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시스

'가뭄 광주' 부주의·시설노후···사흘 새 물 5만7180t 유출(종합)

입력 2023.02.14. 15:25 댓글 12개

기사내용 요약

12일 정수장 밸브고장, 수돗물 5만7000t 유출

도시철도 공사중 상수도관 파손 180t쏟아져

[광주=뉴시스] 김혜인 기자 = 14일 오전 광주 남구 백운광장 도시철도2호선 4공구 공사 구간에서 매설된 상수도관이 파손돼 물이 나오고 있다. 2023.02.14. (사진=독자 제공) photo@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

[광주=뉴시스]김혜인 기자 = 최악의 가뭄 속 광주에서 부주의와 시설 노후화로 사흘 새 소중한 수돗물 5만 7180t이 도로로 유출됐다.

14일 광주시상수도사업본부에 따르면, 이날 오전 8시 45분께 광주 남구 백운동 백운광장 인근 도시철도 2호선 1단계 4공구(남구청~양림휴먼시아)토목 공사 중 상수도관이 파손됐다.

상수도사업본부는 굴착 장비가 지하 터파기 작업을 하다가 관 연결 부분을 파손한 것으로 보고 있다.

파손된 관에선 수돗물이 시간당 60t씩 세 시간 동안 쏟아졌다.

상수도사업본부는 누수 발생 시점부터 비상관로 개방과 수계조절을 통해 단수 없이 복구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복구 작업은 이날 오후 4시께 끝날 것으로 보인다.

상수도사업본부는 복구에 따른 수압변화로 주월동·진월동 등 일부지역 2800여 세대에 흐린물이 나올 것으로 예상했다.

앞서 지난 12일 광주 남구 덕남정수장에서도 배수지로 물을 보내는 수도관 유출밸브가 노후화로 고장 나 수돗물 5만 7000t이 유출됐다.

광주시는 가뭄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지난해 11월부터 절수 운동을 벌이고 있다. 현재 광주 식수원인 주암호의 저수율은 23%대를 기록하고 있다.

[광주=뉴시스] 상수도관 파손에 따른 흐린물 예상지역. (지도 = 광주시 상수도사업본부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공감언론 뉴시스 hyein0342@newsis.com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관련키워드
# 이건어때요?
댓글12
0/300
키워드뉴스
재밌수다 전기차 구매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2시간전 fa 아직 시기상조 보람상조
2시간전 ㅔ... ..에.... 뭐... ......... 에.... 집밥 있으면... ㅔ... 사십쇼..
2시간전 돈 없어서 못사지ㅇㅇ
1시간전 전용면허증발급필요 전기차 급발진 사고가 많이 난다고 뉴스에서 맨날 떠드는데 전기차사고 운전자 연령대 정리해서 발표는 안하더라? 충분히 정리해서 기사 낼 수 있을텐데 왜 안할까? 싶음. 일단 전기차 급발진 주장 기사보면 대게 60대 이상 고령자임. 그리고 이들 대다수가 무사고 경력도 상당함. 근데 왜 잦은 사고가 발생할까? 이건 전기차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기 때문임. 전기차는 내연기관이랑 다름 전기 효율을 극대화하기 위해 회생제동 시스템이 들어있는데 엑셀을 밟으면 가속이 되고 엑셀을 놓으면 마치 브레이크 밟은 것 처럼 속도가 줄어듦(감속이 큼). (초창기 전기차가 택시로 보급 되었을때 전기차로 운전하는 택시기사님 차타면 꿀렁꿀렁 멀미하는 느낌을 다들 받아 봤을꺼임. 이게 회생제동 때문임) 즉, 전기차는 이 회생제동 때문에 운전이 숙달되면 원페달 드라이빙이(엑셀만으로 가속 감속하면서 운전) 가능함 . 근데 고령자들은 신체 감각이 젊은 사람들에 비해 떨어질 수 밖에 없고 회생제동 때문에 엑셀과 브레이크를 헷갈릴수가 있음. 그래서 엑셀을 놓는데 마치 브레이크 밟았었다고 착각할 수 있음.(밟았다 놨는데 속도가 크게 줄어드니까) 이 때문에 갑작스러운 돌발상황이 발생하면 속도를 줄인다면서 엑셀을 밟을 수도 있다는 거임. 따라서 충분한 이론과 실기 교육이 필요함 또 이를 인증하는 면허증 제도가 필요하다고 봄. 그외에 할말은 더 많지만 전기충전만 놓고 보더라도 각 지역별 전기 충전소 혜택카드도 다르고 복잡함. 전기차 제도 및 인프라 등이 많이 다듬어져야 한다고 봐서 구매는 시기상조라 봄.
2분전 최근 택시를 탔을 때 자꾸 엑셀을 밟고떼고 하시며 꿀렁대길래 뭔가 싶었는데 딱 이건가보네요. 마침 고령 기사님이시기도 했거든요.
재밌수다 참여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