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시스

광주 최고봉에 서다, 무등산 정상 57년만에 시민 품으로

입력 2023.09.23. 13:32 댓글 0개
은빛 억새밭 지나 인왕봉 전망대 올라
광주 도심 한눈에 "드디어 정상 밟았다" 감격
군부대 이전과 정상부 신속 복원 바람 전해
[광주=뉴시스] 김혜인 기자 = 무등산 정상부 상시개방 첫날인 23 일 오전 광주 무등산국립공원에서 시민들이 서석대에서 인왕봉을 향하고 있다. 천왕봉, 지왕봉, 인왕봉이 위치한 무등산 정상부는 1966년 군부대 주둔으로 출입이 통제됐다가 이날부터 상시개방을 시작했다. 2023.09.23. hyein0342@newsis.com

[광주=뉴시스]김혜인 기자 = "무등산 꼭대기에서 내 고향 광주를 볼 수 있게 돼 가슴이 벅찹니다."

무등산 정상부 상시개방 첫날인 23일 오전 무등산국립공원은 정상부로 향하는 탐방객의 발길이 이어졌다.

인왕봉 직전 코스인 서석대엔 이른 오전부터 탐방로 개방을 기다리는 시민들로 붐볐다.

탐방객들은 파란 하늘 사이 뾰족하게 솟은 정상부를 바라보며 기대에 부푼 표정을 지었다.

오전 10시가 되자 "하나, 둘, 셋" 구호와 함께 인왕봉으로 향하는 길을 막았던 커다란 나무 울타리가 걷혔다.

탐방객들은 열렬히 환호하며 57년 만에 상시개방된 정상부를 향한 첫 발걸음을 뗐다.

시민들은 가족·친구·등산 동호 회원들과 함께 상쾌한 공기를 들이마시며 은빛으로 물든 억새밭을 지났다.

인왕봉 전망대까지는 오르막길과 경사가 급한 목재 계단이 390m가량 이어졌다.

시민들은 가쁜 숨을 내쉬면서도 웃음을 잃지 않았다. 숨찬 동료에게 "열정, 열정, 열정" 구호를 외치며 힘을 싣기도 했다.

[광주=뉴시스] 김혜인 기자 = 무등산 정상부 상시개방 첫날인 23 일 오전 광주 무등산국립공원에서 서석대에서 인왕봉을 향하는 통제 울타리가 제거되고 있다. 천왕봉, 지왕봉, 인왕봉이 위치한 무등산 정상부는 1966년 군부대 주둔으로 출입이 통제됐다가 이날부터 상시개방을 시작했다. 2023.09.23. hyein0342@newsis.com

인왕봉에 오르자 광주 도심이 한눈에 펼쳐졌다.

건물과 아파트들도 거대한 자연 앞에선 조그마한 점으로 변했다.

탐방객들은 탄성, 또는 "이제서야 왔다"며 만감이 교차하는 표정으로 정상을 맞이했다.

그동안 정상부가 통제돼 서석대, 장불재까지만 올랐던 시민들은 무등산의 꼭대기를 경험하며 가슴 벅차했다.

이들은 기념 사진을 촬영하거나 처음 보는 정상을 눈에 담으려 한동안 자리에 머물렀다.

탐방객들은 정상부에 전시된 1900년대 흑백 인왕·천왕·지왕봉 사진을 구경하기도 했다.

[광주=뉴시스] 김혜인 기자 = 무등산 정상부 상시개방 첫날인 23 일 오전 광주 무등산국립공원에서 시민들이 개방된 인왕봉 전망대에서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천왕봉, 지왕봉, 인왕봉이 위치한 무등산 정상부는 1966년 군부대 주둔으로 출입이 통제됐다가 이날부터 상시개방을 시작했다. 2023.09.23. hyein0342@newsis.com

지인과 인왕봉 전망대를 찾은 광산구민 김유승(27·여)씨는 "산은 정상까지 올라야 뿌듯한데 이전엔 서석대까지만 등반해 아쉬었다"며 "드디어 정상에 오를 수 있게돼 기쁘고 이제서야 제대로 무등산을 즐긴 것 같다"고 밝혔다.

광주 시민 이연우(26)씨는 "내가 사는 광주를 한 눈에 바라보게 돼 감격스럽다"고 전했다.

일부는 군부대 이전과 정상부 신속 복원을 바라기도 했다.

김경자(63)씨는 "봉우리가 철책에 가로 막혀 전체를 볼 수 없어 아쉬웠다"며 "차질 없이 정상부 복원이 되길 바란다"고 밝혔다.

강기정 광주시장은 이날 서석대에서 열린 '무등산 정상 상시 개방 개통식'에서 "군부대 이전을 통해 많은 시민이 더 온전하게 무등산을 누릴 수 있도록 더욱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무등산 정상은 공군부대가 주둔한 1966년부터 민간인 출입이 통제됐다. 지난 2011년부터 매년 적게는 두번, 많게는 네번 한시 개방됐다.

광주시는 지난해 12월 공군 제1 미사일 방어여단, 국립공원공단과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상시 개방을 추진했다.

무등산 정상부를 개방한 이날 오전 10시부터 오후 1시까지 정상부에 탐방객은 1044명이 다녀갔다.

[광주=뉴시스] 김혜인 기자 = 무등산 정상부 상시개방 첫날인 23 일 오전 광주 무등산국립공원에서 시민들이 서석대에서 인왕봉을 향하고 있다. 천왕봉, 지왕봉, 인왕봉이 위치한 무등산 정상부는 1966년 군부대 주둔으로 출입이 통제됐다가 이날부터 상시개방을 시작했다. 2023.09.23. hyein0342@newsis.com

◎공감언론 뉴시스 hyein0342@newsis.com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이건어때요?
댓글0
0/300
재밌수다 무지출 챌린지 해보셨다면?
5시간전 만원의 행복 집에 누워만 있어도 통신비에 보일러값에.. 어떻게 성공 가능하죠ㅠㅠ 진짜 아무것도 없는 공터에서 책만 읽으면 가능할지도..
5시간전 무지출 노하우는 배달 어플 끊고 온라인 쇼핑 하지마세요. 나가기 귀찮아서라도 돈 덜씁니다 + 좋은 회사 다니세요ㅠ 좋은 회사는 출퇴근 셔틀 운행하고 밥도 주고 온갖 지원이 많아서 돈쓸일이 없습디다 (물론 남 얘기 하는 겁니다 ㅋㅋ )
3시간전 맵도사 무지출이 가능하냐? 집 나서는 순간분터 지출임.
2시간전 무지출이 가능한건가? 집 안에 있으면 보일러에 전기, 가스, 화장실 써야 하니 현금은 아니지만 돈은 나가게 되어 있고 집 밖에 나가서 돌아다니면 무조건 돈 쓰게 되어 있고 현금 지출이 없다 치더라도 돌아다니면 신발 닳아짐.... 나갔다 들어오면 옷도 빨아야 하고 지금 당장은 아니어도 결국 나중에 돈 들어감 진짜 돈 안쓰는 방법은 일어나자마자 씻지도 말고 집 바로 부근에 있는 벤치에 하루종일 앉아 있다가 화장실은 공중화장실에서 해결하고 밥은 쫄쫄 굶던가 땅에서 주워먹던가 해서 해결하고 저녁에 집에 들어와서 이불뒤집어 쓰고 그대로 자야댐.... 그거 말곤 방법이 없어....
1시간전 정리왕김정리 무지출챌린지를 모르시네. 그냥 그날 카드값/통장 출금 또는 이체가 발생하게 안나게 하는 거임. 즉, 출금이나 카드 사용 내역이 없으면 그게 무지출챌린지임(현금도 마찬가지로 안써야함, 결제문자도 안나와야함) 버스 안타고 40분 걸어서 출근한다. 회사 간식으로 약간의 허기를 달래고 업무 시작. 점심은 구내식당에서 점심해결하고 회사 맥심 하나 타먹는다. 걸어서 퇴근 집와서 집밥먹는다. 이상 무지출 챌린지 팁임.
재밌수다 참여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