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등일보

<사설>장애인에 닫힌 행정문턱···´장애인친화도시´ 맞나

입력 2023.03.16. 16:57 수정 2023.03.16. 19:53 댓글 0개
사설 현안이슈에 대한 논평

광주시가 '장애인친화도시'를 천명하고 있으나 장애인들은 물리적인 행정 문턱을 넘어서기도 어려운 것으로 나타나 광주시와 각 구청의 적극 행정이 요구된다.

이는 최근 광주시가 제2차 장애인정책 종합계획을 수립하고 4년간 1천580억원 투입하는 등 생애별 복지정책으로 장애인 친화도시를 구축하겠다고 천명한 것과도 배치된다.

최근 본보 취재진이 장애인 활동가들과 함께 현장을 점검한 결과 장애인 이동권은 거의 확보되지 못한 것으로 드러났다.

휠체어 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돼있어야 할 경사로, 수어통역, 점자안내판, 전용 화장실 등 장애인 지원 편의시설이 의무설치 대상이지만 대부분 행정복지센터들이 기준에 못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취재진이 15일 백운2동, 사직동·주월1동 등 남구 행정복지센터 세 곳에서 장애인차별금지추진연대의 접근성 모니터링에 동행했더니 세 곳 모두 장애인들의 이용이 원활하지 않았고, 특히 한 곳은 출입문부터 휠체어 통과가 어려웠다.

심지어 장애인 화장실은 모두 휠체어 접근이 불가능했고,장애인 화장실에 청소도구를 보관한 곳도 있었다.엘리베이터도, 장애인 주차장도, 수어 통역까지 모든 것이 기준미달이거나 아예 없었다.

모든 공공기관에 장애인 편의시설을 의무적으로 설치해야 한다고 규정한 '장애인차별금지 및 권리구제 등에 관한 법률'이 지난 2008년부터 시행됐지만 여전히 공공기관이 장애인에게 문을 닫고 있는 셈이다.

광주 일선 행정복지센터의 장애인 이동권 장애에 심각한 우려를 표한다.

장애인 이동권은 장애인 뿐 아니라 어린이, 노약자, 환자 등 이동약자를 상징한다는 점에서 광주시와 각 구청의 대응이 절실하다.

# 이건어때요?
댓글0
0/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