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등일보

<기고>지속가능발전목표(SDGs)는 누구의 것인가?

입력 2021.07.20. 10:40 수정 2021.07.20. 20:14 댓글 0개
독자 발언대 여러분의 목소리를 들려주세요
윤 희 철
지역공공정책플랫폼 광주로
광주광역시 지속가능발전협의회 사무총장
(도시·지역개발학 박사)

'지속가능성', 흔히 듣는 말이다. 누구나 쉽게 사용한다. 그런데 의미를 모르고 잘못 쓰는 경우가 많다. 주로 '오래 가는 것'. '친환경적'. '긍정적', '좋은' 등의 의미를 '지속가능성'등으로 오해한다. 영미권에서 이 개념이 와서 발생한 문제다. 처음 이 'sustainable'을 '지탱가능성'으로 번역했다.

영어사전을 펴보면, 'sustain'은 '지지 또는 지탱하다'가 제일 앞에 나오고, 우리가 흔히 오해하는 '지속하다'는 뒤에 있다. 하지만 한자 문화권에 사는 우리는 일본과 중국이 이 용어를 '지속가능성(持續可能性)'으로 번역했고, 결국 우리도 같은 용어로 통일해서 쓰고 있다.

1970년대 이후 인류사회는 우리의 지속불가능성 문제를 고민해왔다. 결국 유엔은 전 지구적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2015년 9월 지속가능발전목표(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이하 SDGs)를 채택했다. 우리나라도 지속가능발전목표(K-SDGs)를, 광주도 2018년 10월 SDGs를 만들었다. 겉으로 유엔의 의제가 국가의 목표가 되고, 다시 광주의 목표가 되는 것을 보면서, 일부에서는 '유엔 따라하기', 또는 '교조주의적(?)'이지 않냐는 비판을 하기도 한다.

하지만 유엔의 SDGs가 만들어지는 과정을 살펴보면, 전혀 그렇지 않다. 2012년부터 유엔은 '새천년개발목표(MDGs)'를 이어 새로운 목표를 구상했다. 처음에는 10개 정도 목표를 설정하고자 했다. 하지만 선진국, 지방정부, NGO 등 수많은 이해당사자들이 우리가 당면한 '지속불가능성'은 최빈국만의 문제가 아님을 지적하고, 우리 공동의 문제로 해결을 위해 여러 의제를 제안하기 시작했다.

이 과정에서 '지속가능한 도시와 공동체', '지속가능한 생산과 소비', '기후변화대응', '해양생태계', '육상생태계'가 추가되었다. 이전에 국제사회에서 등한시한 환경의제가 대거 추가됐다. 따라서 SDGs는 17개 목표, 169개 세부목표의 복잡한 형태를 갖게 됐지만, 선진국, 최빈국, 도시, 농촌 등 모두의 지속가능성을 제고하기 위한 방안이 담겼다.

그렇다면 SDGs는 누구의 것인가. 흔히 SDGs에 대한 오해가 있다. 사람들에게 쉽게 전달하기 위해 목표를 줄여서 표현하는데, 예를 들어 17개 목표 중 1번 '빈곤종식'을 보면, 대다수의 사람들은 이 목표는 '기아 사태'가 없는 우리 실정과 상관없다고 말한다. 국제사회의 목표일 뿐이라고 일축한다. 하지만 그 안에 10여 개가 넘는 세부 목표를 보면, 사회보장 체계, 사회적 약자를 위한 배려 등이 담겨 있다. 즉, 선진국에서 최빈국까지, 중앙정부에서 마을공동체까지 모든 범위를 포괄한다.

SDGs가 우리 것이 되려면 어떻게 해야할까? 이제 우리는 일상 속 에서 '지속불가능한 것'이 무엇인지 확인해야 한다. SDGs를 실현을 생각하지 않는 목표로 봐서는 안된다. 우리 삶을 지탱가능하게 하는 17개의 질문으로 생각해야 한다.

또, 환경, 경제, 사회, 문화 등의 한 분야에 국한되지 않고, 모든 분야가 다 나서야 지속불가능성의 문제는 해결할 수 있다. 코로나19 때문에 사회적 약자들은 더욱 힘든 삶을 살고 있다. 기후위기 때문에 심해지는 올 여름 폭염 속에 이들은 더욱 취약해진다. 단순히 수혜적인 복지로 문제를 풀 수 있을까? 아니다. 종합적이고 포괄적인 방법을 찾아야 한다.

현재 광주시는 '지속가능발전 기본계획'을 수립 중에 있다. 많은 이해당사자가 참여해 의견을 개진해야 한다. 당연히 참여 체계를 정립하고 협치의 장을 열어야 한다. 광주는 '민주·인권·평화의 도시'라는 타이틀을 가지고, "누구도 소외되지 않게 하겠다"는 SDGs의 기본 원칙을 내재하는 중요한 도시다. 지속가능발전목표(SDGs), '지속가능발전에 관한 17개 질문'은 우리의 것이 돼야 한다. 아니, 우리 것이다.

# 이건어때요?
댓글0
0/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