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윤, 11~14일 네덜란드 국빈방문···한-네덜란드 수교 이후 최초뉴시스
- 요즘 '3040 영컬렉터'는 어떤 작품을 소장하고 있을까?뉴시스
- 美 실업수당 청구 건수 21만8000건···전망치 소폭 하회뉴시스
- 'MZ 살림꾼' 남윤수, 가장 '저렴한 물건' 구매 방법뉴시스
- [초점]지드래곤, 500억 날리나···마약시비 경찰조사 후폭풍뉴시스
- 美 10월 근원PCE 전년 대비 3.5% ↑···전망치 부합뉴시스
- [녹유 오늘의 운세] 89년생 긴장감은 최고조 신중해요뉴시스
- 11월 독일 실업률 5.9%·0.1%P '악화'···실업자 270.2만명·2.2만명↑뉴시스
- <고침> 함세웅 신부, 문·이낙연 겨냥 "방울 달린 남자가 추미애보다 못해"뉴시스
- [올댓차이나] 中, 호주산 포도주에 부과 보복관세 철회절차 착수뉴시스

[서울=뉴시스] 박준호 기자 = 아제르바이잔 내 아르메니아계 분리주의 지역인 나고르노-카라바흐 지역 주유소에서 발생한 폭발 사고로 인한 사망자 수가 125명으로 급증했다.
인테르팍스통신, 가디언 등 외신에 따르면 25일(현지시간) 밤 아르메니아로 탈출하려던 주민들이 장거리 운전 연료를 사기 위해 긴 줄을 서있던 주유소에서 폭발이 일어났다.
폭발 사고는 나고르노-카라바흐 지역 내 스테파나케르트 외곽 주유소에서 발생했다. 현재까지 정확한 폭발 원인은 알려지지 않고 있다.
이번 폭발 사고로 최소 20명이 사망하고 300명 가까운 부상자가 발생했다고 분리주의 정부 당국이 26일 밝혔지만, 아르메니아 보건부는 사망자 수가 125명이라고 발표했다.
25일 밤 폭발은 분리주의 주도에서 최근의 아르바이잔 전투 패배 후 모국인 셈인 아르메니아로 가기 위해 장거리 운전에 나선 주민들이 주유소에서 긴 줄을 서있던 중에 발생했다.
기독교계 아르메니아와 무슬림 아제르바이잔은 소련 붕괴후 1991년 독립했고 3년 후 나고르노-카라바흐의 아르메니아계 지역은 아제르바이잔 내에 있으면서 분리 독립을 선언했다. 이후 30년 동안 분리 지역 및 아르메니아 군대 그리고 아제르바이잔 군대 간의 무장 충돌이 끊이지 않았다.
3년 전 44일간의 전투에서 패배했던 분리주의 지역은 보름 전 다시 아제르바이잔과의 싸움에서 당일 대패해 항복에 준하는 평화협정을 맺을 수밖에 없었고 이에 12만여명의 주민 중 상당수가 아제르바이잔 지역을 지나 아르메니아로 탈출하고 있었다.
주유소 폭발로 인해 수백명의 부상자가 발생헀지만 현지 병원에서는 의약품 부족으로 치료를 제대로 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현지 병원 관계자는 "현재 우리는 어떠한 의료 자원도 남아있지 않다"고 말하며 화상의 감염방지 항생제가 떨어졌다고 덧붙였다고 가디언이 전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pjh@newsis.com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美 실업수당 청구 건수 21만8000건···전망치 소폭 하회 [포틀랜드=AP/뉴시스]미국의 지난주(19~25일) 신규 실업수당 청구 건수가 전 주보다 7000건 늘어난 21만8000건으로 집계됐다. 사진은 미국 메인주 포틀랜드의 한 건설 현장에서 노동자가 고용 표지판 앞을 지나는 모습. 2023.12.1[서울=뉴시스] 최현호 기자 = 미국의 지난주(19~25일) 신규 실업수당 청구 건수가 전 주보다 7000건 늘어난 21만8000건으로 집계됐다.30일(현지시간) CNBC 등 외신들은 미 노동부의 발표를 인용, 이같이 전하면서 전문가 전망치인 22만 건에는 약간 미치지 못했다고 보도했다.계속 실업수당 청구 건수의 경우 전 주보다 8만6000건 늘어난 193만 건으로, 2021년 11월27일 이후 최고 수준을 기록했다고 미 노동부는 밝혔다. 계속 실업수당은 최소 2주 이상 실업수당을 신청하는 건수를 말한다.미 연방준비제도(연준·Fed)가 금리 인상을 종료할 가능성에 대한 시장의 기대가 높아지고 있는 가운데, 실업수당 청구 건수의 증가는 이같은 기대를 더욱 강화시켜 줄 것으로 보인다. 연준이 선호하는 지표인 10월 근원 개인소비지출(PCE) 가격지수도 전년 동기 대비 3.5% 상승, 전문가 전망치에 부합한 것으로 나타났다.최근 연준은 미국 경제 성장과 인플레이션 속도가 둔화됐다고 평가한 바 있다.다만 토마스 바킨 리치먼드 연방준비은행 총재는 전날 한 행사에서 인플레이션이 더 끈질길 가능성이 있다면서, 금리 인상 가능성도 여전히 남아있다고 말했다.◎공감언론 뉴시스 wrcmania@newsis.com
- · 美 10월 근원PCE 전년 대비 3.5% ↑···전망치 부합
- · 11월 독일 실업률 5.9%·0.1%P '악화'···실업자 270.2만명·2.2만명↑
- · [올댓차이나] 中, 호주산 포도주에 부과 보복관세 철회절차 착수
- · COP28, '기후 손실·피해 기금' 공식 출범
- 1광주에서 가장 큰 크리스마스 트리는 어딜까?..
- 2상무지구 술집 알바생 발에 불 붙여···가해자 "장난이다" 경악..
- 3"반값 딸기·대게, 호빵은 500원" 이마트, '창립 30주년 ..
- 4"실거주 의무 폐지한다더니"···법안 계류에 입주자들 발동동..
- 5새벽 잠 깨운 재난문자 "왜 보냈나" vs "당연히 알려야"..
- 6연말 소규모 모임 추천···기분내기 좋은 광주 식당 3곳..
- 7"DSR 우회꼼수"···50년 주담대 변칙 대출 적발 ..
- 8겨울 여행지 어디갈까? 전남 겨울 바다 명소 BEST 4..
- 9영암서 3m 깊이 물웅덩이에 빠진 50대 남성 숨져 ..
- 10한국은행 기준금리 또 '동결'···대출금리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