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시스

지난해 소득 22% 빚 갚는데 썼다···집값 상승에 순자산 10%↑

입력 2022.12.01. 12:00 댓글 0개

기사내용 요약

처분가능소득 대비 원리금 상환액 22.2%

재무 건전성 개선…원리금 줄고 소득 늘어

집값 상승에 순자산 10%↑…역대 2위

가구당 자산 5억4772만원…9%↑

가구당 부채 9170만원…4.2%↑

[서울=뉴시스] 김금보 기자 = 내년 수도권 아파트 매매·전세값이 3~4% 하락하고 2024년에는 바닥을 찍을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사진은 30일 오후 서울 중구 남산에서 바라본 서울시내. 한국건설정책연구원 권주안 연구위원은 지난 29일 내년도 건설·주택 경기전망 세미나에서 "내년 주택시장은 주택수요 감소가 지속되는 가운데 신규 공급 여건 악화로 경착륙 위험이 고조되고, 주택 가격도 하방 압력이 커질 것"이라며 이같이 전망했다. 2022.11.30. kgb@newsis.com

[서울=뉴시스] 류난영 기자 = 지난해 빚을 낸 가계가 갚아야 할 대출금과 이자는 줄어든 반면, 소득은 늘어나면서 재무 건전성이 다소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가계가 쓸 수 있는 돈의 5분의 1 가량은 빚 갚는 데에 사용됐다. 부동산 가격 상승 등으로 순자산은 전년대비 10% 늘면서 역대 두 번째로 큰 폭 증가했다.

1일 통계청과 금융감독원, 한국은행이 발표한 '2022년 가계금융·복지조사' 결과를 보면 지난해 말 기준 부채 보유 가구의 원리금 상환액은 1159만원으로 1년 전(1265만원)보다 8.4% 감소했다. 반면 처분가능소득은 5229만원으로 같은 기간 4.5% 늘었다.

처분가능소득은 가계가 세금이나 공적연금, 사회보험료 등을 제외하고 실제 쓸 수 있는 소득을 의미한다. 지난해 처분가능소득 대비 원리금 상환액 비율을 계산하면 22.2%로 1년 전(25.3%)보다 3.1%포인트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가계가 쓸 수 있는 돈의 5분의 1 가량을 빚 갚는 데에 썼다는 얘기다.

대출 원금과 이자 등 원리금 상환액은 줄어든 반면, 소득은 늘어나면서 가계의 빚 부담을 줄인 것으로 풀이된다. 지난해 근로소득이 7% 늘어나는 등 큰 폭 증가한 점도 소득 증가에 한 몫 한 것으로 분석된다.

부동산 등을 포함한 전체 자산 대비 부채 비율도 낮아졌다. 지난해 가구당 자산은 5억4772만원으로 전년 대비 9.0% 늘어났다. 이는 전년도 증가율(12.8%)을 하회한 것이지만 역대 두 번째로 높은 증가율이다. 반면 가구당 부채는 9170만원으로 전년 대비 4.2% 증가하는데 그쳤다. 특히 29세 이하 가구, 50대 가구에서 전년동기대비 각각 41.2%, 6.8% 증가하는 등 크게 늘었다.

통계청 관계자는 "부동산과 전세 가격 상승 등으로 실물자산 증가율이 9.5%로 역대 2번째로 증가했고, 금융자산도 7.1% 증가하는 등 역대 3번째로 높은 수준을 유지했다"고 말했다.

자산증가율(9.0%)이 부채 증가율(4.2%)을 크게 상화 하면서 지난해 전체 가구의 자산 대비 부채 비율은 16.7%로 전년(17.5%) 보다 0.8%포인트 감소했다.

가계 자금사정이 가장 팍팍했던 가구주는 20대 였다. 29세 이하 가구의 자산 대비 부채 비율은 37.1%로 전 연령대 중 가장 많은 것으로 집계됐다. 1년 전 수준(29.2%)보다도 상당폭 올라갔다. 30대(27.4%)나 40대(20.8%), 50대(16.8%) 보다도 높은 수준이다. 빚 부담이 가장 적은 연령층은 60대 이상 가구주로 자산 대비 부채 비율이 11.1%로 나타났다. 20대는 소득은 상대적으로 적은데 내 집 마련 등을 위해 빚을 늘린 가계가 많았던 것으로 보인다.

종사자지위별로는 자영업자 가구주가 18.7%로 가장 높았다. 다만 1년 전 수준(19.5%)보다는 빚 부담이 다소 축소됐다. 금융부채보다 소득이 더 빨리 늘어난 영향이다. 지난해 상용근로자의 자산대비 부채 비율은 18.5%, 임시·일용근로자는 14.3% 였다.

금융부채 보유가구가 체감하는 상환 부담도 전년대비 소폭 감소했다. 금융부채 보유가구 중 '원리금상환이 부담스럽다'고 응답한 가구 비율이 65.5%에서 64.4%로 감소하고, '대출기한 내에 갚을 수 있다'는 응답가구 비율은 75.6%에서 77.7%%로 늘었다.

통계청 관계자는 "높은 순자산 증가율, 처분가능소득 대비 원리금상환액이 전년보다 줄어든 점 등을 감안하면 가계의 부채상환 여력은 개선된 것으로 보인다"며 "다만 최근 금리상승, 부동산 가격 하락세 지속 등으로 올해의 경우 달라질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you@newsis.com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이건어때요?
댓글0
0/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