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속보] LGU+ 작년 영업익 1조813억원···전년比 10.4% ↑뉴시스
- [속보] 위중증 339명, 나흘째 '300명대'···사망자 30명뉴시스
- [속보] 신규확진 1만4961명, 금요일 기준 31주 만에 최소뉴시스
- [속보] 중대본 "오늘 확진자 약 1만5000명···중국발 5명 확진"뉴시스
- [속보] 전장연 "13일까지 지하철 탑승 시위 안해···이후 결정"뉴시스
- 문희준, 딸 희율과 신체놀이하다 당황···"혼자 가면 어떡해"뉴시스
- <고침> 대통령실, 안철수에 불신 기류···"安, 당 문제 함께 고민 안해"뉴시스
- JTBC '한블리'···행복한 가정을 앗아간 뒤차 돌진 사고뉴시스
- 효자도서관 복합문화공간으로 '탈바꿈'···내년부터 공사 돌입뉴시스
- 與, 野 '천공 청문회' 검토에 "망상적 집착···거짓 선동 선봉"뉴시스
기사내용 요약
카타르월드컵 16강 이룬 대표팀, 아시안컵 조준
2024년 1월 개최 유력…1960년 이후 우승 없어

[서울=뉴시스] 박대로 기자 = 한국 축구가 2022 카타르월드컵에서 세계 16강임을 재확인한 가운데 다음에 이룰 목표는 64년 만의 아시안컵 우승이 될 전망이다.
한국은 이번 월드컵에서 2010 남아공월드컵에 이어 역대 2번째 원정 대회 16강 진출을 달성했다. 한국에서 열린 2002 한일월드컵 4강까지 합하면 역대 3번째 16강 진출이다.
지난 7일 귀국한 대표팀 선수들은 신임 사령탑 선정 이후 A매치 기간인 내년 3월말께 재소집될 예정이다. 이를 계기로 대표팀은 아시안컵 준비 체제로 전환할 전망이다.
아시안컵은 내년에 중국에서 열릴 예정이었지만 중국이 개최권을 반납했다. 월드컵 개최국인 카타르가 아시안컵까지 개최하게 됐다. 대회 개최 시점은 이번 월드컵처럼 겨울이 될 전망이다. 2024년 1월 개최가 유력한 상황이다.
아시안컵 우승은 한국 축구의 숙원이다. 한국은 아시아 최강을 자부하면서도 아시안컵에서는 1956년과 1960년 2연속 우승 이후 우승컵을 들어 올리지 못했다.
한국은 1972년, 1980년, 1988년, 2015년에 준우승에 그쳤다. 직전 대회인 2019년 대회에서도 파울루 벤투 감독이 이끈 대표팀은 8강에서 카타르에 졌다.
한국이 카타르월드컵의 성과를 바탕으로 다음 아시안컵에서 64년 만의 우승을 차지할지 주목된다.
◎공감언론 뉴시스 daero@newsis.com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프랑스 수비수 바란, 국가대표 은퇴···"다음 세대로" 기사내용 요약2018 러시아월드컵 우승…A매치 93경기에서 5골[루사일(카타르)=AP/뉴시스]프랑스 축구 국가대표 라파엘 바란(왼쪽) [서울=뉴시스] 박지혁 기자 = 프랑스 축구 국가대표 수비수 라파엘 바란(30·맨체스터 유나이티드)이 대표팀 은퇴를 선언했다.바란은 3일(한국시간)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를 통해 "10년 동안 프랑스를 대표하는 것은 내게 가장 큰 영광이었다. 파란색 유니폼을 입을 때마다 엄청난 자부심을 느꼈다. 몇 달 동안 고민한 끝에 대표팀에서 은퇴하기에 적절한 시기라고 판단했다"며 대표팀 은퇴 소식을 알렸다.2013년부터 지난해 2022 카타르월드컵까지 10년 동안 프랑스 국가대표 수비수로 활약했다. A매치 93경기에 출전해 5골을 넣었다.총 세 차례 월드컵에 출전해 2018 러시아월드컵 우승, 카타르월드컵 준우승에 기여했다.바란은 "2018년 7월15일(러시아월드컵 결승전) 느꼈던 감정을 여전히 느끼고 있다. 나의 인생에서 가장 놀랍고, 기억에 남는 순간"이라며 러시아월드컵 우승을 회상했다.1993년생으로 젊은 편이지만 세대교체의 필요성을 언급하며 떠났다.바란은 "함께 했던 순간들을 그리워하겠지만 이제 새로운 세대가 이어받을 때가 왔다"며 "재능있는 젊은 선수들이 많다"고 했다.프랑스는 카타르월드컵 이후 은퇴를 선언한 골키퍼 위고 요리스(토트넘)를 비롯해 카림 벤제마(레알 마드리드), 바란이 A매치 커리어에 마침표를 찍었다.◎공감언론 뉴시스 fgl75@newsis.com
- · 윔블던 U-14 챔피언 조세혁, 국가대표 상비군 발탁
- · 황희찬·이강인, 또 대어 낚을까···리버풀·레알 만난다
- · 프로농구는 '필리핀 바람'···최고 몸값 주인공은
- · 탁구 신유빈, 1년 반 만에 국내 복귀···"좋은 경기 보답"
- 1"3분만에 치킨 값 번다"···한 푼이라도 아낄 이색 짠테크..
- 2아파트값 5주째 낙폭 축소···"이제 집 사도 될까요" 매수문의..
- 3K8, '그랜저' 신기록에도 꿋꿋한 판매량···비결은?..
- 4광주은행"지역 청년에게 연 20만원 문화복지비 드려요"..
- 5타 지자체 BRT '훨훨'···광주는?..
- 6제한급수 시 광주천·용지 물로 불 끈다..
- 7지방 청약시장 매서운 한파...할인분양·계약 축하금 등 건설사들..
- 8특례보금자리론 사흘 만에 7조 신청...조기 마감 가능성은..
- 9광산구 시설관리공단 본부장에 구청장 측근 채용 논란..
- 10광주시교육청, '사립유치원 부조리' 공익제보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