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마약 5종 투약 혐의' 유아인, 내일 검찰로···지인·의사 등 무더기 입건(종합)뉴시스
- "여기서 한다고?" 이효리도 당황한 무대의 정체는?뉴시스
- 한려해상국립공원, 멸종위기 Ⅱ급 백양더부살이 군락지 확인뉴시스
- 유로존 1분기도 -0.1% 역성장, '침체' 들어···지난해 3.5%서뉴시스
- 부산 돌려차기 피의자, 한달전 주거침입으로 벌금형 선고뉴시스
- 카호우카댐 붕괴로 유실된매설지뢰, 강 하류 인구밀집 지역으로뉴시스
- 이재명, 싱하이밍 中대사 만나 "日 핵오염수 공동 대응 강구"뉴시스
- 이재명, 싱하이밍 中대사 만나 "日 핵오염수 공동 대응 강구"뉴시스
- [단독]與 "선관위 국조는 감사원 감사 이후···후쿠시마 청문회는 IAEA검증 이후"뉴시스
- [올댓차이나] 中 금융수장 "시스템 리스크 발생시키지 않겠다"뉴시스
기사내용 요약
"맞춤형 교육과정·다문화 강점 최대 활용"

[무안=뉴시스] 류형근 기자 = 전남지역 수십년 역사의 초·중·고가 교문을 닫는 등 학령인구 감소가 현실화 되고 있는 가운데 도교육청이 농산어촌 작은 학교 경쟁력 강화를 위해 다각적인 정책을 추진한다.
전남도교육청은 농산어촌 작은학교 교육력 강화를 위해 '맞춤형 기초기본학력 보장' '특색 교육과정' '다문화 강점 활용 교육프로그램' 등을 운영한다고 30일 밝혔다.
우선 기초기본학력 보장을 위해 기초학력 미도달 학생의 학습·비학습적 요인을 파악해 인공지능(AI) 온라인 콘텐츠 기반 통합프로그램 등을 맞춤형으로 지원한다.
농산어촌 작은학교 학생의 자기주도적 학습력 향상과 디지털 격차 해소를 위한 지원도 더욱 강화된다.
또 섬 학교 박람회 운영을 통해 우수모델을 확산하고 수요자 중심의 방과후학교 운영, 우수 강사 확보를 통해 더욱 내실화한다는 방침이다.
다문화학생 비율이 전체 학생의 5.8%로 전국에서 가장 높은 특수한 상황을 활용한 효과적인 다문화교육 프로그램도 추진한다.
다문화 가정 엄마들의 이중언어 사용 능력 향상 프로그램을 비롯해 나라 탐방 프로그램, 지역 단위 이중언어 강사 양성, 다문화가정 통합 지원 유관기관 네트워크 등도 강화한다.
올해부터 운영되는 권역별 진로진학상담센터를 통해 농산어촌 학생들의 진로진학도 적극 지원할 예정이다.
김대중 교육감은 "작은 학교 간 공동교육과정 개설과 지역사회와 연계한 특색교육과정을 운영해 작은 학교가 살아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전남지역은 초등학교 3곳에 이어 중학교 1개교, 고등학교 1개가 올해 3월 1일자로 휴교 결정됐다.
초등학교의 경우 휴교결정은 지난해 17개교에서 올해 20개교(분교 포함)로 늘었으며 중학교와 고등학교 본교 휴교결정은 처음 인 것으로 알려졌다.
또 29개 초등학교, 1개 중학교가 2023학년도 신입생 '0명'이며 학생수 60명이하 초·중고교도 386개교 이다.
◎공감언론 뉴시스 hgryu77@newsis.com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청년들 떠나는 광주·전남, 인구 유출 더 심해져 호남지방통계청 제공 청년들 이탈로 광주·전남 인구 유출이 더 심해진 것으로 나타났다. 광주는 전반적으로 인구 유출이 크게 늘었고, 전남은 30대 이상 인구의 유입은 늘었으나 20대의 유출은 여전했다.22일 호남지방통계청이 발표한 '2023년 1/4분기 호남권 지역경제 동향'에 따르면 1/4분기 광주지역 인구 순유출은 3천73명이다. 광주에서 3천명 이상 순유출을 기록한 것은 2021년 1/4분기 이후 8분기만이다.최근들어 광주 순유출은 1/4분기가 두드러지는 현상을 보이고 있다. 2020년까지는 대부분 4/4분기가 가장 높은 순유출 비중을 기록했지만, 2021년부터는 1/4분기가 연중 가장 높은 인구 유출량을 찍었다.최근 2년새 분기별 광주 순유출 인구는 2021년 1/4분기 -1천684명, 2/4분기 -54명, 3/4분기 -851명, 4/4분기-2천667명, 2022년 1/4분기 -2천541명, 2/4분기 -988명, 3/4분기 -1천446명, 4/4분기 -3천73명, 2023년 1/4분기 3천73명 순이다.광주의 지난 분기 연령대별 순이동자 수는 1천469명 유출된 20대가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했고, 30대 -516명, 10대 -430명, 50대 -354명, 60대 -225명, 40대 -134명, 70대 이상 -54명 순으로 이어졌다.또 5개구 중에서는 동구만 419명 늘었을 뿐 광산구 -1천548명, 북구 -854명, 남구 -672명, 서구 -418명을 기록했다.호남지방통계청 제공전남은 1/4분기만에 다시 인구 유출이 늘었다.인구 수가 들쭉날쭉한 모양새를 보이고 있는 전남은 지난해 4/4분기 564명이 유입됐다가 올해 1/4분기에는 -803명이 감소했다.-197명 감소했던 전년 동분기와 비교해 600여명 줄어들었다.20대 순유출 비중은 광주보다 전남이 압도적으로 많았다. 하지만 30대 이상 연령은 늘어나 대조를 이뤘다.전남의 지난 분기 연령대별 순이동자 수는 2천301명 유출된 20대 비중이 가장 높았고 10대는 -610명, 70대 이상은 -64명을 기록했다. 반면에 50대는 787명, 60대는 649명, 40대는 490명, 30대는 397명 늘어났다.시·군별로는 나주시(498명), 영암군(211명), 영광군(185명), 신안군(144명), 무안군(91명), 곡성군(52명), 순천시(21명) 등 늘었고, 목포시(-768명), 여수시(-557명), 해남군(-133명), 광양시(-112명), 완도군(-99명), 화순군(-76명), 장성군(-74명), 장흥군(-63명), 강진군(-47명), 구례군(-46명), 진도군(-40명), 보성군(-35명), 고흥군(-20명), 담양군(-13명) 등이 감소했다.이처럼 광주·전남지역 10~20대 중심으로 인구가 줄어든 것은 학업이나 취업준비생들이 진로를 위해 타지역으로 이동한 영향으로 보여진다. 여기에 광주의 경우는 부동산 분양시장이 위축되면서 타 지역에서 유입 인구가 줄어든 것도 한몫했다.통계청 관계자는 "코로나 이후 비대면 수업이 보편화 되면서 좀 더 상황을 지켜보고 이동하는 인구가 늘어난 영향으로 추측된다. 그래서 순유출은 4/4분기는 줄어든 대신 1/4분기가 크게 늘었다"면서 "또 최근 광주의 경우 부동산 분양 시장도 얼어붙어 유입되는 인구도 크게 감소한 것으로 보여진다"고 분석했다.한경국기자 hkk42@mdilbo.com
- 1"평당 3천만원" 상무 센트럴자이, 광주서 통했다..
- 2섬진강휴게소 정차중인 고속버스 불···인명피해 없어..
- 3도자기 받침대·약통·안경집에 마약···밀수범 무더기 기소..
- 4은행 예금금리 꿈틀하자···반년 만에 최대 증가..
- 5주월동 아파트 앞에 쓰러진 행인 휴대폰 '쓱'...수천만원 훔친..
- 6상반기 청약시장서 10대 건설사 아파트 '톱5' 싹쓸이..
- 7"현장 또 멈추나"…시멘트값 줄인상 예고 '노심초사'..
- 8"이사비 줄게요" 세입자 유인...중개사·임대인 한패였다..
- 9광주 주상복합 상가비율 10%로 완화되나?..
- 10"여자 안 산다. 그만 와라" 경고문···알고 보니 옆집서 성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