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속보] 검찰, 노웅래 민주당 의원 '뇌물수수 혐의' 불구속 기소뉴시스
- [속보] 지영미 "코로나 위기경보 2단계 하향 시기, 7월쯤 예상"뉴시스
- [속보] 코로나 위험도 10주째 '낮음'···확진자, 전주比 7.5%↑뉴시스
- [속보] DB하이텍, 팹리스 물적분할 안건 주총 통과뉴시스
- [속보] 정황근 "170억원 농수산물 할인 공급···식품업계 할당관세 적용"뉴시스
- [속보] 추경호 "22개국 대상 여행허가 면제···방한 1000만명 목표"뉴시스
- [속보] 추경호 "문화비·전통시장 소득공제율 10%p 상향"뉴시스
- [속보] 추경호 "숙박비 3만원·휴가비 10만원 지원···총 600억 투입"뉴시스
- [속보] 尹 "방역 완화·한일관계 개선...음식·숙박·관광 팬데믹 이전 여건"뉴시스
- [속보] 尹 "외국인 관광객 비자제도 개선·항공편 확대" 주문뉴시스
기사내용 요약
2023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성적표 배부한 고3 교실
"수시최저등급 통과"…"가채점보다 낮은 점수" 만감 교차

[광주=뉴시스]김혜인 기자 = "간신히 수시 최저점수 맞췄다. 못 맞출까 봐 심장 떨렸잖아."
9일 오전 광주 남구 봉선동 동아여자고등학교 3학년 교실엔 2023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성적표 배부를 앞두고 적막이 흘렀다.
성적표 배부 순번을 기다리며 학생들은 긴장한 채 손을 연신 만지작거렸다.
담임교사가 "○○○, 받아 가라"며 성적표를 나눠주는 순간 학생들은 저마다 만감이 교차하는 듯 보였다.
한 학생은 성적표를 받아 보고선 "앗싸! 통과했다"라고 소리쳤다. 다른 학생들도 함께 손뼉을 치며 기쁨을 나눴다.
3점 차이로 수시 최저 등급을 아슬아슬하게 맞춘 한 학생도 안도의 한숨을 내쉬었다.

반면 예상 점수보다 낮은 점수를 받은 한 학생은 "재수해야 하나"라며 어깨를 축 늘어뜨렸다.
점수를 믿지 못하겠다는 듯 "내 성적표 맞아?"라면서 자신의 성적표와 가채점 결과를 적어 놓은 자신의 휴대전화를 번갈아 가면서 비교했다. 앞자리에 앉은 학생은 친구의 어깨를 토닥이며 위로했다.
성적이 부끄러운 듯 바로 책상에 뒤집어 놓는 학생, 휴대전화로 성적표를 찍어 학부모에게 보내는 학생, 긴장된 듯 차마 성적표를 열어보지 못하는 학생들의 모습도 보였다.
성적표를 확인한 학생들은 삼삼오오 모여 점수에 맞춰 어떤 대학에 갈 수 있을지 열띤 토론을 하기도 했다.
학생들은 지난 3년간 결실을 본 것을 두고 홀가분하면서도 섭섭한 마음을 드러냈다.
오수아(19)양은 "영어에서 가채점했을 때 실수로 잘 못 적었는데 등급이 괜찮게 나와서 다행이다"며 "수능 시험 끝나고 매일 떨렸는데 결과를 알고 나니 홀가분하다"고 밝혔다.
김민하(19)양은 "수도권 공대를 목표로 했는데 점수가 생각보다 잘 나오지 않아 재수해야 하나 고민하고 있다. 시원섭섭하다"고 토로했다.
박정열 교사는 "학생들이 3년간 코로나19로 집과 학교를 넘나들며 학습 환경에 적응하느라 고생이 많았다"며 "결과에 상관없이 힘든 시기를 견뎌준 학생들에게 고마운 마음"이라고 밝혔다.

◎공감언론 뉴시스 hyein0342@newsis.com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수능 1등급 10명 중 6명이 N수생···수학·탐구 격차 커 기사내용 요약진학사 정시 서비스 이용한 16만명 성적 분석1등급 중 N수생 비율…수학 63%, 탐구 68%작년 수능, 수학·탐구 고난도…"N수생 유리""고3, 성적 진단할 때 N수생 유입 고려해야"[청주=뉴시스] 조성현 기자 = 2023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 성적표 배부일인 지난해 12월9일 오전 충북 청주 세광고등학교에서 3학년 학생들이 성적을 확인하고 있다. 2023.02.13. jsh0128@newsis.com[서울=뉴시스]김경록 기자 = 지난해 실시된 2023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에서 1등급을 차지한 10명 중 6명은 재수생 등 졸업생(N수생)이란 분석 결과가 나왔다.13일 진학사는 자사 정시지원 서비스에 수능 성적을 입력한 수험생 16만5868명의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1등급을 받은 수험생 중 N수생 비율이 국어·수학·영어·탐구 등 모든 영역에서 고3을 앞섰다고 밝혔다. 1등급을 받으려면 국어·수학·탐구는 상위 4%, 절대평가인 영어는 원점수 90점 이상의 성적을 받아야 한다.가장 격차가 컸던 영역은 수학과 탐구(2과목 평균)였다. 수학의 경우 1등급 중 N수생이 62.9%로, 고3은 37.1%에 그쳤다. 탐구 영역은 1등급 중 N수생이 68.0%, 고3이 32.0%로 그 격차가 더욱 컸다.우연철 진학사 입시전략연구소장은 "수능에서 수학 영역의 표준점수 만점에 145점으로 상당히 높았고, 탐구 또한 표준점수 만점이 70점을 넘는 과목이 많아지는 등 예년에 비해 어렵게 출제됐다"며 "시험이 어려울 경우 수능 준비에 더 많은 시간을 투입한 N수생들에게 당연히 유리할 수밖에 없다"고 평가했다.국어·영어는 비교적 차이가 덜했다. 1등급 중 N수생 비율이 국어는 57.3%, 영어는 54.9%였다.일부 영역은 2~3등급 구간까지도 N수생 비율이 더 높았다. 모든 영역에서 N수생이 2등급의 50% 이상을 차지했으며, 국어·수학은 3등급도 N수생 비율이 고3보다 높았다.반대로 3~4등급부턴 고3 비율이 높아져, 등급이 낮아질수록 고3이 차지하는 비율이 높아지는 경향을 나타냈다.우 소장은 "정시 서비스 이용자 특성상 N수생 비율이 상당히 높아 전체 수험생을 대상으로 할 때와는 차이가 날 수 있다"며 "그럼에도 대입에서의 실질적인 영향력을 파악하는 덴 상당히 의미 있는 자료라고 볼 수 있다"고 봤다.우 소장은 "이맘때쯤 예비 고3 학생들이 자신의 위치를 객관적으로 살피고 대입 전략을 세워야 한다"며 "수능에 대한 지나친 기대보다는 N수생 유입을 고려해 보수적으로 접근하고 최대한의 준비를 하는 것이 수시와 정시 모두 성공할 수 있는 길"이라고 조언했다.◎공감언론 뉴시스 knockrok@newsis.com
- 1'왜 담배 못 피우게 해' 광주경찰, 술집서 ..
- 2광주 거래량 '쑥'···봄 성수기 맞아 기지개 켜나..
- 3중소기업 근로자 '내 집 마련' 유리해진다···특공 신청 자격은..
- 4분양권 전매제한 완화, 다음달부터 시행···소급적용 가능..
- 51분기 분양권 거래 '마피' 쏟아져···수천만원 떨어진 거래도..
- 6'난방비 폭탄'에 가스 껐다···2월 요금 가구당 3만7100원..
- 7렌터카 몰다 추돌사고 내고 달아난 20대 40시간 만에 자수..
- 8경유 대신 휘발유 계속 상승···운전자 부담 커진다..
- 9광주경찰, '보험사기' 치과의사·환자 수사 마무리 단계..
- 10홈플러스, 이너웨어 페스티벌···일년 딱 2번 "득템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