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등일보

<칼럼> 다시 만납시다

입력 2021.11.30. 13:28 수정 2021.11.30. 20:10 댓글 0개
김현주 교단칼럼 광주인성고 교사

그 노래를 들었던 것은 1999년 5월이었다. 그날 서울엔 여름을 여는 비가 내렸고 파란색 옷에 흰바지를 받쳐 입은 남자 아이와 연분홍 한복을 곱게 입은 여자 아이가 무대에서 노래를 부르다 간주가 이어질 무렵 무대에서 내려와 객석에 앉은 우리들 사이로 걸어오며 노래를 이어가기 시작했다. 순간 우리들의 환호가 아이들을 감쌌고, 아이들의 노래가 우리를 보듬고 있었다. 노래 감상보다 그 아이들의 손을 한번 잡아 보았으면 하는 바람이 앞서서 눈시울이 자꾸 시큰거릴 때 울리던 그 노래. '백두에서 한라로 / 우린 하나의 겨레 / 헤어져서 얼마냐 / 눈물 또한 얼마였던가 / 잘 있으라 다시 만나요 / 잘 가시라 다시 만나요 / 목 메어 소리칩니다 / 안녕히 다시 만나요' "다시 만납시다"였다. 북측 소년단이 처음 남측을 찾아와 무대 마지막 순서에서 앳되지만 다부지게 부르던 그 노래를 듣다 노랫말처럼 자꾸 목이 메던 우리는, 그러나 한동안 다시 만날 수 없었다. 다시, 그 노래를, 이젠 우리에게 친숙한 그 노래를 다시 들었던 때는 2018년 봄이었다. 남과 북, 북과 남이 손을 잡고 부르던 '다시 만납시다'. 그렇게 금방 와버릴 것 같았던 통일은…여전히 아득하다.

그토록 다시 만나고 싶다던 우리는 여전히 분단의 경계선에서 평화와 화해의 봄 대신 대립과 대결의 겨울을 살고 있어서 오늘 이리 겨울비가 거센지 모르겠다. 분명한 것은 통일은 정치적 수사나 선언만도 아니고, 감상으로 외치는 구호만도 아니고, 문화 예술로만 표현될 수도 없는 우리 사회의 중요한 과제다. 그동안 남과 북이 어우러져 빚어온 예술은 통일을 향한 정치 경제적 토대 위에서 더 빛날 것은 분명하다. 1972년 7월, 2000년 6월에 이어 2018년 9월에 이르기까지 이루어진 각 성명과 선언들에는 우리가 염원하는 통일의 원칙과 모습이 잘 담겨 있다고 생각한다. 이에 기반하여 정전 협정과 평화 선언을 이루고 경제적 협력 관계를 튼실하게 꾸려가는 과정에서 우리 남과 북의 문화 예술은 더 큰 감동으로 다가오리라 믿는다.

요즘 우리 교육에는 '미래 교육'이란 말이 종종 등장한다. 4차 산업 혁명, 기후 환경 이런 단어들과 함께 미래 교육을 고민하는 목소리들이 있다. 미래 교육이란 말에 앞서 우리의 미래는 어떤 모습인지 어떤 모습이고 싶은지에 대한 우리 고민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여기에 우리가 지나온 분단의 시간에 대한 성찰과 우리나라의 통일은 미래 사회의 모습에서 중요한 전제가 아닐까 한다. 그리고 이를 담보하기 위한 미래 교육에 평화로운 통일을 위한 교육이 미래 교육의 중요한 한 축이 되길 바란다. 이를 위해 교육 정책의 방향이 분명하길 또한 바란다. 평화통일 교육이 교사에 따른 개인의 노력이 아니라 민족의 평화와 화해 협력의 교육적 기조가 분명하고 이 기조가 담긴 정책의 방향이 교육의 구체적인 과정에 내용으로 담기면 좋겠다.

통일은 아이들이 꿈꾸는 미래의 영역을 넓히는 일이기도 하다. 어떤 사회역학자의 말처럼 물고기의 비늘에 바다가 스미듯 인간의 몸에는 자신이 살아가고 있는 사회의 시간이 새겨지기 마련이다. 아이들이 분단의 시간을 자기 삶에 새기며 미래를 꿈꾸기보다는 독도를 포함하여 한반도 전체를 두고 자기 삶에 사회적 시간을 새길 수 있기를, 그래서 어떤 직업, 어떤 진로를 모색하든 그것이 한반도 전체를 두고 상상해볼 수 있기를 소망한다. 쉽게 얻은 것은 쉽게 잃는다는 말이 있다. 우리에게 통일이 이토록 어렵게 오고 있는 이유가 그것이라면 이 시절을 견디겠으나, 우리의 어려움이 누군가 이득을 보거나 자신의 세력을 키우고 유지하려는 데서 오는 것이라면 그들은 우리 아이들의 미래를 방해하는 자들이며 이들은 분명 응분의 대가를 치르도록 해야 한다. 20년 전 그 조막손을 내밀어 오던 소년단의 아이는 어느덧 청년의 시기를 넘어 가고 있을 것이다. 다시 만나자는 그 약속의 안부를 이 남녘의 교실에서 나에게, 그리고 그에게 묻는다. 

# 이건어때요?
댓글0
0/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