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속보] <고침> 검찰, 이태원 참사 관련 서울경찰청 112상황실 압수수색뉴시스
- [속보] 주말 코로나 신규확진 1만3565명···전주 比 828명 늘어뉴시스
- [속보] <고침> '마약 의혹' 유아인, 피의자 조사 위해 경찰 출석뉴시스
- [속보] '뱅크데믹' 확산에도···코스피, 0.37% 상승 출발뉴시스
- [속보] 日 "北, 탄도미사일 가능성 물체 발사"···오늘 2차례 발표뉴시스
- [속보] "日방위성, 북한, 탄도미사일 가능성 있는 것 발사" NHK뉴시스
- [속보] <고침> 합참 "북한, 동해상으로 미상 탄도미사일 발사"뉴시스
- 충북 아동학대 검거율 39%···응급조치는 8.8%에 불과뉴시스
- [단독] "컵커피도 3000원 시대" 남양유업, 7개 품목 최대 12% 인상뉴시스
- 제주교육청, 제주특수교육발전 5개년 계획 수립뉴시스
시민모임 “문제 파악·해결 않고 공익신고자 색출 몰상식”
시교육청 "민원으로 자료 유출 경위를 파악하기 위한 것"

광주시교육청이 일부 사립유치원장 급여 등 부조리에 대한 문제를 제기한 교육단체에 자료 습득 경위를 따져 묻는 공문을 발송해 논란이 일고 있다.
2일 학벌없는 사회를 위한 시민모임에 따르면 광주시교육청 감사관실은 전날 '시민감사관 보고서가 자료 입수 경위를 소명하라'는 공문을 시민모임에 보냈다.
'소명서 제출 요청'이라는 제목의 공문은 '광주시교육청 청렴시민감사관 구성·운영에 관한 규칙'을 근거로 "시민감사관 활동 과정에서 취득한 정보나 문서 등을 임의로 공표하거나 타인에게 배포·유포할 수 없다"며 "귀하 또는 귀 소속단체 보도 자료 및 민원에 의하면 '광주시교육청 청렴시민감사관 보고서에 따르면'을 인용하고 있어 보고서 자료 입수 경위를 확인하고자 한다"고 소명서 제출을 요구했다.
이번 시교육청 공문은 시민모임이 지난달 30일 광주시내 일부 사립유치원들이 원장에게 국립대 총장 수준의 급여를 지급하고 친인척을 채용해 부적정한 급여를 지급하는 등 사립유치원의 부조리를 고발하는 보도자료를 배포에 따른 것이다.
해당 보도자료 배포 이후 지역 신문 등에서 보도되자 시교육청이 시민모임측에 '자료 입수 경위'를 묻는 것으로 풀이된다.
시민모임은 "공익신고자보호법은 '누구든지 공익신고자 등이라는 사정을 알면서 그의 인적사항이나 그가 공익신고자 등임을 미루어 알 수 있는 사실을 다른 사람에게 알려주거나 공개 또는 보도하여서는 안 된다'고 명시하고 있다"며 "공익 제보자 보호를 해야 할 시교육청 감사관실은 사립유치원 원장 급여 부조리와 관련, 문제를 해결하기는커녕 문제 제기자를 겁박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어 "공공기관이 시민단체에 공문을 보내 자료 습득 경위를 소명하라고 위협하는 것은 직접 민주주의인 시민 참정권에 대한 모독이다"며 "시교육청 감사부서가 공익 제보자 색출, 시민단체 존립 근거 위협, 시민 참정권 훼손 등 공정하고 민주적인 사회의 토대를 뿌리째 뒤흔들고 있다는 점에서 매우 심각한 사안이다"고 지적했다.
아울러 "제보된 내용에는 사립유치원 비리뿐 아니라 감사실 조사관들의 상식 밖 행태와 나태, 감사현장 부조리를 발견하고도 무덤덤한 행태도 포함돼 있다"며 "감사실이 사립유치원의 부조리를 바로 잡는 것 보다 부조리가 드러나는 것이 두려워 시민단체를 감사하고 있는 건 아닌지 의심되는 부분이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이정선 시교육감의 사과와 함께 공익신고자 보호법에 근거한 제보자 보호조치, 위반자를 징계 조치해야 한다"고 요구했다.
이에 대해 시교육청은 "청렴 시민감사관 구성·운영에 관한 규칙에는 활동 과정에서 취득한 정보(민원)·문서 등을 임의로 공표하거나 타인에게 배포할 수 없다고 규정돼 있다"며 "사립유치원장들도 시교육청을 상대로 문서가 나가게 된 경위에 대해 해명을 요구하고 있고 공식 정보공개 청구까지 했다. 이를 확인하기 위해 소명자료를 요청한 것이다"고 밝혔다.
이정민기자 ljm7da@mdilbo.com
-
광주 도심 노후 주택 외벽 마감재 떨어져···인명피해 없어 기사내용 요약출입 통제·건축물 안전 진단 방침[광주=뉴시스] 광주 북구 오치동 다세대주택 외벽 마감재가 떨어진 모습. (사진=광주 북구 제공) 2023.03.27. photo@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광주=뉴시스] 변재훈 기자 = 광주 도심 노후 다세대주택에서 외벽 마감재가 지상으로 떨어졌으나 피해는 없었다.27일 광주 북구 등에 따르면 지난 26일 오후 4시 34분께 광주 북구 오치동 한 다세대주택(지하 1층~지상 2층·연면적 324.48㎡) 외벽에 균열이 생겼다는 주민 신고가 접수됐다.신고를 받은 자치구·소방 당국 등은 건축물 주변 출입을 긴급 통제하고 현장을 살폈다.확인 결과 외벽 마감재에 균열이 생겨 이 중 일부가 낙하했으나, 이렇다 할 인명·재산 피해는 없었다.해당 다세대 주택은 1992년 사용 승인을 받은 노후 건축물로 확인됐다. 건축물 내에는 6가구가 거주할 수 있으나 현재는 모두 비어있는 것으로 전해졌다.북구는 출입 통제선을 설치하는 한편, 이날 안으로 해당 다세대주택에 대해 건축물 안전 진단을 벌인다.◎공감언론 뉴시스 wisdom21@newsis.com
- · 화정동서 신호대기 중 택시 추돌·도주한 운전자···경찰 추적 중
- · 식당서 손님에게 흉기 휘두른 40대 업주 체포
- · 광주 오피스텔서 방화 의심 불
- · 광주 시내버스서 승객 낙상 잇따라···이틀 새 5명 다쳐
- 1아반떼급 車 살때 160만원 덜 낸다···올해 달라진 車제도..
- 2외국인 한국 관광, 서울 지고 '여기' 뜬다..
- 3[위클리]전기·가스요금 동시 오를듯···정부 “건전성VS물가” ..
- 4메마른 담양호 상류 '물 부족 심각' [뉴시스Pic]..
- 5한국은 호갱?…애플페이 반겼더니 수수료는 최고치..
- 6'KKKKKKKKKK' KIA 앤더슨, 시범경..
- 7논에 가루쌀·밀·콩 심으면 직불금···내달 20일까지 신청기간 ..
- 8광주 아파트 경비 노동자 고충 1위는 고용불안·저임금..
- 92천억 규모 문화다양성 사업 82개 발굴..
- 10"홧김에, 술에 취해···" 광주·전남에서 방화 잇따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