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속보] 위중증 환자 196명, 이틀째 감소···사망 36명뉴시스
- [속보] 신규 확진 1만4398명···토요일 17주만에 1만명대뉴시스
- 이범석 청주시장 후보 "수도권 내륙선 오창역 신설"뉴시스
- [속보]위중증 환자 196명, 이틀째 감소···사망 36명뉴시스
- '김건희 패션' 인기비결···역대 영부인 패션과 다른 이것은?뉴시스
- [속보]신규 확진 1만4398명···토요일 17주만에 1만명대뉴시스
- 김구라 아들 그리, 새 엄마 언급···"계속 누나라고 부를 순 없어"뉴시스
- 세이수미 "상실감·그리움 여전히 노래하지만, 그것만 있는 게 아니네요"뉴시스
- 우주 전쟁 뛰어든 한컴·KT·네이버···'스페이스 데이터' 선점 경쟁뉴시스
- [집피지기]국토연 연구원도 "보증금 떼일까 걱정" 호소한 이유는?뉴시스

전남도는 도시가스 소외지역 도민의 에너지 복지 향상을 위해 '도시가스 공급배관 확대 10개년 계획'을 마련, 내년부터 4천300억 원을 투입해 보급률을 85%까지 늘려나간다.
3일 전남도에 따르면 이번에 수립된 10개년 계획을 통해 2031년까지 도내 도시가스 4개 사가 3천540억 원 규모 공급배관 건설비용에 대한 투자 확대를 적극 유도할 계획이다. 지방비 760억 원도 투입해 경제성이 낮은 '공급관 연장 100m당 30세대 미달' 군지역을 집중 지원할 방침이다.
이에 따라 현재 49만2천세대에 더해 매년 약 2만7천 세대의 도민이 도시가스를 신규 공급 받게 돼, 오는 2031년에는 도민 76만 명이 혜택을 볼 전망이다.
전남도는 그동안 도시가스 공급 확대를 위해 올해까지 14개 군에 54억 원을 지원했다. 하지만 도서 및 농어촌지역이 많고 인구 밀집도가 낮아 공급 배관 투자가 어려웠다. 또 도시가스사의 과도한 배관 투자가 도시가스 요금인상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어 보급률을 높이는데 어려움을 겪었다.
이로 인해 전남지역 도시가스 보급률은 55.1%로, 전국 9개 도 지역 평균 61.3%에 비해 낮은 실정이다.
전남도는 도시가스사의 신규 배관투자를 유도하기 위해 매년 공급비용 소매요금 산정 시 공급사별 평균투자비의 3%를 미공급지역 공급배관 건설비용에 투자토록 조치하고 있으나, 높은 건설비용으로 인해 효과가 기대에 미치지 못했었다.
김신남 전남도 에너지산업국장은 "도민 행복시책의 일환으로 에너지 복지를 실현하는 10개년 계획을 마련했다"며 "경제성이 미달된 마을을 중심으로 LPG 배관망 구축사업도 병행 추진해 도시가스 요금 수준으로 이용 가능토록 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도시가스 공급이 어려운 농어촌 마을 지역에는 도시가스 수준의 편리하고 안전한 가스를 사용할 수 있는 '마을단위 LPG 배관망 구축사업'을 추진한다. 내년에는 국비 지원 사업과 함께 도 자체사업으로 12개 마을을 지원할 예정이다.
도서지역인 완도, 진도, 신안은 그동안 국비와 지방비 856억 원을 투입해 최근 '군단위 LPG 배관망 구축사업'을 마쳤다. 완도읍 4천20세대, 진도읍 3천세대, 신안 지도읍 1천46세대가 요금이 저렴한 LPG가스를 공급받고 있다. 도철원기자 repo333@mdilbo.com
-
5월 도시가스요금 최대 9.4% 오른다···가구당 월평균 2450원 ↑ 기사내용 요약산업부, 5월 민수용 도시가스 요금 발표가스시장 불안정에 인상요인 큰폭 발생기준원료비 동결하고 정산단가는 인상[서울=뉴시스] 조수정 기자 = 서울 시내 한 다세대 주택의 가스계량기. 2021.12.29. chocrystal@newsis.com[서울=뉴시스] 고은결 기자 = 오는 5월 1일부터 도시가스 민수용(주택용·일반용) 요금이 최대 9.4%까지 대폭 인상된다.산업통상자원부는 다음달부터 일반 국민, 자영업자가 사용하는 주택용·일반용 도시가스 요금(서울시 소매요금 기준)을 8.4%~9.4% 인상한다고 29일 밝혔다.도시가스 요금은 액화천연가스(LNG) 수입단가인 원료비와 도·소매 공급업자의 공급비용과 투자보수를 합한 도·소매 공급비로 구성된다.정부는 최근 가스 시장 불안정에 따라 국제가격이 급등해 원료비 인상요인이 큰 폭으로 발생했지만, 국민 부담과 물가 안정을 고려해 민수용 요금의 기준원료비를 동결하기로 했다.다만 지난해 12월 개정한 '천연가스 공급규정'에 따라 5월부터 민수용 원료비 정산단가는 메가줄(MJ·가스사용열량단위)당 1.23원 오른다.이를 통해 지난해부터 급증한 미수금을 줄여 나간다는 계획이다. 미수금이란 한국가스공사가 수입한 LNG 대금 중 요금으로 덜 회수한 금액을 뜻한다. LNG 수입 단가보다 판매 단가가 낮을 때 발생한다.민수용 도매공급비는 인상요인이 발생했지만 주택용 -0.1%, 일반용 평균 -0.3%(동절기 -1.9%, 하절기·기타월 평균 1.4% 인상) 인하 조정된다.용도별 인상률은 주택용은 8.4%, 일반용(영업용1)은 8.7%, 일반용(영업용2)은 9.4%다.영업용1은 음식점업, 구내식당, 이·미용업, 숙박업, 수영장 등에 대한 용도다. 영업용2는 목욕탕, 폐기물 처리장, 쓰레기 소각장 등에서 쓰인다.이에 따라 연중 가구당 평균 가스요금은 월 2450원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서울시 기준으로 보면 월 평균 요금은 2만9300원에서 3만1750원으로 오를 전망이다.◎공감언론 뉴시스 keg@newsis.com
- · 오늘부터 전기·가스요금 오른다···향후 추가 인상 가능성도
- 1운암동서 음주차량과 2차 충돌, 오토바이 운전자 중상..
- 2광주만 또 올라···아파트값 98주 연속 상승..
- 3"집+카페+고급승용차" 통크게···효심 FLEX, 남도★..
- 4광주서 차타고 1시간···시원한 '오션뷰' 맛집..
- 5학교 담장 넘던 중학생 7m 깊이 맨홀에 추락..
- 65월 넷째주, 광주를 달군 부동산 이슈는?..
- 7휘발유·경유 2000원 돌파···"당분간 인하 요인 없다는 게 ..
- 8주금공, 6월 보금자리론 금리 0.2~0.25%p 인상..
- 9광주교육감 후보 당선시킬 목적 식사 제공한 지역민 4명 고발(종..
- 10광주 광산구 소촌동 922가구 정전···긴급 복구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