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외교관들도 총파업 동참 저항 확산···이스라엘 위기 가중(종합)뉴시스
- 현대모비스, 캐롯 꺾고 7연승 질주···공동 2위에 1경기차뉴시스
- "게임 못하게 해" 고모에 흉기 휘두른 중학생···살인 혐의 체포(종합)뉴시스
- 오리온 중국법인, 관세 탈루로 2300만원 벌금···"수입재료 상품코드 잘못 신고"뉴시스
- 고모에 흉기 휘두른 중학생 경찰 조사···피해자 중태뉴시스
- 이스라엘 해외 공관들도 사법개혁 반대 파업 동참(1보)뉴시스
- 네타냐후, "좌우 모두 폭력 자제"···침묵깨고 예루살렘 '대충돌'우려 뉴시스
- 마윈, 항저우 학교에 모습드러내···인공지능 등 주제 논의뉴시스
- [속보]尹 "재외공관장, 韓 대표 영업사원···수출 전진 기지 역할 해달라" 뉴시스
- 말다툼 중 동거인 흉기로 살해한 50대 구속···"도주 염려"뉴시스
기사내용 요약
국·수 1·2등급컷 표준점수 하락…상위권 쉬워
영어 2·3등급 비율 감소, 수시전형 합불 변수
최상위권 국어 쉬웠지만 수학 만점자 '급감'
전영역 만점자 1→3명…모두 자연계 지망생

[세종=뉴시스]김정현 김경록 기자 = 지난달 17일 치러진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 채점 결과 '불수능'으로 불린 지난해보다 쉽게 출제됐던 것으로 나타났다.
수학은 국어와의 최고 표준점수 격차가 11점 넘게 벌어진 데다 만점자 수가 급감했다. 출제본부는 국어 영역의 고난도 문항이 제 기능을 못한 결과라고 시인하며 향후 격차가 크게 나타나지 않게 하겠다고 밝혔다.
만점자는 3명으로 모두 과학탐구 영역을 응시한 자연계열 지망자였다. 재학생이 2명, 재수생이 1명이다.
수능 시행기관인 한국교육과정평가원(평가원)은 8일 오전 2023학년도 수능 채점 결과를 발표했다. 수험생들은 이튿날인 오는 9일부터 성적 통지표를 받게 된다.
올 수능에 응시해 성적표를 받는 수험생은 44만7669명이다. 재학생은 30만8284명, 졸업생과 검정고시 합격자 등은 13만9385명(31.1%)로 현 점수체제 도입(2005학년도) 이후 재수생 비중이 가장 컸다.
◆국·수 1등급·만점 표준점수 하락…수학 만점자 급감
국어는 지난해와 비교해 쉬웠던 평이한 시험이었다.
국어 영역은 1등급 구분 표준점수가 지난해보다 5점 줄어 126점, 최고 표준점수는 15점 떨어진 134점이다. 표준점수가 낮아지면 체감 난도가 쉬웠다는 뜻이다.
올해 국어 최고 표준점수 인원은 371명으로 집계됐다. 최고점과 1등급 맨 밑의 점수차는 8점으로, 지난해 점수차가 18점에 달했던 것과 달리 폭이 크게 줄었다.

지난해 수능 국어는 2005학년도 이후 두 번째로 높았던 최고 표준점수 149점을 기록, 굉장히 어려웠다. 국어를 모두 맞힌 수험생은 28명에서 371명으로 늘었다.
1등급을 획득한 응시자는 4.45%인 1만9858명으로 지난해 1만7914명(4.01%)보다 늘어났다.
문영주 평가원 수능본부장은 "소위 고난도 문항이 제대로 기능하지 못했다"며 "그래서 예년에 비해 평이한 표준점수 최고점이 나오지 않았나 싶다"고 설명했다.
수학은 국어보다는 표준점수 감소 폭이 적어 전반적으로는 지난해만큼 어렵거나 약간 쉬웠다. 하지만 만점자가 35% 수준으로 급감해 변별력은 갖췄다는 평가다.
수학 영역은 1등급 구분 표준점수 133점, 최고 표준점수 145점으로 지난해보다 각각 4점, 2점 하락했다. 국어보다는 감소 폭이 덜해 수험생 실력에 따라 느끼는 부담감이 지난해와 비슷하거나 다소 쉬웠을 수 있다.
특히 최고 표준점수 득점자(만점자)는 지난해 2702명에서 올해 934명으로 1768명(35%) 감소했다.
1등급 표준점수 구간은 145~133점으로 12점차가 발생, 지난해 147~137점의 10점차보다 2점 늘었다.
1등급을 획득한 응시자는 5.26%인 2만2571명이었다. 지난해 1만8031명(4.20%)보다 인원·비율 모두 올랐다.

◆국-수 최고 표준점수 11점차…수학 당락 좌우한다
최고 표준점수차는 지난해 2점(국어 149점, 수학 147점)에서 올해 11점(수학 145점, 국어 134점)이 됐다.
최상위권(영역별 만점자)은 국어를 다 맞춰도 수학을 몇 문제 틀린 학생보다 표준점수가 낮아지게 된다.
김병진 이투스 교육평가연구소장은 "(지난해 1등급 내에서) 국어는 수학보다 동점자가 아닌 경향이 나타나 영향력이 더 컸다"면서 "(올해는) 1~4등급 구간에서 국어보다 수학의 영향력이 많이 커졌다"고 분석했다.
김원중 대성학원 입시전략실장은 "올 정시모집에서는 수학의 표준점수 차이가 크게 벌어지면서 인문계와 자연계 모두 수학이 당락을 좌우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에 대해 이규민 평가원장은 이날 브리핑에서 "국어 영역을 가중치를 주는 학교도 있고, 수학 영역에 가중치를 주는 학교도 있다"며 "중위권 영역에선 오히려 국어 영역의 표준점수가 더 높았다"고 해석을 경계했다.
다만 "과목 간 표준점수 최고점 차이가 가능하면 적게 나타나도록 저희가 노력은 하고 있지만, 차이가 상대적으로 큰 것으로 보인다"며 "표준점수 최고점 차이가 크게 나타나지 않도록 노력하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오는 9일 성적표가 나오고 학원가를 통해 영역 내 선택과목에 따른 표준점수 격차의 윤곽이 나오게 되면 이른바 '침공'이라 불리는 이과생의 문과 교차지원이 이번 대입 정시에서 더 과열될 것으로 여겨진다.

통합형 수능은 수학 선택과목 '미적분', '기하'가 응시자가 '확률과 통계'와 같은 수의 문제를 맞혀도 더 높은 표준점수를 획득한다는 평가가 지배적이다. 출제본부는 올해도 선택과목별 표준점수를 비공개하기로 했다.
문 본부장은 "수능 점수 체제에서 선택과목별 표준점수 등을 공개해야 하는 당위성, 부합성 이런 것들이 없기 때문에 현재로는 국어와 수학의 선택과목별 점수 공개하지 않을 예정"이라고 선을 그었다.
이어 "수능 체제는 어쨌든 4년 전에 예고가 돼있고 지금 고등학교 1학년 학생들도 이 체제에 맞춰서 공부를 하고 있다"며 "갑자기 급작스럽게 어떤 체제를 바꾸거나 이럴 수는 없는 문제"라고 설명했다.
◆영어 2~3등급 어려웠다…수시 최저학력기준 비상
절대평가 영어는 최상위권에게는 쉬웠지만, 수시 합격자 발표를 앞두고 있는 수험생들 입장에서는 최저학력기준을 충족하기가 더 어려워졌다는 평가가 나온다.
영어는 응시자 44만4887명 중 3만4830명이 1등급을 획득했다. 1등급 비율은 7.83%로 지난해 6.25%보다 1.6%포인트 상승해 상대적으로 쉬웠다. 영어는 원점수 100점 만점에 90점을 획득하면 1등급을 얻는다.
하지만 2~3등급 구간에 해당하는 수험생 비율은 지난해보다 감소했다. 2등급은 18.67%로 지난해 21.64%보다 2.97% 떨어졌고, 3등급은 21.75%로 지난해 25.16%와 비교해 3.41% 하락했다. 수시 최저학력기준을 노리는 중상위권 수험생들에게 어려웠던 것으로 보인다.
임 대표는 "영어 2~3등급 이내 수험생 수가 줄면서 수능 최저학력을 충족하지 못한 학생들이 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며 "지난해보다 어렵게 출제됐다"고 평했다.

김 소장은 올 수능 이의신청 게시판에 가장 많은 글이 접수됐던 영어 듣기평가를 꼽아 "듣기 속도가 2, 3등급 이하 학생들에 영향을 준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어려워진 사회탐구, 문과 만점자 안 나온 이유일까
탐구 영역은 현재의 수능 체제인 2005학년도 이후 처음으로 과학탐구 응시자가 사회탐구보다 많았던 시험이었다. 과학탐구는 21만834명(50.04%), 사회탐구는 21만528명(49.96%)로 집계됐다.
사회탐구는 이론상 가장 높은 표준점수 총점이 146점으로(74+72점), 지난해보다 10점 상승했다. 9개 선택과목의 평균 최고 표준점수는 66점에서 70점으로 4점, 올랐다. 가장 많은 학생들이 시험을 친 생활과윤리(32.9%), 사회·문화(29.3%)는 각각 6점, 4점 높아졌다.
'정치와법'은 최고 표준점수가 74점으로 가장 높았고 상승폭이 가장 커 지난해와 비교해 매우 어려워졌다.
과학탐구는 전반적으로 지난해와 비슷했거나 평이했다. 다만 지난해 최고 표준점수가 77점으로 유독 어려웠던 지구과학Ⅱ가 67점을 보여 10점이나 하락했다.
과학탐구 2과목의 최고 표준점수 총점은 148점(75+73점)으로 1년 전보다 3점 줄었다. 8개 과목의 평균 점수는 71점에서 71.5점으로 늘었다. 가장 높은 과목은 화학Ⅰ(75점)이었고 지난해보다 7점 높아진 것이다.
응시율이 가장 높은 지구과학Ⅰ(33.7%)은 73점으로 1점 줄었고, 그 다음인 생명과학Ⅰ(32.5%)은 72점으로 지난해와 같았다.
남윤곤 메가스터디교육 입시전략연구소장은 "지난해는 한국지리, 세계지리, 동아시아사, 세계사, 정치와 법, 경제 6과목이 만점을 받아야 1등급이었는데 올해는 동아시아사 단 1과목으로 크게 줄었다"고 설명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ddobagi@newsis.com, knockrok@newsis.com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수능 1등급 10명 중 6명이 N수생···수학·탐구 격차 커 기사내용 요약진학사 정시 서비스 이용한 16만명 성적 분석1등급 중 N수생 비율…수학 63%, 탐구 68%작년 수능, 수학·탐구 고난도…"N수생 유리""고3, 성적 진단할 때 N수생 유입 고려해야"[청주=뉴시스] 조성현 기자 = 2023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 성적표 배부일인 지난해 12월9일 오전 충북 청주 세광고등학교에서 3학년 학생들이 성적을 확인하고 있다. 2023.02.13. jsh0128@newsis.com[서울=뉴시스]김경록 기자 = 지난해 실시된 2023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에서 1등급을 차지한 10명 중 6명은 재수생 등 졸업생(N수생)이란 분석 결과가 나왔다.13일 진학사는 자사 정시지원 서비스에 수능 성적을 입력한 수험생 16만5868명의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1등급을 받은 수험생 중 N수생 비율이 국어·수학·영어·탐구 등 모든 영역에서 고3을 앞섰다고 밝혔다. 1등급을 받으려면 국어·수학·탐구는 상위 4%, 절대평가인 영어는 원점수 90점 이상의 성적을 받아야 한다.가장 격차가 컸던 영역은 수학과 탐구(2과목 평균)였다. 수학의 경우 1등급 중 N수생이 62.9%로, 고3은 37.1%에 그쳤다. 탐구 영역은 1등급 중 N수생이 68.0%, 고3이 32.0%로 그 격차가 더욱 컸다.우연철 진학사 입시전략연구소장은 "수능에서 수학 영역의 표준점수 만점에 145점으로 상당히 높았고, 탐구 또한 표준점수 만점이 70점을 넘는 과목이 많아지는 등 예년에 비해 어렵게 출제됐다"며 "시험이 어려울 경우 수능 준비에 더 많은 시간을 투입한 N수생들에게 당연히 유리할 수밖에 없다"고 평가했다.국어·영어는 비교적 차이가 덜했다. 1등급 중 N수생 비율이 국어는 57.3%, 영어는 54.9%였다.일부 영역은 2~3등급 구간까지도 N수생 비율이 더 높았다. 모든 영역에서 N수생이 2등급의 50% 이상을 차지했으며, 국어·수학은 3등급도 N수생 비율이 고3보다 높았다.반대로 3~4등급부턴 고3 비율이 높아져, 등급이 낮아질수록 고3이 차지하는 비율이 높아지는 경향을 나타냈다.우 소장은 "정시 서비스 이용자 특성상 N수생 비율이 상당히 높아 전체 수험생을 대상으로 할 때와는 차이가 날 수 있다"며 "그럼에도 대입에서의 실질적인 영향력을 파악하는 덴 상당히 의미 있는 자료라고 볼 수 있다"고 봤다.우 소장은 "이맘때쯤 예비 고3 학생들이 자신의 위치를 객관적으로 살피고 대입 전략을 세워야 한다"며 "수능에 대한 지나친 기대보다는 N수생 유입을 고려해 보수적으로 접근하고 최대한의 준비를 하는 것이 수시와 정시 모두 성공할 수 있는 길"이라고 조언했다.◎공감언론 뉴시스 knockrok@newsis.com
- 1마약 취해 도로 걷다 투약 들통난 30대 연인, 구속영장..
- 2"리버뷰는 2~3억 더 비싸"...광주 청약수요 몰릴 2개단지는..
- 3[위클리]전기·가스요금 동시 오를듯···정부 “건전성VS물가” ..
- 4제철 쭈꾸미로 몸보신하자! 광주 쭈꾸미 맛집..
- 5“569.8조 빚 어떻게 갚나”…주담대 연체 증가율 54% 껑충..
- 6화정동서 신호대기 중 택시 추돌·도주한 운전자···경찰 추적 중..
- 7광주시, 복합쇼핑몰 주변 혼잡도로 개선안 국토부에 건의..
- 8박군, 특전사 리즈시절 몸매 소환···한영 "섹시해" 감탄..
- 9광주시, 전국 첫 근로자 '반값 아침한끼' 시작..
- 10말바우사거리서 시내버스에 받힌 승합차 상가 덮쳐···19명 경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