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송중기, 1세 연상 英 새아내 누구?···조지 클루니와 CF도(종합)뉴시스
- 류승범·구준엽···송중기 외 국제결혼 스타는 누가 있나(종합)뉴시스
- [녹유 오늘의 운세] 75년생 고생한 만큼의 대가 받아내세요뉴시스
- 인사혁신처 "6급 이하 공무원 호봉제 폐지 검토 안 해"뉴시스
- 尹, '스튜어드십 코드' 활성화 주문···"은행·기업, 투명한 거버넌스 중요"(종합)뉴시스
- 日 외무성 "강제징용 관련 해법 의사소통 계속"뉴시스
- 권영세 "北, 올해 7차 핵실험 가능성 있어···도발엔 응징 필요"뉴시스
- 5월 대선의 튀르키예, 6개 야당 연합···대 에르도안 단일후보 미정뉴시스
- 장수정, 여자프로테니스 투어 태국오픈 단식 16강행뉴시스
- 세계 1위 매킬로이, 앙숙 리드 제치고 두바이 클래식 우승뉴시스
기사내용 요약
전날보다 4061명, 1주 전보다 2891명 줄어
중증 472명, 12일째 400명대…사망자 52명
고령층 접종률 20.2%…정부 "충분치 않아"

[서울·세종=뉴시스]이연희 김지현 기자 = 전국의 코로나19 신규 확진자 수가 사흘 연속 1주 전보다 감소했다. 그러나 감염재생산지수는 6주 연속 1 이상을 보여 아직 확산세를 보이고 있다.
위중증 환자는 472명으로 12일째 400명대를 기록하고 있으며 사망자 수는 52명으로 나타났다. 전체 인구 대비 동절기 접종률은 5.7%로, 60세 이상 고령층의 접종 대상자 대비 접종률은 20%를 넘겼다.
질병관리청 중앙방역대책본부에 따르면 30일 0시 기준 코로나19 확진자는 6만7415명 늘어 누적 2709만8734명이다.
신규 확진자 수는 1주 전인 지난 23일 7만306명보다 2891명, 전날 7만1476명보다 4061명 각각 줄었다. 지난 28일 이후 사흘째 전주 대비 감소 추세다.
11월 들어 수요일 기준 확진자 발생 추이를 살펴보면 2일 5만4733명→9일 6만2466명→16일 6만6567명→23일 7만306명으로 증가했다가 30일 6만7415명으로 감소했다.
국내 발생 확진자는 8만7330명, 해외 유입 확진자는 85명이다. 38명은 공항·항만 등 검역 단계에서 걸러졌다.
지역별로 살펴보면 서울 1만2290명, 인천 3941명, 경기 1만8849명 등 수도권에서 3만5080명(52%)이 확진됐다.
비수도권에서는 모두 3만2297명(47.9%)의 확진자가 발생했다. 부산 3798명, 대구 3026명, 광주 2219명, 대전 2047명, 울산 1290명, 세종 517명, 강원 2187명, 충북 2247명, 충남 2843명, 전북 2275명, 전남 1866명, 경북 3682명, 경남 3809명, 제주 491명 등이다.
코로나19로 인한 사망자는 52명 늘어 누적 3만506명이 됐다. 이 중 48명(92.3%)은 60세 이상 고령층이다. 최근 일주일간 일평균 사망자는 48명이다.
누적 확진자 대비 사망자 비율인 치명률은 0.11%다. 연령대별 치명률은 80세 이상 2.07%, 70대 0.48%, 60대 0.12% 등 고령층에서 평균 이상으로 나타났다.
입원 치료 중인 위중증 환자는 전날보다 19명 감소한 472명이다. 12일 연속 400명대이며, 주간 일평균 위중증 환자는 471명이다. 60세 이상 고령층은 418명(88.6%)이다. 신규 입원 환자는 231명으로 전날보다 21명 늘었다.
전국의 중환자 전담 치료병상 가동률은 32.9%로, 1598개 병상 중 1072개가 사용 가능하다. 감염병전담병원 중등증 병상 가동률은 23.4%이며 1937개 중 1483개가 비어 있다.
동절기 개량백신 추가접종에는 전날 11만1617명이 참여했다. 7만2193명(64.7%)은 화이자 BA.4/5 기반 2가 백신을 맞았다.
전체 인구 대비 동절기 추가접종률은 5.7%, 18세 이상 성인의 접종률은 6.4% 수준이다. 고위험군 접종 대상자의 접종률을 살펴보면 60세 이상은 20.2%, 감염취약시설은 25.5%가 접종을 마쳤다.
정부는 지난 21일부터 한 달 간 집중 접종 기간을 운영 중이다. 고령층은 50%, 감염취약시설은 60%까지 접종률을 끌어올리겠다는 목표를 세웠다.
이상민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 2차장 겸 행정안전부 장관은 이날 오전 중대본 회의에서 "이번 주 들어 확진자 증가세는 주춤하고 있으나 감염재생산지수는 6주 연속 '1'을 상회하고 있다"며 "최근 중환자가 꾸준히 늘고 있고, 사망자 수도 하루 평균 최근 1주 40명대를 유지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현재의 접종률에 대해 "재유행을 극복하기엔 아직 충분치 않다"며 "이번 재유행의 마지막 고비를 무사히 넘기 위해서는 백신 접종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고 말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dyhlee@newsis.com, fine@newsis.com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설 여파' 확진자 이틀째 전주 比 증가···내주 마스크 완화(종합) 기사내용 요약3만1711명 확진, 1주 전보다 4303명 늘어중증 환자 481명…중환자실 가동률 27%사망 36명 모두 고령층…80대 이상 22명[서울=뉴시스] 김근수 기자 = 지난 24일 오후 서울역 임시선별검사소에서 시민들이 검사를 받기 위해 기다리고 있다. 2023.01.27. ks@newsis.com[서울·세종=뉴시스]이연희 권지원 기자 = 목요일이었던 지난 26일 하루 전국에서 3만1711명이 코로나19에 확진됐다. 설 연휴 영향으로 확진자 수는 이틀째 증가했다.다음주 월요일인 30일에는 실내 마스크 착용 의무가 부분 해제된다. 의료기관과 대중교통 등에서는 착용 의무가 유지되며, 정부는 의무가 해제된 공간에서도 고위험군과 감염 위험이 높은 3밀(밀폐·밀집·밀접) 환경의 경우 마스크 착용이 필요하다고 권고했다.질병관리청 중앙방역대책본부(방대본)에 따르면 코로나19 확진자 수는 27일 0시 기준 3만1711명이 늘어 누적 확진자는 3010만7363명이다.일일 확진자는 전날(3만5096명)보다 3385명 감소했다. 1주 전 금요일인 지난 20일(2만7408명)보다는 4303명 늘어, 이틀째 전주 대비 증가세를 보였다. 이 같은 증가세는 설 연휴 기간 늘어난 대면 접촉과 대규모 이동의 영향으로 풀이된다.최근 4주간 금요일 기준 확진자 발생 추이를 살펴보면 6일 5만6935명→13일 3만9707명→20일 2만7408명으로 감소세를 유지하다 최근 1주 새 증가했다.지역별 확진자를 살펴보면 서울 5081명, 인천 1735명, 경기 7836명 등 수도권에서 1만4652명(46.2%)이 확진됐다.비수도권에서는 총 17052명(53.8%)의 확진자가 나왔다. 부산 2234명, 대구 1599명, 광주 1082명, 대전 892명, 울산 834명, 세종 245명, 강원 821명, 충북 1050명, 충남 1344명, 전북 1244명, 전남 1141명, 경북 1865명, 경남 2189명, 제주 512명 등이다.신규 확진자 중 국내발생 사례는 3만1662명, 해외 유입 확진자는 49명으로 나타났다. 해외 유입자 중 7명은 공항·항만 등 검역 단계에서 걸러졌다.해외유입 확진자 중 20명(40.8%)은 중국에서 들어온 입국자로 나타났다. 공항 내 검사를 받은 단기체류 외국인 외에도 입국 후 1일 이내 보건소 등에서 유전자증폭(PCR) 검사를 받은 장기체류 외국인·내국인 사례가 포함돼 있다.전날 중국에서 들어온 입국자 1533명 중 공항에서 코로나19 검사를 받은 단기체류 외국인은 307명으로 이 중 21명(6.8%)이 확진 판정을 받았다. 누적 양성률은 10.4%로 감소세가 이어졌다.[서울=뉴시스] 배훈식 기자 = 조규홍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1차장이 27일 오전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코로나19 중대본 회의에 참석해 마스크를 벗고 있다. 2023.01.27. dahora83@newsis.com코로나19로 인한 사망자는 36명 늘어 누적 사망자는 3만3332명이다. 이날 사망자는 모두 60세 이상 고령층이었다. 80대 이상 22명, 70대에서 10명, 60대에서 4명이 숨졌다. 전체 확진자 대비 사망자 비율을 뜻하는 치명률은 0.11%를 유지했다.입원 치료 중인 위중증 환자는 481명으로 10일째 400명대를 기록했다. 이중 422명(87.7%)이 고령층이다. 신규 입원 환자수는 전날보다 22명 늘어난 134명으로 이틀째 세 자릿수를 보였다.전날 오후 기준 중환자 병상 가동률은 27%로, 1565개 병상 중 1142개가 비어있다. 감염병 전담병원 중등증 병상수는 1565개 중 1390개(11.2%)가 사용 가능하다.전날 2가 백신을 활용한 동절기 추가접종에는 2만3261명이 참여했다. 전체인구 대비 접종률은 12.8%이다. 대상자 대비 접종률로는 12세 이상은 14.8%, 18세 이상 성인 15.2%가 맞았다. 고위험군인 60세 이상 고령층은 34.6%, 감염 취약시설은 62.0%, 면역저하자 29.5%의 접종률을 보였다.겨울철 재유행이 안정세를 유지한 만큼 정부는 지정병상을 5800여 개에서 3900여 개로 단계적으로 감축하기로 했다.조규홍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1차장 겸 보건복지부 장관은 이날 "하루 14만 명의 확진자가 발생할 때에도 대응 가능한 규모"라며 "중증 및 준중증 환자 치료 역량이 우수한 병원에 대해서는 지정 병상을 유지해 중환자 보호에도 만전을 기하겠다"고 밝혔다.오는 30일부터는 의료기관과 약국, 요양병원 등 감염취약시설, 대중교통을 제외한 실내 공간에서 마스크 착용 의무가 사라지고 '권고'로 전환된다.조 1차장은 "밀접·밀집·밀폐 등 3밀 환경에 있거나 고위험군인 경우에는 실내에서 가급적 마스크를 착용해 달라"고 당부했다.◎공감언론 뉴시스 dyhlee@newsis.com, leakwon@newsis.com
- · 2만7408명 확진, 확연한 안정세···마스크 30일 부분해제(종합)
- · 유행 전주대비 27.5% 감소···위험도는 12주째 '중간'(종합)
- · 주간 확진 전주대비 27.5% 감소···위험도는 12주째 '중간'
- · 3만6908명 확진, 안정화 양상···마스크 완화 시점 20일 발표(종합)
- 1[위클리]"100만원이 2배로" 내일부터 광주청년 610명 모..
- 2광주시, 전방·일신방직 부지 국제설계공모 착수..
- 3요즘 물가에 귀한 광주 '7천원 밥집' 3곳..
- 41가구 2주택 '양도세 제외'···전남 솔라시도 주택분양 '청신..
- 5"정용진 주식매각으로 피해" 광주신세계 소액주주 반발..
- 6특례보금자리론 접수 스타트···수천명 접속 '대기줄'도..
- 7"월급 1000만원 이상 광주 사립유치원장···친·인척 고용도 ..
- 8긴급생계비대출 최대 100만원···자영업 가계대출도 저금리로 대..
- 9은행 9시 문 열자...많아진 고령층 고객들 ..
- 10[빌라의 눈물]③앞으로가 더 문제···역전세난에 보증금 불안 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