리스마스 예전만큼 연말의 설렘이 느껴지지 않네요. 비싼 외식비 숙박비 연말 성수기라고 더 받을거고 사람은 많아 서비스도 더 떨어질텐데 크리스마스엔 집에 있으려구요.
1시간전 맵도사 요즘 경기가 안좋아서 그른가... 길거리에 캐롤이 안들려서 그른가.... 영 크리스마스 분위기가 안남 날씨도 비오고... 연말 분위기가 하나도 안나다 이말이야. 집에서 놀 것 같음 여행은 돈없어서 못감.
1시간전 크리스마스 그냥하루쉬는 고마운 휴일
재밌수다 참여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