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속보] 뉴욕 증시, 반발 매수·금융긴축 교차에 혼조 마감...다우 0.03%↑ 나스닥 0.3%↓뉴시스
- 부산, 맑다가 오후에 산발적 소나기···5~20㎜ 예상뉴시스
- 이용식 양산 도의원 1선거구 후보, 물금·범어 맞춤 공약 발표뉴시스
- '한국인 폭행 시비' 美비밀경호국 요원들, 본국 송환(종합)뉴시스
- 만취 음주운전하다 차량 3대 들이받고 도주한 30대 집유뉴시스
- 경기필하모닉, '마스터피스 시리즈Ⅲ-무소륵스키 전람회의 그림'뉴시스
- "더하고, 늘리고"···식품업계 '업그레이드'로 승부뉴시스
- '플랫폼 자율규제안' 민간에 맡긴 공정위···"온플법 폐기는 아냐"뉴시스
- [신재우의 작가만세]금정연 "'노키즈존, 지금 시대 관통하는 단어죠"뉴시스
- 강성 지지층에 휘둘리는 민주당, 이번엔 '내부총질' 논란뉴시스
기사내용 요약
통증·발적 등이 96.3%…중대 이상반응 3.7%
18세 소아·청소년 이상반응 신고율 0.31%
피해조사반, 아나필락시스 32건 추가 인정

[세종=뉴시스]김정현 기자 = 코로나19 예방접종 이후 이상반응을 신고한 사람은 전체 접종자 가운데 0.39% 규모였다. 18세 이하 청소년의 이상반응 신고율은 0.31%이다.
20일 코로나19 예방접종대응추진단(추진단)이 공개한 지난 16일 0시 기준 이상반응 신고 현황 분석 결과를 보면, 전체 예방접종 1억998만8175건 중 누적 이상반응 신고 건수는 43만4914건이다. 신고율로는 0.39%다.
접종 10만 건 당 의심 신고는 394.5건이다. 남자가 283.7건, 여자가 502.9건으로 남자보다 1.8배 많았다.
통증, 발적, 발열과 같은 일반적인 이상반응이 전체 96.3%였고, 사망 등 중대한 이상반응은 3.7%였다.
연령대별 신고율은 30대가 10만 건 당 525.1건으로 가장 높았으며 20대(502.1건)가 뒤를 이었다.
접종 10만 건당 중대한 이상반응 신고는 80세 이상(26.2건), 70대(22.1건)에서 높았고 19세 이하(8.5건)에서 가장 낮았다.
18세 이하 소아·청소년의 경우 예방접종 건수 518만111건 중 이상반응 신고는 1만5942건으로 신고율 0.31%였다. 이는 전체 인구 신고율의 78% 수준이다.
18세 이하가 신고한 이상반응은 일반 이상반응이 97.4%였고 중대한 이상반응은 2.6%로 집계됐다. 일반 이상반응은 두통(4103건), 흉통(2994건), 근육통(2554) 등 순이었다. 중증 이상반응은 아나필락시스(양반응 포함, 109건), 심근염·심낭염 등 급성 심혈관계 손상(88건), 경련·발작 46건 등이었다.
접종차수별 전체 예방접종 건수 대비 신고된 이상반응 비율은 1차 0.53%, 2차 0.37%인 반면 3차 접종은 0.13%로 집계돼 상대적으로 낮은 수준이다.
백신 종류별로는 얀센 0.57%, 아스트라제네카 0.53%, 모더나 0.48%, 화이자 0.32% 순이었다. 3차 접종의 경우 얀센(부스터샷) 0.19%, 화이자 0.14%, 모더나 0.13% 순이었다.
지난 14일까지 이뤄진 주요 특별관심 이상반응 의심사례에 대한 인과성 평가 결과, 아나필락시스는 2015건에 대한 검토가 이뤄졌고 737건만이 예방접종과의 인과성이 인정됐다.
혈소판감소성 혈전증은 195건이 의심사례로 신고됐고 이 중 단 3건만 접종과의 인과성이 인정됐다. 30대 2명, 70대 1명이었다.

심근염·심낭염은 메신저 리보핵산(mRNA) 백신(화이자·모더나)에서 총 425건, 바이러스벡터 백신(아스트라제네카·얀센)에서 총 15건이 판정됐다.
길랭-바레 증후군은 접수된 79건 중 21건이 코로나19 백신과 의학적 연관성을 입증할 자료가 충분치 않은 이상반응으로 판정됐다.
심근염, 심낭염, 길랭-바레증후군, 면역혈소판 감소증과 같이 아직 코로나19 백신과 의학적 연관성을 입증할 자료가 충분치 않은 이상반응으로 판정된 사람은 이날 기준 총 382명이다.
또한 이상반응 신고 여부와 관계없이 접종 후 6주 내 이상반응 의심증상으로 입원치료를 받은 사람은 많게는 1만7000명이 될 것으로 추정된다.
이들은 모두 오는 24일부터 방역패스(접종증명·음성확인제) 적용에서 예외를 적용 받는다.
오는 25일부터 진료비가 30만원 미만인 예방접종 이상반응은 시·도에서 피해보상 여부를 심의·결정한다.
정부는 앞서 18일 국무회의에서 이런 내용을 담은 개정 감염병예방법 시행령을 통과시켰다. 발적, 발열 등 일반적인 이상반응에 대한 피해보상 절차를 보다 신속하게 이뤄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취지다.
한편 지나 14일 열린 예방접종피해조사반 회의에서는 신규 접수된 이상반응 158건, 재심 1건에 대한 심의 결과 아나필락시스 32건이 접종과 인과성이 인정됐다.
현재까지 예방접종피해조사반이 심의한 이상반응은 4725건이며 이 중 744건이 인정됐다. 사망 2건, 중증 5건이며 나머지 737건은 아나필락시스 사례다.
또한 신규 사망 신고사례는 44건이 접수됐다. 평균 연령은 65.9세였고, 26세부터 92세까지 분포했다. 전체 86.4%인 38건은 고혈압, 당뇨 등 기저질환자였다.
새로 접수된 중증 이상반응은 33건이다. 최연소는 13세, 최고령자는 87세였다. 기저질환자가 전체 72.7%(24건)를 차지했고, 접종부터 증상 발생까지 평균 7.2일이 걸렸다. 가장 오래 걸린 사례는 58.6일이다.
◎공감언론 뉴시스 ddobagi@newsis.com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백신 이상반응 의심' 845건 추가···소아 사망 1건 늘어 기사내용 요약신고율 0.38%…중대 이상반응 3.9%4차 접종 1433건·5~11세 63건 신고[서울=뉴시스] 19일 코로나19 예방접종대응추진단에 따르면 이날 0시 기준 4차 접종자는 누적 364만9448명이다. 이는 전체 인구 대비 7.1%, 60세 이상 고령자 기준으로는 25.6%다. (그래픽=전진우 기자) 618tue@newsis.com[서울·세종=뉴시스]이연희 김지현 기자 = 지난 일주일간 코로나19 예방접종 이상반응 의심신고가 845건 늘었다. 12~15세 소아·청소년 중 접종 후 사망 의심신고가 1명 늘었다.60세 이상 고령자 등을 대상으로 이뤄지는 4차 접종의 경우 345만6291건 중 이상반응은 모두 1433건(0.04%)이 신고됐다.19일 코로나19 예방접종 대응 추진단에 따르면 지난 15일 0시 기준 백신 이상반응 의심신고는 845건 늘어 누적 46만9293건이다. 전체 예방 접종 1억2426만2715건 중 신고율은 0.38% 수준이다.주사부위 통증, 발열, 근육통 등 일반적인 이상반응이 45만916건(96.1%), 사망, 아나필락시스 등 중대 이상반응이 1만8377건(3.9%)다.백신종류별 신고율은 아스트라제네카가 0.54%로 가장 높고, 화이자 0.31%, 얀센 0.59%, 모더나 0.45%, 노바백스 0.15% 순으로 나타났다.4차 접종자의 이상반응 신고는 1433건(0.04%)으로, 이 중 일반적인 이상반응이 1348건(94.1%), 중대 이상반응은 85건(5.9%이다. 사망 의심신고 사례는 6건 늘어 누적 30건이다.만 5~11세 어린이의 경우 예방접종 6만8444건 중 이상반응 신고사례가 63건이다. 60건은 일반 이상반응이며, 2건은 아나필락시스, 1건은 중환자실 입원 등이 따르는 주요 이상반응 사례다. 사망자는 없었다.12~18세 소아·청소년의 경우 예방접종 653만3913건 중 전체 이상반응이 2만744건이며, 이 중 2만138건이 일반 이상반응이다. 접종 후 사망 의심신고는 12~15세 여아 1명이 새로 접수돼 총 8건이 됐다. 아나필락시스는 138건, 주요 이상반응이 460건이다.의사가 백신 이상반응으로 신고한 후 피해보상을 희망하는 접종자는 보건소에 신청서 등 필요서류를 제출해야 한다. 신청 절차와 필요서류 목록은 코로나19 예방접종 홈페이지(ncv.kdca.go.kr), 질병관리청 콜센터(1339)에서 확인할 수 있다.19일 0시 기준 전체 인구 대비 4차 접종률은 7.1%다. 전체 인구 대비 3차 접종률은 64.8%, 2차 접종률 86.8%, 1차 접종률 87.8%를 유지하고 있다. 만5~11세 소아의 1차 접종률은 1.7%다.◎공감언론 뉴시스 dyhlee@newsis.com, fine@newsis.com
- · 백신 이상반응 2779건중 783건 피해보상···"인과성 인정"
- · 백신접종 부작용 심근염 발생 예측 지표 발굴한다
- · 4차 접종후 이상반응 신고 273건···8.8%는 '중대 이상반응'
- · '고령층 4차접종' 이상반응 170건 신고···사망·중증 18건
- 1광주 소상공인 '최대 1천만원'···언제? "빠르면 5월말"..
- 2한밤중 광란의 질주 벌인 10대 무면허 폭주족 검거..
- 3나를 위한 '특별한 한끼' 어때요?..
- 4힐스테이트 영광 견본주택 오픈···분양 돌입..
- 5조선대 의대 본과생들 필기시험 부정행위 적발···징계 착수..
- 6'광주' 공들이는 이준석···'불모지' 표심 움직이나?..
- 73년 만에 개장하는 풍암 호수 공원 장미원..
- 8광주시, '540억원 투입' 유망 창업기업 지원한다..
- 9일반-상속 주택 중 어떤 걸 팔아야 비과세 될까?..
- 10현대엔지니어링, '힐스테이트 영광' 견본주택 개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