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등일보

[노잼도시 광주] 쇼핑몰은 악?···규제로는 '꿀잼' 없어

입력 2021.09.08. 11:19 수정 2021.09.08. 11:31 댓글 30개
스페셜기획 '노잼도시 광주 탈출' 프로젝트 ①
창고형할인점·복합몰 줄줄이 무산
중소상인단체 요구에 십수년 공회전
원정쇼핑·나들이 시민 부담·박탈감 ↑
타 광역시 유치 경쟁 광주시는 '뒷짐'
현지법인·상생 도시브랜드 상승
광주신세계는 지난 2017년 서구 화정동에 복합쇼핑몰과 특급호텔이 포함된 복합시설을 건립하려다 지역 중소상인, 시민단체 등의 반대로 포기했다. 무등일보DB

"요즘 물건 싸게 살 거면 온라인 이용하지 누가 오프라인 쇼핑 가나요. 생각나면 한 번씩 여주나 김해 프리미엄아울렛 갔는데 요즘은 대전에 프리미엄아울렛 생겨서 얼마 전에도 다녀왔어요. 광주에 아울렛도 백화점도 있지만 대규모 프리미엄아울렛은 없어서 쇼핑을 제대로 하고 싶을 땐 다른 도시로 나갔다 옵니다."

최근 광주를 뜨겁게 달구는 이슈가 있다. '대형복합쇼핑몰' 유치가 그것이다. 광주시가 시민소통을 위해 마련한 '바로소통광주'에도 끊임없이 올라와 수백개의 공감을 받고 지난 5월에는 청와대 국민청원에까지 올라가 2천명이 넘는 시민이 서명하기까지 했다. 심지어 대기업 복합쇼핑몰 유치를 촉구하는 시민단체까지 결성해 활동을 하고 있을 정도다. 대형복합쇼핑몰이 무엇이길래 시민들이 이토록 요구하는 걸까.

◆오프라인 유통업의 변화 '공간 경험'

유통산업발전법에 따르면 복합쇼핑몰은 1개 업체가 개발·관리·운영하는 점포로 쇼핑과 오락, 업무기능이 한 곳에 집적되고 문화·관광시설로서 역할을 하는 곳이다. 대규모 점포라면 7일 기준 광주에 25개가 있지만 복합쇼핑몰로 등록된 곳은 없다.

그러나 복합쇼핑몰 규정이 명확하지 않아 통상 시민들은 대형복합쇼핑몰 기준으로 신세계나 현대, 롯데 등 대기업 유통 3사가 운영하는 프리미엄 아울렛이나 스타필드 등을 떠올린다.

광주에서 복합쇼핑몰에 가장 근접하다는 평가를 받는 롯데아울렛 수완점의 매장면적은 2만2천473㎡인데 최근 개장한 현대프리미엄아울렛 대전점 매장 면적은 12만9천㎡에 이른다. 무엇보다 대형복합쇼핑몰의 기준을 가르는 것은 입점 브랜드 구성이다. 대중 브랜드도 다루지만 통상 준프리미엄급 이상의 브랜드가 많아 이 지역에서 쉽게 볼 수 없는 브랜드 제품을 저렴하게 구입할 수 있다.

이미 오프라인 유통업은 쿠팡 등 온라인기업과 경쟁하기 위해 '대형복합화'를 시도하고 있다. 가격 경쟁은 물론 편리함에서도 온라인의 경쟁 상대가 될 수 없다. 코로나19로 인한 언택트 소비트렌드는 이를 가속화했다. 롯데마트와 홈플러스, 이마트가 속속 오프라인 매장을 철수하고 있다. 광주에서도 이마트 상무점과 동광주점이 2019년과 올해 각각 폐점했다.

대신 유통업체들은 대형복합쇼핑몰에 집중하고 있다. 온라인 유통업체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더 큰 규모, 더 세련된 공간, 체험 콘텐츠, 서비스 공간 확대로 온라인과 차별화된 경험을 제공해야 한다고 생각한 것이다. 최대한 많은 콘텐츠를 넣어 집객하고 그 공간 속에서 소비자들이 시간가는 줄 모르고 보내게 한다.

이미 소비자들은 쇼핑과 여가를 동시에 즐기는데 익숙해 있다. 물건을 사면서 여가를 보내고 힐링하는 '라이프스타일'이 보편화됐다. 다시 말해 물건을 구매하러 쇼핑몰에 간다기보다는 복합쇼핑몰이란 공간에서 즐기고 놀면서 필요한 게 있으면 사는 식으로 쇼핑문화가 변하고 있다. 대형복합쇼핑몰이 온라인업체의 위협 속에서 여가 공간으로 거듭나고 있는 이유다. 또 반대로 소규모로 차별화되지 못한 중소형 점포들이 어려움을 겪고 있는 이유이기도 하다.

이 때문에 코로나19 파도 속에서도 대형복합쇼핑몰은 견뎌냈고 오히려 포스트코로나로 가는 지금도 견고한 성장세를 유지하고 있다. 특히 백신 접종자가 늘고 야외 활동이 늘면 더욱 쇼핑몰을 찾는 사람이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지난해 대전 유성구에 문을 연 현대프리미엄아울렛 내부 모습. 이삼섭기자 seobi@mdilbo.com

◆원정쇼핑과 박탈감에 지친 시민들

문제는 대형복합쇼핑몰이 이미 대세로 자리 잡은 지 오래인데도 불구하고 호남권역에서는 한 곳도 없다는 데서 출발한다. 이 때문에 광주시민을 비롯해 호남민들은 매주말마다 원정쇼핑을 가게 된다. 이로 인해 쌓인 불만이 폭발하고 있다.

최근 현대프리미엄아울렛 대전점을 다녀왔다는 30대 남성은 "날씨가 더웠던 날이라 그런지 사람들이 바글바글했고 주차할 데가 없어 차를 멀리 갓길에 댔다"면서 "타지까지 나와 이런 걸 누려야 하느냐는 생각이 들기도 하지만 이런 공간을 누릴 수 없는 광주사람들이 불쌍하다"고 말했다.

광주에도 기회가 없었던 것은 아니다. 2010년대 중반 광주도 다른 지자체와 마찬가지로 대형복합쇼핑몰 필요성을 인식해 사업을 추진했다. 십수년째 공회전하고 있는 어등산관광단지 조성도 지역민들에게 쇼핑과 결합된 여가 공간을 제공하기 위해 추진했다. 그러나 중소상인단체의 요구로 상가면적이 줄어들면서 사업성이 떨어져 대기업이 참여를 포기했고 결국 현재까지 추진되지 못하는 원인이 됐다. 또 신세계프리미엄아울렛을 운영하는 신세계사이먼도 지난 2014년 나주에 프리미엄아울렛을 짓는 것을 골자로 전남도·나주시와 협약까지 맺고도 상인단체 반대로 무산됐다.

지난 2015년 광주신세계가 7천억원 규모의 특급호텔을 결합한 대형복합쇼핑몰 광주 투자가 광주상인단체와 정치권에 의해 막힌 사건도 대표적이다. 최근 신세계백화점이 대전 유성구에 문을 연 '대전신세계 아트앤사이언스'에서 대전지역 청년들을 중심으로 3천여명의 직원들을 채용했다는 기사가 나오자 광주시와 상인단체, 정치권을 성토하는 댓글이 넘쳐났다. 광주에서 무산된 투자가 결국 청년들의 일자리와 지역민들의 여가 혜택만 날렸다는 비판이다.

광주신세계 관계자는 "광주신세계가 26년간 영업하면서 모은 이익금을 바탕으로 지역에 투자하겠다고 하는 데도 진영논리에 막혀 투자가 이뤄지지 못하면서 정작 지역민이 누려야 할 문화적 혜택까지 박탈당했다"면서 "다른 도시는 앞서 나가고 있는데 광주는 정체되면서 상대적으로 뒤처지게 된 셈"이라고 지적했다.

지난달 27일 문을 연 신세계 아트앤사이언스는 대전지역 청년 등을 중심으로 3천여명의 고용을 창출했다. 이곳에는 신세계백화점을 비롯해 지역 대학과 공공기관 등과 협업한 체험형 공간, 아쿠아리움, 스포츠시설 등이 대거 들어섰다. 이삼섭기자 seobi@mdilbo.com

◆"포스트코로나 대비 위해선 서둘러야"

대형복합쇼핑몰은 피할 수 없는 흐름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공통된 의견이다. 이와 함께 지역상권과 소상공인 피해를 야기한다는 주장도 설득력을 잃었다. 차라리 '쿠팡 불매 운동'이 더 효과적일 것이란 이야기가 나온다. 홈플러스, 이마트도 온라인에 밀려 사라지는 마당에 대형복합쇼핑몰이 소상공인 피해를 입힌다는 주장은 더 이상 동의를 얻지 못하고 있다. 정용진 신세계 부회장이 "우리의 경쟁자는 야구장이나 놀이공원"이라고 말한 게 대표적이다.

오히려 지역 상인들에게도 대형복합쇼핑몰은 위기가 아닌 기회라는 게 전문가의 의견이다. 대기업이 제공하는 플랫폼을 적극 활용해야 한다는 뜻이다.

한 유통업계 관계자는 "유통업에서 마트는 이미 모바일(온라인)에 패배해 퇴출단계고 백화점도 럭셔리 상품으로 특화하면서 중저가 매장을 퇴출시켰다"며 "대량구매 소비자와 자영업자들에겐 오히려 유통단계를 압축시키는 복합쇼핑몰(코스트코)이 이익이다. 지역 유통업자와 소상공인의 경쟁상대는 대규모 복합쇼핑몰이 아니다"고 말했다.

최근 대형복합쇼핑몰은 지역에 법인을 둔다. 최근 개점한 '대전신세계 아트앤사이언스'나 '대구롯데몰'도 마찬가지다. 쇼핑몰에 입점하는 것도 지역민, 쇼핑몰에서 일하는 직원도 지역민, 세금도 지역에 내는 셈이다.

특히 대전신세계 아트앤사이언스는 대형복합쇼핑몰이 지역과 어떻게 상생할 수 있는 지를 보여줬다. 지역대학인 카이스트와 협업해 과학과 문화를 접합한 '신세계 넥스페리움' 등 체험형 공간을 만들었고 대전마케팅공사는 이곳에 '꿀잼도시' 대전홍보관을 만들었다. 이외에도 아쿠아리움, 실내농구장, 클라이밍, 각종 스포츠 시설을 만들어 지역민들의 편의를 대거 높이며 '대전의 자랑거리'란 말을 듣고 있다.

최근 이용섭 시장이 대형복합쇼핑몰 유치 필요성을 언급하며 "현재 코로나19 장기화로 자영업자, 소상공인, 전통시장이 가장 큰 어려움을 겪고 있을 때 찬반 논란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말했다. 그러나 유치 시점부터 최소 수년간 걸리는 만큼 현재 적극적인 논의를 시작해 포스트코로나를 고민해야 한다는 게 전문가들의 의견이다.

이삼섭기자 seobi@mdilbo.com

# 관련키워드
# 이건어때요?
댓글30
0/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