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등일보

[새책] 새로운 시선으로 읽는 우리 고대사

입력 2021.04.07. 15:25 수정 2021.04.08. 08:58 댓글 0개
한국 고대사
윤내현 지음/ 만권당/ 1만8천원

고대사는 기록 등 사료 부족과 고증 미흡으로 접근이 쉽지 않다.

한국 고대사는 시기적으로 먼 시기이고 사료도 대부분 한문으로 돼 있어 베일에 싸여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수많은 사료의 강을 건너고 산을 넘어야 그 먼 종착역에 도착할 수 있다. 그래서 이 분야는 대학 사학과에서 공부한 이른바 전문가들의 영향력이 크기 마련이다. 문제는 이 전문가 집단들이 그릇된 사고를 가지고 있을 때 바로잡기가 쉽지 않다는 점이다.

최근 나온 윤내현 교수의 '한국 고대사'는 복잡한 한국 고대사를 일관된 흐름으로 서술함과 동시에 방대한 사료와 지식을 통해 연구 성과를 담았다.

우리 사회 대부분의 분야는 이른바 진보와 보수로 갈려 있다. 하지만 강단사학계만은 보수, 진보의 구분도 없이 일제 식민사학 일색이다. 일제 식민사학은 강단사학계만 장악한 것이 아니었다.

저자는 한국 고대사를 국가이전시대, 고조선시대, 열국시대로 나누어 서술한다. 그간 '선사시대'나 '원시시대'라고 명명해왔던 먼 시기를 '국가이전시대'라는 새로운 용어로 대체하면서 무리사회, 마을사회, 마을연맹체사회의 세 단계로 나누어 한민족이 최초의 국가 고조선을 세우기 이전에 어떠한 사회 변화를 겪었는지를 서술하고 있다. 기나긴 국가이전시대를 지나 고조선시대로 접어들었다가 고조선의 거수국이었던 여러 나라들이 독립해 열국시대가 전개되는 상황을 사료에 입각해 서술하고 있다.

국가이전시대란 국가가 출현하기 이전의 사회 단계를 말한다. 이 시대를 흔히 선사시대나 원시시대라고 하는데, 그것은 적합하지 않다. 선사시대란 당시의 기록이 남아 있지 않은 시대를 말하고, 이와 대응되는 역사시대란 당시의 기록이 남아 있는 시대를 말한다. 사회 수준이나 문화 수준이 매우 높은 단계에 도달한 사회라 하더라도, 어떤 이유에서든 당시의 기록이 지금까지 전하지 않으면 그 시대는 선사시대가 된다.

국가이전시대는 무리사회, 마을사회, 마을연맹체사회, 세 단계로 나뉜다. 일반적으로 국가이전시대를 구석기시대와 신석기시대로 나누어 서술하는데, 이러한 구분도 적합하지 않다. 구석기시대나 신석기시대라는 명칭은 사람들이 사용한 도구를 기준으로 시대를 구분한 용어다. 역사의 주체는 사람이다.

고조선시대는 한반도와 만주 지역에 최초로 국가가 출현한 시대다. 즉 마을연맹체사회 다음에 나타난 국가사회 단계다. 여기서 말하는 국가사회는 인류의 사회 발전 과정에서 일정한 단계의 수준에 도달한 사회를 말한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막연한 개념의 국가 또는 나라라는 말과는 다르다.

열국시대는 고조선의 거수국들이 독립해 여러 나라로 분열된 시대를 말한다. 고조선의 붕괴와 열국시대의 시작은 몇 가지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먼저 고조선의 건국에 의해 형성되었던 한민족이 여러 나라로 분열되었다는 점과 고조선이 붕괴되면서 각 지역의 거주민 이동이 크게 일어났고, 이와 더불어 거수국들이 독립하면서 그 지리적 위치가 재편성됐다는 점에 주목했다.

역사는 늘 올바른 역사정신을 바탕으로 서술되어야 하며, 오늘날에도 여전히 우리 역사에 대해서는 비판정신이 필요하다. 이 책을 '새로운 한국 고대사'라 칭하는 것은 예관이나 단재 선생의 그 같은 뜻에 부응했다고 자부해서가 아니라, 조금이라도 부응했으면 하는 소망에서다.

윤내현 교수는 해남에서 태어나 단국대 사학과 교수를 지냈고 '오늘의 책'상과 일석학술상, 금호학술상 등을 받았다.최민석기자 cms20@srb.co.kr

# 이건어때요?
댓글0
0/300