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시스

광주 동구 모 아파트서 개 짖는 소리 시끄러워···"견주가 손해배상"

입력 2023.05.31. 14:10 댓글 14개
지체 장애 주민, 아래층 개 짖는 소리로 수면 장애→위자료 청구 소송
재판장 "공동주택 소음기준치 미달해도 생활 소음 반복은 불법 행위"
"증거 충분하지 않아 손해배상 청구액 300만 원 중 100만 원만 배상"

[광주=뉴시스] 신대희 기자 = 공동주택 아랫집의 개 짖는 소리로 위층 주민이 피해를 봤다면, 개 주인에게 손해배상 책임이 있다는 판결이 나왔다.

광주지법 민사 24단독 박현 부장판사는 지난 30일 A씨가 아래층 주민 B씨를 상대로 낸 300만 원 상당의 손해배상 청구소송에서 "B씨는 A씨에게 100만 원을 배상하라"며 원고 일부 승소 판결을 했다고 31일 밝혔다.

지체 장애가 있는 A씨는 지난해 3월 광주 동구 모 아파트 10층으로 이사했다.

A씨는 그 무렵부터 최근까지 아래층에 사는 B씨의 반려견 2마리(이 중 1마리는 유기견)가 짖는 소리에 시달렸다.

A씨는 몸이 불편해 누워 있을 수밖에 없었고, 매일 5시간 이상 지속되는 개 짖는 소리에 잠을 제대로 자지 못했다. 우울증도 겪었고, 정신건강의학과에서는 '적응 장애로 치료가 필요하다'는 진단을 받았다.

A씨는 여러 차례 B씨에게 개선을 요구했다. B씨는 '개 훈련사와 상담하고, 성대 수술을 고려하겠다고 했다가 추후 방음 부스를 설치했다'며 소통을 거부했다.

A씨는 경찰과 층간소음 이웃사이센터에도 도움을 요청했으나 개는 물건에 해당해 조정 대상이 아니라는 답변을 받았다. 관리사무소에서도 적절한 조치를 할 수 없었다.

A씨는 이사까지 시도했으나 집이 팔리지 않았고, 개 짖는 소리로 수면 장애가 지속하자 위자료 청구 소송을 냈다.

재판장은 "건강 상태가 좋지 못한 A씨가 B씨의 개가 짖는 소리에 시시때때로 상당한 피해를 봤다. 생활 방해 소음이 지속했는데 B씨가 적절한 조치를 하지 않았다"고 봤다.

재판장은 "개 짖는 소리가 환경부령 '공동주택 층간소음의 범위와 기준에 관한 규칙'이 정한 소음 기준치에 미치지 못해도, 그 소리가 매일 반복되면 듣는 사람은 상당한 스트레스를 받는다. 이는 다른 사람에 대한 불법 행위에 해당한다. 다만, A씨가 충분한 증거를 제출하지 못해 청구액의 일부만 인정한다"고 판시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sdhdream@newsis.com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관련키워드
# 이건어때요?
댓글14
0/300
키워드뉴스
재밌수다 전기차 구매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2시간전 fa 아직 시기상조 보람상조
2시간전 ㅔ... ..에.... 뭐... ......... 에.... 집밥 있으면... ㅔ... 사십쇼..
2시간전 돈 없어서 못사지ㅇㅇ
1시간전 전용면허증발급필요 전기차 급발진 사고가 많이 난다고 뉴스에서 맨날 떠드는데 전기차사고 운전자 연령대 정리해서 발표는 안하더라? 충분히 정리해서 기사 낼 수 있을텐데 왜 안할까? 싶음. 일단 전기차 급발진 주장 기사보면 대게 60대 이상 고령자임. 그리고 이들 대다수가 무사고 경력도 상당함. 근데 왜 잦은 사고가 발생할까? 이건 전기차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기 때문임. 전기차는 내연기관이랑 다름 전기 효율을 극대화하기 위해 회생제동 시스템이 들어있는데 엑셀을 밟으면 가속이 되고 엑셀을 놓으면 마치 브레이크 밟은 것 처럼 속도가 줄어듦(감속이 큼). (초창기 전기차가 택시로 보급 되었을때 전기차로 운전하는 택시기사님 차타면 꿀렁꿀렁 멀미하는 느낌을 다들 받아 봤을꺼임. 이게 회생제동 때문임) 즉, 전기차는 이 회생제동 때문에 운전이 숙달되면 원페달 드라이빙이(엑셀만으로 가속 감속하면서 운전) 가능함 . 근데 고령자들은 신체 감각이 젊은 사람들에 비해 떨어질 수 밖에 없고 회생제동 때문에 엑셀과 브레이크를 헷갈릴수가 있음. 그래서 엑셀을 놓는데 마치 브레이크 밟았었다고 착각할 수 있음.(밟았다 놨는데 속도가 크게 줄어드니까) 이 때문에 갑작스러운 돌발상황이 발생하면 속도를 줄인다면서 엑셀을 밟을 수도 있다는 거임. 따라서 충분한 이론과 실기 교육이 필요함 또 이를 인증하는 면허증 제도가 필요하다고 봄. 그외에 할말은 더 많지만 전기충전만 놓고 보더라도 각 지역별 전기 충전소 혜택카드도 다르고 복잡함. 전기차 제도 및 인프라 등이 많이 다듬어져야 한다고 봐서 구매는 시기상조라 봄.
재밌수다 참여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