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시스

바이든, 부채한도 합의 법안 서명···美디폴트 우려 종지부

입력 2023.06.04. 03:10 댓글 0개
2025년 1월1일까지 부채 한도 유예
디폴트 경고일 이틀 앞두고 법 서명
[워싱턴=AP/뉴시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2일(현지시각) 백악관 집무실에서 '재정책임법 2023'이 통과해 사상 최초의 디폴트(채무불이행)를 피한 데 대한 대국민 연설을 하고 있다. 바이든 대통령은 "이번 초당적 합의는 미국 경제와 미국인의 큰 승리"라고 말했다. 2023.06.03.

[서울=뉴시스] 이윤희 기자 =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의회를 통과한 연방정부 부채 한도 상향 합의안에 3일(현지시간) 서명했다.

백악관은 이날 바이든 대통령이 2023년 재정 책임 법안에 서명했다고 밝혔다.

백악관은 법안에 대해 "2025년 1월1일까지 부채 한도를 유예하고, 2025년 1월2일에는 유예 기간 발행된 채무를 수용하기 위해 부채 한도를 상향한다"고 설명했다.

미국 연방정부는 오는 5일까지 부채한도를 인상하지 않으면 채무불이행(디폴트) 사태에 빠질 것으로 예상됐다.

바이든 대통령은 야당인 공화당과 지난달 초부터 부채 한도 상향을 위한 협상에 들어갔고, 지난달 28일 최종 합의안을 도출했다. 법안은 지난달 31일과 지난 1일 미 하원과 상원을 통과했고, 마침내 바이든 대통령에게 넘겨졌다.

바이든 대통령은 서명에서 앞서 전날 연설을 통해 "미국 민주주의가 기능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은 타협과 합의"라며 "초당파적 합의가 어렵고 통합이 어렵다는 것을 안다. 그렇다고 시도를 멈출 수는 없다"고 강조했다.

그는 "우리의 정치가 아무리 어려워지더라도, 우리는 서로를 적이 아니라 동료 미국인으로 봐야 한다"면서 "서로를 품위와 존중으로 대하고, 미국인과 힘을 합쳐 고함을 멈추고, 온도를 낮추고, 진보를 위해 함께 노력하고, 번영을 확보하고, 모두를 위한 미국의 약속을 지키자"고 했다.

바이든 대통령이 서명을 마치면서 법안이 발효되고 디폴트 우려는 2025년 1월까지 완전히 제거됐다.

백악관은 이날 케빈 매카시(공화당) 하원의장, 하킴 제프리스 민주당 하원 원내대표, 척 슈머 민주당 상원 원내대표, 미치 맥코넬 공화당 상원 원내대표의 동반자 정신에 감사를 표한다고 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sympathy@newsis.com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이건어때요?
댓글0
0/300
재밌수다 광주신세계 터미널 복합화 오히려 좋아?
5시간전 ㅇㄷㄴ 차 더 막히겠네 그러니깐 지하철 1호선 왜 터미널쪽 안뚫었노ㅋㅋㅋ
4시간전 양산동 좀더 높고 넓게 증축하세요 멋드러진 랜드마크 어디서나 잘보이겠다 금호월드 상관없이 지ㅓ보자
4시간전 그러네 어떻게보면 손해긴 하네
3시간전 큰그림 터미널에 지하철 연결안하는 곳 바로 광주
재밌수다 참여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