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시스

아기 울음소리 '뚝'···대형 산부인과도 '경영난' 문닫는다

입력 2023.09.19. 11:48 댓글 1개
광주 문화여성병원 이달 30일 폐원
"분만환자 적어 폐원 불가피" 입장
[서울=뉴시스]광주 북구 운암동에 위치한 문화여성병원은 저출산 장기화로 인한 지속적인 분만 감소로 경영이 악화돼 오는 30일 문을 닫는다고 밝혔다. (사진= 문화여성병원 홈페이지 캡쳐) 2023.09.19. photo@newsis.com.

[서울=뉴시스] 백영미 기자 = 광주의 한 대형 산부인과병원이 저출산 장기화로 인한 출산율 하락에 따른 수익성 악화로 문을 닫는다. 분만 수가 인상 등 지원책이 마련되지 않는다면 산부인과 도미노 폐업이 이어질 것이라는 우려가 나온다.

19일 광주 북구 운암동에 위치한 문화여성병원에 따르면 이 병원은 저출산 장기화로 인한 지속적인 분만 감소로 경영이 악화돼 오는 30일 문을 닫는다.

문화여성병원 관계자는 “최근 분만 환자가 적어 폐원을 결정할 수 밖에 없었다”며 “신속한 전원처치로 출산을 앞둔 환자들이 불편을 겪지 않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이 병원은 8층 규모로 광주 지역에서 손꼽히는 산부인과 중 하나다. 산부인과·소아청소년과·마취통증의학과·진단영상의학과·산후조리원 등 세분화된 진료 시스템을 갖추고 있다.

현행 40만원 수준의 분만 수가로는 적자가 나는 구조여서 인건비 조차 감당하기 어렵다는 입장이다. 토요일 진료의 경우 진료 가산이 150% 붙지만, 이마저도 오후 진료에만 적용되고 있다.

인구 소멸 직전인 지방의 경우 분만을 유지하려면 지역의 특성을 감안한 세부적인 지원책이 필요하다는 목소리도 있다.

통계청이 지난 2월 발표한 ‘2022년 인구동향조사 출생·사망통계’를 보면 ‘합계출산율(여성 1명이 평생 낳을 것으로 예상되는 평균 출생아 수)’은 0.78명으로 1년 전보다 0.03명 감소했다. 통계 작성이 시작된 이래 최저치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회원국 중 합계출산율이 1명도 되지 않은 국가는 한국이 유일하다.

광주 지역 합계 출산율은 2015년 1.2명에서 지난해 0.844명으로 1.4배 가량 감소했다.

김재연 대한산부인과의사회 회장은 "정부가 '지역수가(분만수가의 100%)' 지원책을 발표했지만 건강보험정책심의위원회에 상정조차 되지 않아 아직 도입되지 않았다"면서 ”지역별로 차등화돼 있어 전국에서 혜택을 받는 곳은 절반 정도에 불과해 모든 지역을 대상으로 일괄적으로 인상하고, 분만 취약 지역은 별도로 지원해야 한다"고 말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positive100@newsis.com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이건어때요?
댓글1
0/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