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트럼프 前대통령 탄핵소추안, 이르면 22일 美상원 송부"뉴시스
- 만취 상태로 20㎞ 가량 차량 운전한 20대 검거뉴시스
- WHO "1월말까지 전세계 코로나19 감염자 1억명 될 것"뉴시스
- 충남서 돈사·식당 화재 잇따라뉴시스
- 코로나19 여파 작년 고용지원금 신청 3808건···전년 比 36배↑뉴시스
- 정밀지상관측용 '국토위성 1호' 발사장으로···3월 20일 쏜다 뉴시스
- 與, PK 여론 깜짝 반등에 "희망 생겨" 화색···재보선 총력전뉴시스
- [인터뷰]최윤영 "형사역, 큰 도전···살려달라는 반응 감동"뉴시스
- 다 쓴 전기차 배터리 쏟아질텐데···재사용·재활용 산업 본격화뉴시스
- 인천, 흐리고 포근한 날씨···"미세먼지 보통"뉴시스
전세는 우리나라에만 있는 제도입니다.
세입자가 집주인에게 돈(전세금)을 맡겨 놓았다가
전세기간이 끝나면 고스란히 돌려 받는 것 입니다.
그래서 공짜로 사는 기분입니다.
얼핏 생각하면 세입자에게 유리한 것 처럼 보입니다.
세입자는 집주인에게 준 전세금을 내 돈이라고 착각합니다.
그러나 돈의 주인은 돈의 사용권한을 가지고 있는 집주인이며
집값이 오르면 전세사는 사람과 나누지 않고 상승분을 모두 가져갑니다.
전세는 집값이 오르면 전세금을 올려 줘야 하는 리스크가 있고,
집값이 내려가면 전세금을 돌려받지 못하는 리스크가 있습니다.
즉, 전세는 집값이 올라도 문제, 내려도 문제라는 것 입니다.
따라서 전세사는 것보다 집을 사서 내집을 갖는 것이 부동산의 기본입니다.
AD
댓글12
AD
인기게시글
AD
많이본 뉴스
- 1광주에 '래미안' 없는 이유?···지역 건설사 강세 영향도..
- 2[이브닝브리핑] 양동시장, 7일간의 사투..
- 3[Weekend enjoy] 1월3주, 이번 주말에 뭐하지?..
- 4'무순위 줍줍', 해당지역 거주 무주택자만 신청가능..
- 5윤스테이 '쌍산재' 이을 남도의 고택스테이..
- 6구매지원금 전기차 1900만원·수소차 3750만원..
- 7광주시,'3無 융자'···"행정조치 이행 유흥업소 포함"..
- 8가족모임 등 광주·전남서 11명 코로나19 양성 판정..
- 9롯데건설, 실버주택 단위평면 개발···"동선 최소화"..
- 10'광주송정역 증축' 종합 개발계획 밑그림 돌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