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등일보

<사설>정부인사 5·18 망언에 내분까지···시민들이 나섰다

입력 2023.03.16. 16:57 수정 2023.03.16. 19:52 댓글 0개
사설 현안이슈에 대한 논평

광주민중항쟁 43주년이 다가오고 있지만 5·18 정신을 흔드는 대내외 악재들이 연이어 터져나오자 광주·전남 시민들은 물론 전국 시민사회단체가 이들의 만행을 규탄하며 오월정신 지키기에 나섰다.

김재원 국민의힘 최고위원과 김광동 진실·화해를위한과거사정리위원회 위원장 등 현정부 주요 인사들이 공개적으로 5·18을 폄훼하는 망언으로 역사를 퇴행시키는 행태에 시민들이 들고 일어선 것이다.

설상가상 일부 오월단체들은 충분한 사회적 논의없이 '전시성'으로 비판받는 행사를 강행하고 나서 43주년 행사에 배제되는 화를 자초, 국민께 내분 양상을 보이는 등 43주년에 와서까지 오월 정신이 또 다시 위협받는 양상이다.

전국 18개 시민단체가 모인 '참여자치지역운동연대'는 15일 김재원 최고위원과 김광동 위원장의 5·18 정신 훼손 발언 규탄 성명을 냈다. 이들은 "김재원 최고위원과 김광동 위원장의 망언은 개인의 일탈로만 볼 수 없다"며 "김 위원을 국민의 당 차원에서 징계하고, 김 위원장은 경질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또 광주·전남 191개 시민사회단체가 모인 '오월정신 지키기 범시도민 대책위원회'도 이날 입장문을 내고 김재원·김광동 두 인사의 망언을 규탄하는 한편 5·18 부상자회와 공로자회에 대한 제43주년 5·18 민중항쟁 기념행사 배제를 환영했다.

대책위는 '5·18 정신을 헌법에 수록할 수 없다'는 김 최고위원과 '5·18 당시 북한군이 투입됐다'는 김 위원장의 잇단 5·18 폄훼 망언에 대해 '오월 정신 훼손이자 5·18 역사왜곡'이라고 비판했다.

또 "5·18 특별법은 진상규명에 적극 협조한 경우 처벌이나 감형, 특별사면과 복권을 약속하고 있다"며 "특전사 동지회는 실효적인 증언으로 진상규명에 적극적으로 협조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광주민중항쟁 43주년을 앞두고 광주 안팎에서 벌어진 5·18 망언과 일부 오월 단체의 독주에 심각한 우려를 표한다.

특히 여당 최고위원과 김광동 진실화해 위원장의 망언은 '5·18헌법수록'이라는 대통령의 약속이나, 지난 수십년동안 국내외 시민사회와 국가의 노력으로 정립한 '광주민주화운동'의 진실을 노골적으로 짓밟았다는 점에서 사회적 해악이 크다. 대국민 약속도, 진실도 필요없다는 행태는 사회적 폭력에 다름아니다.

두 단체는 5·18이 특정 단체의 전유물일 수 없다는 사실을 잊어서는 안된다. 사회적 공론화 없는 일방의 독점적 행태나 주장은 또 다른 폭력이다.

# 이건어때요?
댓글0
0/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